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마가복음 5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마가복음 개요

    • 라. 예수께서 갈릴리 바다와 그 근처에서 다양한 기적을 행하시다 (4:35–5:43)

      • 거센 폭풍을 잠잠하게 하시다 (4:35-41)

      • 악귀 들린 사람을 고쳐 주시고, 악귀들이 돼지들에게 들어가도록 허락하시다 (5:1-20)

      • 야이로의 딸이 부활되다. 한 여자가 예수의 겉옷을 만지다 (5:21-43)

마가복음 5:1

  • 게라사: 이 사건에 관해 언급하는 복음서 기록(마 8:28-34; 막 5:1-20; 눅 8:26-39)을 비교해 보면, 사건이 일어난 장소의 이름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같은 복음서라도 고대 사본들마다 이름이 조금씩 다르다. 가장 신뢰할 만한 사본들에 따르면, 마태가 원래 사용한 이름은 “가다라”이고 마가와 누가가 사용한 이름은 “게라사”이다. 하지만 이 구절에 나오는 게라사 지방에 대한 연구 노트에서 알려 주듯이, 이 두 지명은 같은 지방에 있던 두 지역을 가리킨다.

    게라사 지방: 갈릴리 바다 건너편(동쪽) 해안에 있는 지역. 이 지역의 정확한 경계는 오늘날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곳이 어디에 있었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일부 학자들은 갈릴리 바다 동쪽 해안의 가파른 경사지 근처에 있는 쿠르시 주변 지역을 “게라사 지방”과 연관시킨다. 그런가 하면 이 명칭이 갈릴리 바다에서 남남동쪽으로 55킬로미터 떨어진 도시 게라사(야라시)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펼쳐진 넓은 지역을 가리킨다고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마 8:28에서는 동일한 사건이 일어난 장소를 가리켜 “가다라 지방”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 구절에 나오는 게라사에 대한 연구 노트 및 마 8:28 연구 노트 참조) 서로 다른 이름이 사용되기는 했지만, 이 지명들은 둘 다 갈릴리 바다 동쪽 해안 지방에 있던 지역들을 가리키며, 두 지역이 서로 겹쳐 있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기록들 사이에 모순이 있는 것은 아니다.—또한 부록 가7 지도 3ㄴ “갈릴리 바다에서 하신 활동” 및 부록 나10 참조.

멀티미디어

  • 갈릴리 바다 동쪽 해안의 절벽

상호 참조 성구

  • +마 8:28; 눅 8:26, 2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8, 95면

  • 출판물 색인

    통-1 18, 95

마가복음 5:2

  • 사람: 복음서 필자 마태(8:28)는 두 사람을 언급하지만, 마가와 누가(8:27)는 한 사람만을 언급한다. 마가와 누가는 악귀 들린 사람 한 명에게만 초점을 맞춘 것 같은데, 예수께서 그 사람에게 말씀하셨고 그의 상태가 더 눈길을 끌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그 사람이 더 난폭했거나, 더 오랫동안 악귀에 사로잡혀 있었을 수 있다. 혹은 두 사람이 고침을 받은 후에 한 사람만 예수와 함께 가려고 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막 5:18-20.

    무덤: 마 8:28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8면

    「예수—길」 114면

    「파수대」

    1992/7/15, 6면

    1987/5/15, 8면

  • 출판물 색인

    통-1 18; 예길 114; 파92 7/15 6; 역 제45장; 파87 5/15 8;

    파78 3/1 6

마가복음 5: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9/10/15, 30-31면

  • 출판물 색인

    파89 10/15 30-31

마가복음 5:6

상호 참조 성구

  • +눅 8:28-30

마가복음 5:7

  • 내가 당신과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또는 “나와 당신 사이에 무슨 공통점이 있습니까?” 이것은 수사적 질문으로서, 직역하면 “나와 당신에게 무엇이 있습니까?”가 된다. 이 셈어 관용구는 히브리어 성경에 여러 차례 나오며 (삿 11:12, 각주; 수 22:24; 삼하 16:10; 19:22; 왕상 17:18; 왕하 3:13; 대하 35:21; 호 14:8) 이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표현이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도 나온다. (마 8:29; 막 1:24; 5:7; 눅 4:34; 8:28; 요 2:4) 이 말의 정확한 의미는 문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구절(막 5:7)에서는 이 관용구가 적대감을 나타내거나 강하게 반발하는 말로 쓰였으며, 일부 번역자들은 이 말을 “나를 방해하지 마십시오!” 또는 “나를 내버려 두십시오!”로 번역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문맥에서는 적대적이거나 거만하거나 상대방을 멸시하는 듯한 태도를 나타내지 않으면서, 그와 의견이나 생각이 다르다는 점을 표현할 때 또는 그가 제안한 대로 행동하기를 거절할 때 사용되었다.—요 2:4 연구 노트 참조.

    나를 괴롭히지: “괴롭히다”로 번역된 그리스어와 어근이 같은 단어가 마 18:34(연구 노트 참조)에서는 “간수들”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 문맥에서 “괴롭히다”라는 말은 평행 기록인 눅 8:31에 언급되어 있는 것처럼 “무저갱”에 속박하거나 감금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 같다.

상호 참조 성구

  • +마 8:29; 약 2:1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7/5/15, 8면

  • 출판물 색인

    역 제45장; 파87 5/15 8

마가복음 5:8

상호 참조 성구

  • +행 16:17, 18

마가복음 5:9

  • ‘군단’: 이것은 악귀 들린 사람의 실제 이름이 아니라, 그가 많은 악귀에 들려 있었음을 가리키는 말인 것 같다. 그 악귀들 가운데 우두머리가 이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의 이름이 ‘군단’이라고 말하게 했을 가능성이 있다. 기원 1세기에 로마 군단은 보통 약 6000명의 군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군단’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은 이 사람을 사로잡고 있던 악귀들의 수가 대단히 많았음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마 26:53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200면

    「통찰」 제1권 197-198면

    「예수—길」 114면

    「파수대」

    1987/5/15, 8면

  • 출판물 색인

    통-1 197-198, 200; 예길 114; 역 제45장; 파87 5/15 8

마가복음 5:10

상호 참조 성구

  • +눅 8:31

마가복음 5:11

  • 돼지: 돼지는 율법에서 부정한 동물로 규정되어 있었지만, (레 11:7) 데카폴리스 지방에는 비유대인이 많이 사는 곳에 돼지고기를 파는 시장이 있었다.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이 돼지고기를 즐겨 먹었기 때문이다. 이 기록에서 돼지를 치는 사람들이 율법을 어기는 유대인들이었는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막 5:14.

상호 참조 성구

  • +레 11:7, 8; 신 14:8
  • +마 8:30-33; 눅 8:32-34

마가복음 5: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488-489면

    「파수대」

    1987/5/15, 8-9면

  • 출판물 색인

    통-1 488-489; 역 제45장; 파87 5/15 8;

    파77 188

마가복음 5:13

각주

  • *

    또는 “가파른 비탈”.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488-489면

  • 출판물 색인

    통-1 488-489

마가복음 5:14

상호 참조 성구

  • +눅 8:35-37

마가복음 5:17

상호 참조 성구

  • +마 8:34

마가복음 5:18

상호 참조 성구

  • +눅 8:38, 39

마가복음 5:19

  • 여호와께서 당신에게 해 주신 모든 일: 예수께서는 고침을 받은 남자에게 말씀하시면서 그 기적이 자신이 아니라 하늘에 계신 아버지에게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 계신다. 누가가 동일한 사건을 기록하면서 그리스어 테오스(하느님)를 사용했다는 점이 이러한 결론을 뒷받침한다. (눅 8:39) 대부분의 그리스어 사본들에서는 막 5:19의 이 부분에 “주”(호 키리오스)가 사용되었지만, 이 구절의 원문에 하느님의 이름이 사용되었으며 후에 “주”라는 칭호로 대치되었다고 볼 수 있는 타당한 이유들이 있다. 따라서 「신세계역」 본문에서는 여호와라는 이름을 사용했다.—부록 다1 및 다3 소개; 막 5:19 참조.

    알리십시오: 예수께서는 보통 자신이 행한 기적에 대해 사람들에게 알리지 말라고 지시하셨다. (막 1:44; 3:12; 7:36) 하지만 이 남자에게는 그가 겪은 일을 친족들에게 알리라고 하셨다. 예수께서 그렇게 말씀하신 것은 그분이 그 지역을 떠나 달라는 요청을 받아서 그곳 사람들에게 직접 증거하실 수 없었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그 사람의 증언은 돼지 떼가 없어진 것에 대해 좋지 않은 소문이 퍼지지 않게 막아 줄 것이었다.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4/2, 10-11면

    「통찰」 제1권 18면

    「예수—길」 115면

    「파수대」

    2014/3/15, 3면

    2008/2/15, 28면

    1987/5/15, 9면

  • 출판물 색인

    파24.02 10-11; 통-1 18; 예길 115; 파14 3/15 3; 파08 2/15 28; 역 제45장; 파87 5/15 9;

    깨72 3/22 23

마가복음 5:20

  • 데카폴리스: 또는 “열 도시 지방”.—용어 설명 및 부록 나10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540면

    「예수—길」 115면

    「신세계역」 1696면

    「파수대」

    1987/5/15, 9면

  • 출판물 색인

    통-2 540; 예길 115; 신세 1696; 역 제45장; 파87 5/15 9

마가복음 5:21

상호 참조 성구

  • +눅 8:4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29면

    「예수—길」 116면

  • 출판물 색인

    통-1 29; 예길 116

마가복음 5:22

  • 회당 책임자: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아르키시나고고스는 문자적으로 “회당의 지도자”를 의미한다.—마 9:18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9:18, 19; 눅 8:41, 4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812면

  • 출판물 색인

    통-1 812

마가복음 5:23

  • 몹시 아픕니다: 또는 “다 죽어 갑니다; 거의 죽게 되었습니다”.

상호 참조 성구

  • +눅 4:40

마가복음 5:25

  • 혈루병: 마 9:20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레 15:25
  • +마 9:20-22; 눅 8:43, 4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16면

    「파수대」

    1995/7/15, 15-16면

    1987/6/1, 24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16; 파95 7/15 16; 역 제46장; 파87 6/1 24

마가복음 5:27

상호 참조 성구

  • +마 14:36; 막 6:56

마가복음 5:28

각주

  • *

    또는 “구원받을”.

상호 참조 성구

  • +마 9:21

마가복음 5:29

  • 고통스러운 병: 직역하면 “채찍질”.—막 5:34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16과

  • 출판물 색인

    행누 제16과

마가복음 5:30

상호 참조 성구

  • +눅 5:17; 6:19
  • +눅 8:45-4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16과

    「예수—길」 116면

    「파수대」

    1987/6/1, 25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16과; 예길 116; 역 제46장; 파87 6/1 25

마가복음 5:34

  • 딸: 기록상 예수께서 여자를 “딸”이라고 직접 부르신 유일한 경우이다. 매우 민감한 상황이었고 여자가 ‘떨고’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하셨을 것이다. (막 5:33; 눅 8:47) 예수께서는 이 애정 어린 표현을 사용하여 따뜻한 관심을 나타내셨다. 이 표현이 그 여자의 나이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평안히 가십시오: 이 관용구는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성경에서 “당신이 잘되기를 바랍니다”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눅 7:50; 8:48; 약 2:16. 삼상 1:17; 20:42; 25:35; 29:7; 삼하 15:9; 왕하 5:19 비교) 주로 “평화”로 번역되는 히브리어(샬롬)는 폭넓은 의미를 갖고 있다. 전쟁이나 소란이 없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에 더해(삿 4:17; 삼상 7:14; 전 3:8), 건강하거나 안전하거나 잘 지낸다는 의미를 전달하기도 하며(삼상 25:6, 각주; 대하 15:5, 각주; 욥 5:24, 각주), 평안하거나(더 10:3, 각주), 우정을 누린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시 41:9).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평화”에 해당하는 그리스어(에이레네)도 히브리어 단어처럼 넓은 의미로 사용되어 분쟁이 없다는 의미에 더해 복지, 구원, 화합의 개념을 전달한다.

    고통스러운 병: 직역하면 “채찍질”. 이 단어는 문자적으로, 고문할 때 자주 사용되는 채찍질의 한 형태를 가리킨다. (행 22:24; 히 11:36) 여기서 이 단어는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여자가 앓던 병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이었는지를 생생하게 묘사한다.

각주

  • *

    또는 “구원했습니다.”

상호 참조 성구

  • +눅 7:50; 8:48
  • +마 9:2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16과

    「파수대」

    2015/2/15, 13면

    2010/8/15, 29-30면

    2002/8/15, 13면

    1995/7/15, 15-16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16과; 파15 2/15 13; 파10 8/15 30; 파02 8/15 13; 파95 7/15 16

마가복음 5:35

상호 참조 성구

  • +눅 8:49

마가복음 5:36

  • 믿음을 나타내기만 하십시오: 또는 “믿음을 계속 나타내기만 하십시오”. 이 표현에 사용된 그리스어 동사의 형태는 계속되는 행동을 의미할 수 있다. 야이로는 처음 예수께 왔을 때 이미 어느 정도 믿음을 나타냈다. (막 5:22-24) 이제 예수께서는 야이로에게 그의 딸이 죽었지만 계속해서 믿음을 나타내라고 권고하신다.

각주

  • *

    또는 “더는 두려워하지 말고”.

상호 참조 성구

  • +눅 8:50; 요 11:39, 40

마가복음 5:37

상호 참조 성구

  • +마 17:1, 2; 26:36, 37

마가복음 5:38

상호 참조 성구

  • +마 9:23-26; 눅 8:51-56

마가복음 5:39

  • 죽은 것이 아니라 자고 있는 것입니다: 성경에서는 죽음을 종종 잠에 비유한다. (시 13:3; 요 11:11-14; 행 7:60; 고전 7:39; 15:51; 살전 4:13) 예수께서는 이 소녀를 다시 살리실 것이었다. 그분은 마치 깊이 잠든 사람을 깨우듯 죽은 사람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실 것이었기 때문에 소녀가 자고 있다고 말씀하신 것 같다. 예수께서는 “죽은 사람을 살리시고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부르시는 분”인 아버지로부터 소녀를 부활시킬 능력을 받으셨다.—롬 4:17.

상호 참조 성구

  • +마 9:24; 눅 8:52; 요 11:1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709면

    「예수—길」 118면

    「파수대」

    1987/6/15, 8면

  • 출판물 색인

    통-2 709; 예길 118; 역 제47장; 파87 6/15 8

마가복음 5:40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2 255

마가복음 5:41

  • 탈리타 쿠미: 마태와 누가도 야이로의 딸의 부활에 대해 기록했지만(마 9:23-26; 눅 8:49-56) 오직 마가만 예수께서 사용하신 이 표현과 그 의미를 기록했다. 몇몇 그리스어 사본들에는 이 셈어 표현이 “탈리타 쿰”으로 표기되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표현을 아람어로 분류하지만, 이 표현이 히브리어일 수도 있고 아람어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막 7:34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9:25; 눅 7:14; 8:54; 행 9:4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011면

  • 출판물 색인

    통-2 1011;

    깨80 4 46; 파72 255

마가복음 5:42

  • 너무 기뻐서: 또는 “크게 놀라서”. 그리스어 엑스타시스(“밖으로”를 의미하는 엑과 “서 있는”을 의미하는 스타시스가 결합한 단어)는 놀라움이나 경이감 때문에, 또는 하느님에게서 온 환상 때문에 정상적인 정신 상태에서 벗어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그리스어 단어는 막 16:8과 눅 5:26에서 “크게 놀라다”로 번역되었다. 사도행전에서는 하느님께서 하신 일과 관련하여 사용되었으며 행 10:10; 11:5; 22:17에서 “무아지경”으로 번역되었다.—행 10:10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출판물 색인

    깨80 4 46; 영 21; 파75 360; 파72 255

마가복음 5:43

각주

  • *

    또는 “단단히”.

상호 참조 성구

  • +막 1:42-44; 7:35, 36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행 기록

마가 5:1마 8:28; 눅 8:26, 27
마가 5:6눅 8:28-30
마가 5:7마 8:29
마가 5:10눅 8:31
마가 5:11마 8:30-33; 눅 8:32-34
마가 5:14눅 8:35-37
마가 5:17마 8:34
마가 5:18눅 8:38, 39
마가 5:21눅 8:40
마가 5:22마 9:18, 19; 눅 8:41, 42
마가 5:25마 9:20-22; 눅 8:43, 44
마가 5:28마 9:21
마가 5:30눅 8:45-48
마가 5:34눅 8:48
마가 5:34마 9:22
마가 5:35눅 8:49
마가 5:36눅 8:50
마가 5:38마 9:23-26; 눅 8:51-56
마가 5:39눅 8:52
마가 5:41마 9:25; 눅 8:54

일반

마가 5:7약 2:19
마가 5:8행 16:17, 18
마가 5:11레 11:7, 8; 신 14:8
마가 5:23눅 4:40
마가 5:25레 15:25
마가 5:27마 14:36; 막 6:56
마가 5:30눅 5:17; 6:19
마가 5:34눅 7:50
마가 5:36요 11:39, 40
마가 5:37마 17:1, 2; 26:36, 37
마가 5:39마 9:24; 요 11:11
마가 5:41눅 7:14; 행 9:40
마가 5:43막 1:42-44; 7:35, 36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마가복음 5:1-43

마가복음

5 그들은 바다 건너편 게라사 지방에 이르렀다.+ 2 예수께서 배에서 내리시자마자 더러운 영에 사로잡힌 사람이 무덤 사이에서 나와 그분을 만났다. 3 그는 무덤 사이에서 지냈는데, 그때까지 그 누구도 그를 묶어 둘 수 없었다. 쇠사슬도 소용이 없었다. 4 여러 번 족쇄와 쇠사슬로 묶었지만, 그는 쇠사슬을 끊고 족쇄를 부수어 버렸다. 아무도 그를 당해 낼 수 없었다. 5 그는 계속해서 밤낮으로 무덤과 산에서 소리를 지르며 돌로 자기 몸에 상처를 내고 있었다. 6 그가 멀리서 예수를 보고 달려와 그분에게 몸을 굽혔다.+ 7 그리고 큰 소리로 이렇게 외쳤다. “가장 높으신 하느님의 아들 예수여, 내가 당신과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나를 괴롭히지 않겠다고 하느님을 두고 맹세해 주십시오.”+ 8 예수께서 “더러운 영아, 그 사람에게서 나와라” 하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9 예수께서 그에게 “네 이름이 무엇이냐?” 하고 물으시자, 그는 “내 이름은 ‘군단’입니다. 우리의 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고 대답했다. 10 그리고 자기들을 그 지방에서 쫓아내지 말아 달라고 예수께 거듭 간청했다.+

11 그런데 그곳 산에서 많은 돼지+ 떼가 먹이를 먹고 있었다.+ 12 그 영들은 그분에게 “우리를 돼지들에게 보내어 그 속으로 들어가게 해 주십시오” 하고 간청했다. 13 그분이 허락하시자, 더러운 영들이 나와서 돼지들 속으로 들어갔다. 그리하여 2000마리쯤 되는 돼지 떼가 낭떠러지*로 달려가 바다에 떨어져 빠져 죽었다. 14 돼지를 치던 사람들이 달아나 도시와 시골에 그 일을 알렸다. 그러자 사람들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보려고 왔다.+ 15 그들은 예수께 와서, 악귀 들렸던 사람, 곧 군단에 사로잡혔던 사람이 옷을 입은 채 제정신으로 앉아 있는 것을 보고는 두려워했다. 16 그 일을 목격했던 사람들이 악귀 들렸던 사람과 돼지들에게 일어난 일을 그들에게 이야기했다. 17 그러자 그들은 예수께 그 지방에서 떠나 달라고 간청하기 시작했다.+

18 그분이 배에 오르실 때에, 악귀 들렸던 사람이 그분에게 함께 가게 해 달라고 간청했다.+ 19 그러나 그분은 허락하지 않으시고 그에게 말씀하셨다. “집으로 가서 친족들에게 여호와께서 당신에게 해 주신 모든 일과 그분이 베풀어 주신 자비에 대해 알리십시오.” 20 그는 떠나가 예수께서 자기에게 해 주신 모든 일을 데카폴리스에서 널리 알리기 시작했다. 그러자 모든 사람이 크게 놀랐다.

21 예수께서 배를 타고 다시 건너편 물가로 가신 뒤에 아직 바닷가에 계시는 동안 많은 무리가 그분에게 모여들었다.+ 22 그때에 회당 책임자 중 하나인 야이로라는 사람이 와서 그분을 보고 그분의 발치에 엎드려+ 23 거듭해서 이렇게 간청했다. “제 어린 딸이 몹시 아픕니다. 제발 오셔서 아이에게 손을 얹어 주십시오.+ 그러면 병이 나아 살게 될 것입니다.” 24 그래서 예수께서 그와 함께 떠나셨는데, 많은 무리가 따라가면서 그분을 밀어 댔다.

25 그런데 12년 동안 혈루병을+ 앓아 온 여자가 있었다.+ 26 그 여자는 여러 의사에게 치료를 받느라 고생도 많이 하고 재산도 다 써 버렸지만 나아지기는커녕 오히려 더 악화되었다. 27 그 여자는 예수에 관한 소문을 듣고 무리 속에 섞여 그분 뒤로 다가와서 그분의 겉옷을 만졌다.+ 28 ‘저분의 겉옷만 만져도 나을* 거야’ 하고 계속 생각했던 것이다.+ 29 그러자 즉시 출혈이 멎었고, 그 여자는 고통스러운 병이 나은 것을 몸으로 느꼈다.

30 그 즉시 예수께서는 자신에게서 힘이+ 나간 것을 아시고 무리 가운데서 돌아보며 “누가 내 겉옷을 만졌습니까?” 하고 물으셨다.+ 31 그러자 제자들이 그분에게 “보시다시피 무리가 이렇게 밀어 대는데, ‘누가 나를 만졌느냐?’고 물으십니까?” 하고 말했다. 32 그러나 그분은 누가 그렇게 했는지 보려고 둘러보셨다. 33 그 여자는 자기에게 일어난 일을 알고 무서워 떨며 나와서 그분 앞에 엎드려 사실대로 다 말씀드렸다. 34 그분이 그 여자에게 말씀하셨다. “딸이여, 당신의 믿음이 당신을 낫게 했습니다.* 평안히 가십시오.+ 고통스러운 병에서 벗어나 건강해지십시오.”+

35 그분이 아직 말씀하고 계실 때에, 회당 책임자의 집에서 몇 사람이 와서 “따님이 죽었습니다! 선생님께 더 이상 폐를 끼칠 이유가 있겠습니까?” 하고 말했다.+ 36 그러나 예수께서는 그들의 말을 곁에서 들으시고 회당 책임자에게 “두려워하지 말고* 믿음을 나타내기만 하십시오” 하고 말씀하셨다.+ 37 그리고 베드로와 야고보와 야고보의 형제 요한 외에는 아무도 따라오지 못하게 하셨다.+

38 그들이 회당 책임자의 집에 이르렀을 때, 예수께서는 소란스러운 광경과 사람들이 울며 크게 통곡하는 것을 보셨다.+ 39 그분이 안으로 들어가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어째서 울며 소란을 피우고 있습니까? 저 아이는 죽은 것이 아니라 자고 있는 것입니다.”+ 40 그러자 그들은 그분을 비웃었다. 그러나 그분은 그들을 다 내보내시고 아이의 아버지와 어머니와 자신의 일행을 데리고 아이가 있는 곳으로 들어가셨다. 41 그리고 아이의 손을 잡으시고 “탈리타 쿠미” 하고 말씀하셨다. 이 말을 번역하면 “소녀야, 너에게 말하는데, 일어나라!”라는+ 뜻이다. 42 그러자 곧 소녀가 일어나 걷기 시작했다. (그 소녀는 열두 살이었다.) 그것을 보고 그들은 너무 기뻐서 어쩔 줄을 몰랐다. 43 그러나 그분은 이 일을 아무에게도 알리지 말라고 그들에게 거듭* 지시하셨다.+ 그리고 소녀에게 먹을 것을 주라고 하셨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