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누가복음 20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누가복음 개요

    • 자. 예수의 공개 봉사의 마지막 주간이 시작되다. 예루살렘과 그 인근에서 활동하시다 (19:28–21:4)

      • 예루살렘으로 승리의 입성을 하시다 (19:28-40)

      • 예루살렘을 보고 우시다 (19:41-44)

      • 성전을 깨끗하게 하시다 (19:45-48)

      • 예수의 권한에 의문을 제기하다 (20:1-8)

      • 살인을 저지른 포도원 경작자들에 관한 비유 (20:9-19)

      • 하느님과 카이사르 (20:20-26)

      • 부활에 관한 질문 (20:27-40)

      • 어떻게 그리스도가 다윗의 아들이 될 수 있는가? (20:41-44)

      • 서기관들을 조심하라 (20:45-47)

      • 가난한 과부의 작은 동전 두 닢 (21:1-4)

누가복음 20:1

  • 수제사장들: 마 2:4 연구 노트 참조.

    서기관들: 마 2:4 연구 노트 참조.

    장로들: 마 16:21 연구 노트 참조.

누가복음 20:2

상호 참조 성구

  • +마 21:23-27; 막 11:27-3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44면

    「파수대」

    1989/12/15,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44; 역 제105장; 파89 12/15 8

누가복음 20:4

각주

  • *

    또는 “물에 잠기는 것; 몸을 담그는 것”.

누가복음 20:6

상호 참조 성구

  • +마 14:3, 5; 눅 7:29

누가복음 20:9

  • 비유: 마 13:3 연구 노트 참조.

    세놓고: 마 21:33 연구 노트 참조.

    오랫동안: 복음서 필자 가운데 누가만이 살인을 저지른 포도원 경작자들에 관한 비유에 이 표현을 사용한다.—평행 기록인 마 21:33; 막 12:1 비교.

상호 참조 성구

  • +사 5:7
  • +마 21:33-41; 막 12:1-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66면

    「예수—길」 246면

    「파수대」

    1990/1/1, 8면

  • 출판물 색인

    통-2 366; 예길 246; 역 제106장; 파90 1/1 8

누가복음 20:10

상호 참조 성구

  • +왕하 17:13, 14; 대하 36:15, 16; 행 7:52; 히 11:36, 3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66면

    「예수—길」 246-247면

    「파수대」

    1990/1/1, 8-9면

  • 출판물 색인

    통-2 366; 예길 246-247; 역 제106장; 파90 1/1 8-9

누가복음 20:11

각주

  • *

    또는 “수치를 주어”.

누가복음 20:13

상호 참조 성구

  • +마 17:5; 요 3:16

누가복음 20: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66면

    「예수—길」 246-247면

    「파수대」

    1990/1/1, 8-9면

  • 출판물 색인

    통-2 366; 예길 246-247; 역 제106장; 파90 1/1 8-9

누가복음 20:15

상호 참조 성구

  • +행 3:15

누가복음 20:17

  • 주된 모퉁잇돌: 마 21:42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시 118:22; 사 28:16; 마 21:42, 44; 막 12:10, 11; 행 4:11; 롬 9:31-33; 벧전 2: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366, 684면

    「파수대」 (연구용)

    2017/12, 9-10면

  • 출판물 색인

    통-1 684; 통-2 366; 파17.12 9-10

누가복음 20:18

상호 참조 성구

  • +사 8:14, 15

색인

  • 출판물 색인

    치 47

누가복음 20:19

상호 참조 성구

  • +마 21:45, 46; 막 12:12

누가복음 20:20

상호 참조 성구

  • +마 22:15-22; 막 12:13-17; 눅 11:53, 5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157-1158면

  • 출판물 색인

    통-2 1157-1158;

    잘 136

누가복음 20: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50면

    「파수대」

    1990/2/1,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50; 역 제108장; 파90 2/1 8

누가복음 20:22

  • 카이사르: 마 22:17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50면

    「파수대」

    1990/2/1,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50; 역 제108장; 파90 2/1 8;

    깨74 6/8 22

누가복음 20: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50면

    「파수대」

    1990/2/1,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50; 역 제108장; 파90 2/1 8

누가복음 20:24

  • 데나리온: 카이사르의 초상이 새겨진 로마 은화. 로마는 유대인들에게 “인두세”로 이 은화를 징수했다. (마 22:17, 19; 눅 20:22) 예수 시대에 농사일을 하는 일꾼들은 보통 하루에 12시간을 일하고 1데나리온을 받았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는 금전적 가치를 계산하는 기준으로 데나리온이 자주 사용된다. (마 20:2; 막 6:37; 14:5; 계 6:6) 이스라엘에서는 구리나 은으로 만든 다양한 주화가 사용되었는데, 티레에서 주조된 은화는 성전세를 내는 데 쓰이기도 했다. 하지만 로마에 세금을 낼 때는 카이사르의 초상이 있는 데나리온 은화가 사용되었던 것 같다.—용어 설명 및 부록 나14 참조.

    초상과 글: 마 22:20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4 6/8 22

누가복음 20:25

  • 카이사르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같은 사건에 관해 기록한 마 22:21과 막 12:17에도 이 표현이 나오는데, 이것은 기록상 예수께서 로마 황제를 언급하신 유일한 경우이다. “카이사르의 것”에는 세속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 서비스에 대해 납부해야 하는 세금뿐 아니라, 세속 권위에 대해 나타내야 하는 존경심과 상대적인 복종도 포함된다.—롬 13:1-7.

    돌려주고 ··· 돌려 드리십시오: 마 22:21 연구 노트 참조.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께: 마 22:21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롬 13:7; 딛 3:1; 벧전 2:13
  • +단 3:17, 18; 말 3:8; 마 22:21; 막 12:17; 눅 23: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981-982면

    「파수대」

    2010/7/1, 22-25면

    1996/5/1, 7-8, 9-14, 15-20면

    「선생님」 148-150면

  • 출판물 색인

    통-2 981-982; 파10 7/1 22-25; 배 148-150; 파96 5/1 7-20;

    파79 8 47; 깨74 6/8 22; 잘 136

누가복음 20:27

  • 부활: 그리스어 아나스타시스는 문자적으로 “일으킴; 일어남”을 의미한다. 이 표현은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죽은 사람의 부활을 가리키는 말로 약 40회 사용되었다. (마 22:23, 31; 눅 20:33; 행 4:2; 24:15; 고전 15:12, 13) 「칠십인역」은 사 26:19에 나오는 “너의 죽은 자들은 살아날 것이며”라는 표현에서 “살아나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동사를 번역할 때 아나스타시스의 동사형을 사용했다.—용어 설명 참조.

    사두개인: 누가복음에는 이 구절에만 사두개인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용어 설명 “사두개인; 사두개파” 참조) 사두개인이라는 이름(그리스어 사두카이오스)은 솔로몬 시대에 대제사장이 된 사독(「칠십인역」에서는 주로 사두크로 표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독의 후손들은 여러 세기 동안 제사장으로 일했을 것이다.—왕상 2:35.

상호 참조 성구

  • +행 23:8
  • +마 22:23-28; 막 12:18-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6/4/15, 19면

  • 출판물 색인

    파86 4/15 19

누가복음 20:28

상호 참조 성구

  • +창 38:7, 8; 신 25:5, 6

누가복음 20:2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238면

  • 출판물 색인

    통-1 1238

누가복음 20:3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238면

  • 출판물 색인

    통-1 1238

누가복음 20:31

  • 그 여자와 결혼했습니다: 막 12:21 연구 노트 참조.

누가복음 20:3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7/6/1, 30-31면

  • 출판물 색인

    파14 8/15 29; 파87 6/1 30-31;

    깨72 8/22 22

누가복음 20:34

  • 이 세상 제도: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아이온의 기본 의미는 “시대”이다. 이 단어는 특정한 기간이나 시대를 구분 짓는 상태나 특징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이 문맥에서는 현 세상 제도를 가리킨다.—마 12:32; 막 10:30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세상 제도(들)” 참조.

    자녀: 또는 “사람들”. 직역하면 “아들들”. 이 문맥에서 “아들”에 해당하는 그리스어는 단지 문자적인 아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여자에게 사용되는 표현인 시집가다에 해당하는 그리스어가 함께 사용된 것을 보면, 여기서 이 단어가 남자만 아니라 여자도 포함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이 문맥에서 “이 세상 제도의 자녀”라는 표현은 현 세상 제도의 특징을 반영하는 태도와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을 의미하는 관용구인 것 같다.

색인

  • 출판물 색인

    부 150

누가복음 20:35

  • 오는 세상 제도: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아이온의 기본 의미는 “시대”이다. 이 단어는 특정한 기간이나 시대를 구분 짓는 상태나 특징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이 구절에서는 하느님이 통치하시며 죽은 사람들의 부활이 있을 “오는 세상 제도”를 가리킨다.—마 12:32; 막 10:30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세상 제도(들)”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22:29, 30; 막 12:24, 2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4/8/15, 29-30면

    1987/6/1, 30-31면

  • 출판물 색인

    파14 8/15 29-30; 파87 6/1 30-31;

    파82 7/15 18; 파76 402; 부 150

누가복음 20:36

  • 자녀: 직역하면 “아들들”. 이 구절에는 “아들”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가 두 번 나온다. 일부 문맥에서 이 단어는 단지 문자적인 아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눅 20:34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4/8/15, 29-30면

  • 출판물 색인

    파14 8/15 29-30;

    파76 402

누가복음 20:37

  • 모세도 ··· 밝혔는데: 막 12:26 연구 노트 참조.

    그는 여호와를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라고 불렀습니다: 또는 “그는 ‘여호와,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라고 말했습니다”. 여기서 예수께서는 족장들이 죽은 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모세가 여호와를 여전히 그들의 하느님으로 언급했다는 점을 설명하고 계신다. 이 구절에서 예수께서는 출 3:6을 인용하신 것이다. 그 구절의 앞 구절들(출 3:4, 5)을 보면 6절에 나오는 말씀을 하신 분이 “여호와”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출 3:6에서 여호와께서는 모세에게 “나는 너의 아버지의 하느님,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삭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이다”라고 말씀하셨다. 그때는 아브라함이 죽은 지 329년, 이삭이 죽은 지 224년, 야곱이 죽은 지 197년이 지난 때였다. 하지만 여호와께서는 ‘나는 그들의 하느님이었다’라고 하지 않으시고 ‘나는 그들의 하느님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이 구절(눅 20:37)과 히브리어 성경과의 연관성은 「신세계역」 성경 본문에서 여호와라는 이름을 사용한 한 가지 이유이다.—부록 다1 및 다3 소개; 눅 20:37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출 3:2
  • +출 3:6; 마 22:31-33; 막 12:26, 2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여호와의 증인 체험기」 기사 7

    「파수대」

    2005/5/1, 13면

    1986/4/15, 19면

  • 출판물 색인

    여증체 기사 7; 파05 5/1 13; 파86 4/15 19;

    부 146; 파73 184, 456, 520

누가복음 20:38

  • 그분에게는 그들이 모두 살아 있습니다: 또는 “그분의 관점에서는 그들이 모두 살아 있습니다”. 하느님에게서 멀어진 사람들은 살아 있어도 그분의 관점에서는 죽은 것이라고 성경은 알려 준다. (엡 2:1; 딤전 5:6) 그와 마찬가지로, 여호와의 승인받은 종들은 죽더라도 그분의 관점에서는 여전히 살아 있는 것이다. 그들을 부활시키려는 여호와의 목적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롬 4:16, 17.

상호 참조 성구

  • +마 22:3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106-107면

    「가까이 가십시오」 287면

    「파수대」

    2013/2/1, 7면

    2005/5/1, 13면

    2003/8/15, 32면

    2002/1/15, 5-6면

    1986/4/15, 19면

  • 출판물 색인

    까 287; 파13 2/1 7; 따 106-107; 파05 5/1 13; 파03 8/15 32; 파02 1/15 5-6; 파86 4/15 19;

    파83 10/15 19; 목 141; 부 146; 파73 184, 456, 520

누가복음 20:41

상호 참조 성구

  • +마 22:41-46; 막 12:35-3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90/2/15, 8면

  • 출판물 색인

    파90 2/15 8

누가복음 20:42

  • 여호와: 이 구절에서 인용한 시 110:1의 히브리어 원문에는 네 개의 히브리어 자음으로 표기된 하느님의 이름(יהוה, 로마자로 음역하면 YHWH)이 나온다. 하지만 부록 가5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대부분의 성경 번역판들은 흔히 신약이라고 하는 부분에서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으며, 심지어 히브리어 성경을 인용한 구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부분의 성경은 단지 “주(Lord)”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부록 다에서 설명하듯이, 일부 성경 번역판들은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의 본문에 여호와, 야베, 야훼, יהוה(YHWH, 테트라그람마톤), 그리고 (원문에는 하느님의 이름이 있었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한) 대문자 형태의 주(LORD)나 아도나이(ADONAI)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17세기에 발행된 일부 「킹 제임스 성경」(King James Version)은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시 110:1이 인용된 이 구절(눅 20:42)과 다른 세 구절(마 22:44; 막 12:36; 행 2:34)에 대문자 형태의 “주(LORD)”를 사용했다. 이후에 발행된 판들에서도 계속 그렇게 했다. 그 성경의 번역자들이 히브리어 성경에서 히브리어 원문에 하느님의 이름이 나오는 곳을 표시하기 위해 대문자 형태의 “주(LORD)”를 사용하고,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주(LORD)”를 사용했다는 점은, 그들이 이 표현이 여호와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생각했음을 시사한다. 또 한 가지 유의할 만한 점은, 1979년에 초판이 발행된 「뉴 킹 제임스 성경」(New King James Version)에서는 히브리어 성경을 인용한 구절에서 “주”라는 표현이 하느님의 이름을 가리키는 모든 경우에 대문자 형태의 “주(LORD)”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누가복음 20:43

상호 참조 성구

  • +시 110:1; 행 2:34, 35

누가복음 20:4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52면

    「파수대」

    1990/2/15,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52; 역 제109장; 파90 2/15 8

누가복음 20:46

  • 장터: 마 23:7 연구 노트 참조.

    앞자리: 마 23:6 연구 노트 참조.

멀티미디어

  • 회당의 앞자리

  • 만찬에서의 윗자리

상호 참조 성구

  • +마 23:2, 6, 7; 막 12:38-40; 눅 11:4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593면

  • 출판물 색인

    통-2 593;

    파85 6/1 18-19

누가복음 20:47

각주

  • *

    또는 “재산”.

  • *

    또는 “더 무거운”.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90/10/1, 17면

  • 출판물 색인

    파90 10/1 17;

    파85 6/1 18-19; 파78 12 34-5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행 기록

누가 20:2마 21:23-27; 막 11:27-33
누가 20:9마 21:33-41; 막 12:1-9
누가 20:17마 21:42, 44; 막 12:10, 11
누가 20:19마 21:45, 46; 막 12:12
누가 20:20마 22:15-22; 막 12:13-17
누가 20:25마 22:21; 막 12:17
누가 20:27마 22:23-28; 막 12:18-23
누가 20:35마 22:29, 30; 막 12:24, 25
누가 20:37마 22:31-33; 막 12:26, 27
누가 20:38마 22:32
누가 20:41마 22:41-46; 막 12:35-37
누가 20:46마 23:6, 7; 막 12:38-40

인용

누가 20:17시 118:22
누가 20:37출 3:6
누가 20:43시 110:1

일반

누가 20:6마 14:3, 5; 눅 7:29
누가 20:9사 5:7
누가 20:10왕하 17:13, 14; 대하 36:15, 16; 행 7:52; 히 11:36, 37
누가 20:13마 17:5; 요 3:16
누가 20:15행 3:15
누가 20:17사 28:16; 행 4:11; 롬 9:31-33; 벧전 2:7
누가 20:18사 8:14, 15
누가 20:20눅 11:53, 54
누가 20:25롬 13:7; 딛 3:1; 벧전 2:13
누가 20:25단 3:17, 18; 말 3:8; 눅 23:2
누가 20:27행 23:8
누가 20:28창 38:7, 8; 신 25:5, 6
누가 20:37출 3:2
누가 20:43행 2:34, 35
누가 20:46마 23:2; 눅 11:43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누가복음 20:1-47

누가복음

20 어느 날 예수께서 성전에서 사람들을 가르치며 좋은 소식을 전하고 계실 때에, 수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장로들과 함께 와서 2 그분에게 말했다. “당신은 무슨 권한으로 이런 일을 하는 것이오? 누가 당신에게 이런 권한을 주었소? 말해 보시오.”+ 3 그분이 대답하셨다. “나도 여러분에게 한 가지 질문을 할 테니 대답해 보십시오. 4 요한의 침례*는 하늘에서 온 것입니까, 아니면 사람에게서 온 것입니까?” 5 그러자 그들은 자기들끼리 이렇게 의논했다. “만일 우리가 ‘하늘에서 왔다’고 하면, ‘왜 그를 믿지 않았느냐?’ 하고 말할 것이오. 6 그렇다고 ‘사람에게서 왔다’고 하면, 사람들이 모두 요한을 예언자로 확신하고 있으니+ 우리를 돌로 칠 것이오.” 7 그래서 그들은 그것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 모르겠다고 대답했다. 8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도 무슨 권한으로 이런 일을 하는지 여러분에게 말하지 않겠습니다.”

9 그분은 사람들에게 이러한 비유를 말씀하기 시작하셨다. “어떤 사람이 포도원을+ 만들어 경작자들에게 세놓고 오랫동안 외국에 가 있었습니다.+ 10 포도 철이 되자, 그는 포도원의 소출 얼마를 받으려고 경작자들에게 종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경작자들은 그 종을 때린 뒤 빈손으로 보냈습니다.+ 11 그는 다시 다른 종을 보냈습니다. 그들은 그 종도 때리고 모욕을 주어* 빈손으로 보냈습니다. 12 그래도 그는 세 번째로 또 종을 보냈습니다. 그들은 그 종도 상처를 입혀 쫓아냈습니다. 13 그러자 포도원 주인이 말했습니다. ‘어떻게 할까? 사랑하는 내 아들을 보내야겠다.+ 그들이 내 아들은 존중하겠지.’ 14 경작자들은 그를 보자 서로 의논하며 ‘저자는 상속자다. 그를 죽이자. 그러면 상속 재산이 우리 차지가 될 것이다’ 하고 말했습니다. 15 그래서 그들은 그를 포도원 밖으로 끌어내어 죽였습니다.+ 그러니 포도원 주인이 그들을 어떻게 하겠습니까? 16 그는 와서 그 경작자들을 죽이고 다른 사람들에게 포도원을 맡길 것입니다.”

그들은 이 말씀을 듣고 “그런 일이 있어서야 되겠습니까!” 하고 말했다. 17 그러자 그분은 그들을 똑바로 보시며 말씀하셨다. “그러면 ‘건축자들이 버린 그 돌이 주된 모퉁잇돌이 되었다’라고+ 기록된 말씀은 무슨 뜻입니까? 18 누구든지 이 돌 위에 떨어지는 사람은 산산조각이 날 것입니다.+ 이 돌이 누구에게든 떨어지면 그를 으스러뜨릴 것입니다.”

19 서기관들과 수제사장들은 그분이 자기들을 염두에 두고 이 비유를 말씀하신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그 즉시 그분에게 손을 대려고 했지만 사람들을 두려워했다.+ 20 그래서 그들은 그분을 지켜본 후에, 비밀리에 매수한 사람들을 보내어 의로운 사람인 척 행동하게 했다. 그것은 그분이 하는 말로 그분을 책잡아+ 정부 당국자와 권한을 가진 총독에게 넘기려는 것이었다. 21 그들은 그분에게 이렇게 질문했다. “선생님, 우리는 선생님이 올바로 말하고 가르치며 편파적이 아니고 하느님의 길을 참되게 가르치신다는 것을 압니다. 22 우리가 카이사르에게 세금을 바쳐도 됩니까, 안 됩니까?” 23 그분은 그들의 속셈을 간파하고 말씀하셨다. 24 “나에게 데나리온 한 닢을 보여 주십시오. 거기에 누구의 초상과 글이 있습니까?” 그들이 “카이사르의 것입니다” 하고 대답하자, 25 그분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그렇다면 카이사르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돌려주고,+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께 돌려 드리십시오.”+ 26 그들은 사람들 앞에서 그분이 하는 말로 그분을 함정에 빠뜨릴 수 없었으며, 그분의 대답에 크게 놀라 아무 말도 못 했다.

27 부활이 없다고 말하는 사두개인+ 중 몇 사람이 그분에게 와서 물었다.+ 28 “선생님, 모세의 기록에 따르면, ‘어떤 사람이 아내를 남겨 두고 죽었는데 그에게 자녀가 없으면, 그의 형제가 그 아내를 맞아들여 죽은 형제를 위해 자손을 일으켜 주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29 그런데 7형제가 있었습니다. 첫째가 아내를 맞아들였지만 자녀 없이 죽었습니다. 30 그래서 둘째가, 31 그다음에는 셋째가 그 여자와 결혼했습니다. 7형제가 모두 그렇게 했지만 자녀를 하나도 남기지 못하고 죽었습니다. 32 결국에는 그 여자도 죽었습니다. 33 그러면 부활 때에 그 여자는 누구의 아내가 되겠습니까? 7형제가 모두 그 여자를 아내로 삼았으니 말입니다.”

34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세상 제도의 자녀는 장가가고 시집가지만, 35 오는 세상 제도를 얻고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부활되기에 합당하다고 여겨진 사람들은 장가도 가지 않고 시집도 가지 않습니다.+ 36 사실, 그들은 다시는 죽을 수도 없으며, 천사들과 같습니다. 그들은 부활의 자녀이므로 하느님의 자녀가 됩니다. 37 그리고 죽은 사람이 일으켜진다는 것은 모세도 가시덤불 대목에서+ 밝혔는데, 그는 여호와를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삭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이라고 불렀습니다.+ 38 그분은 죽은 사람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사람의 하느님이십니다. 그분에게는 그들이 모두 살아 있습니다.”+ 39 그러자 서기관 중 몇 사람이 “선생님, 잘 말씀하셨습니다” 하고 말했다. 40 그들은 그분에게 감히 더 이상 묻지 못했다.

41 이번에는 그분이 그들에게 물으셨다. “어째서 사람들은 그리스도가 다윗의 아들이라고 합니까?+ 42 다윗 자신이 시편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셨다. 43 “내가 너의 적들을 너의 발판으로 삼을 때까지 내 오른편에 앉아 있어라.”’+ 44 이처럼 다윗이 그를 ‘주’라고 부르는데, 어떻게 그가 다윗의 아들이 되겠습니까?”

45 모든 사람이 듣고 있는 가운데 그분이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46 “서기관들을 조심하십시오. 그들은 긴 옷을 입고 다니기를 좋아하며 장터에서 인사받는 것과 회당의 앞자리와 만찬의 윗자리를 좋아합니다.+ 47 그들은 과부의 집*을 삼키며 남에게 보이려고 길게 기도합니다. 그들은 더 엄한*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