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마태복음 12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마태복음 개요

    • 사. 예수께서 갈릴리를 두루 다니며 가르치시다 (11:2–12:50)

      • 요한이 “오실 분”에 대해 묻다 (11:2-6)

      • 예수께서 침례자 요한을 칭찬하시다 (11:7-15)

      • 반응을 보이지 않는 세대 (11:16-19)

      • 고라신, 벳새다, 가버나움을 정죄하시다 (11:20-24)

      • 겸손한 사람을 좋아하시는 아버지를 찬양하시다 (11:25-27)

      • 예수의 제자가 되어 그분의 멍에를 메면 새 힘을 얻는다 (11:28-30)

      • “안식일의 주”이신 예수 (12:1-8)

      • 안식일에 손이 오그라든 사람을 고쳐 주시다 (12:9-14)

      • 하느님이 사랑하시는 종 예수 (12:15-21)

      • 베엘세붑이 아니라 성령의 힘으로 악귀들을 쫓아내시다 (12:22-30)

      • 용서받지 못할 죄 (12:31, 32)

      • 나무는 그 열매로 알 수 있다 (12:33-37)

      • 요나의 표징 (12:38-42)

      • 더러운 영이 돌아오면 (12:43-45)

      • 예수의 어머니와 형제들 (12:46-50)

마태복음 12:1

  • 안식일: 용어 설명 참조.

    곡식밭 사이로 지나가셨다: 밭 사이에 난 좁은 길로 지나가셨다는 의미인 것 같다.

멀티미디어

  • 곡식 낟알

상호 참조 성구

  • +출 12:16; 신 23:25; 막 2:23-28; 눅 6:1-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76면

    「파수대」

    1997/11/15, 28면

    1986/10/1, 20면

  • 출판물 색인

    예길 76; 파97 11/15 28; 역 제31장; 깨86 10/1 20;

    파77 402; 사 77/5 1

마태복음 12:2

  • 보십시오!: 마 1:23 연구 노트 참조.

    해서는 안 되는 일: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안식일에 일을 해서는 안 된다고 명령하셨다. (출 20:8-10) 유대교 지도자들은 일에 해당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정할 권리가 자신들에게 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예수의 제자들이 이삭을 따서 손으로 비비는 행동을 함으로 곡식을 수확해서 타작하는 일을 하는 잘못을 범했다고 주장했다. (눅 6:1, 2) 하지만 그러한 주장은 여호와의 명령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적용한 것이었다.

상호 참조 성구

  • +출 20:10; 31:15; 신 5: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76면

    「파수대」

    1997/11/15, 28면

    1986/10/1, 20면

  • 출판물 색인

    예길 76; 파97 11/15 28; 역 제31장; 깨86 10/1 20;

    파77 402; 사 77/5 1

마태복음 12:3

상호 참조 성구

  • +삼상 21:1-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76면

    「파수대」

    2002/9/1, 18면

    2002/8/15, 11-12면

    1986/10/1, 20-21면

  • 출판물 색인

    예길 76; 파02 8/15 11-12; 파02 9/1 18; 역 제31장; 깨86 10/1 20-21;

    사 77/5 1

마태복음 12:4

  • 하느님의 집: 막 2:26 연구 노트 참조.

    차림빵: 또는 “진설병”. 이 표현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원어는 문자적으로 “얼굴의 빵”을 의미한다. 히브리어에서 “얼굴”은 “면전” 즉 “앞”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빵은 여호와께 항상 바치는 제물이었으므로 늘 그분 앞에 있었다.—출 25:30. 용어 설명 및 부록 나5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출 25:30; 40:22, 23
  • +레 24:5-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876면

    「예수—길」 76면

    「파수대」

    2002/9/1, 18면

    1986/10/1, 20-21면

  • 출판물 색인

    통-2 876; 예길 76; 파02 9/1 18; 역 제31장; 깨86 10/1 20-21;

    사 77/5 1

마태복음 12:5

  • 안식일을 어겨도: 안식일에도 다른 날처럼 일을 한다는 의미이다. 제사장들은 안식일에도 동물 희생을 바치기 위해 도살을 포함한 여러 가지 일을 했다.—민 28:9, 10.

상호 참조 성구

  • +민 28:9; 요 7:2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76-77면

    「깨어라!」

    1986/10/1, 21면

  • 출판물 색인

    예길 76-77; 역 제31장; 깨86 10/1 21

마태복음 12:6

상호 참조 성구

  • +눅 11:31, 32

마태복음 12:7

  • 자비를 원하고 희생 제물을 원하지 않는다: 마 9:13 연구 노트 참조.

    무슨 뜻인지: 직역하면 “무엇인지”. 그리스어 에스틴은 문자적으로 “~이다”를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뜻하다; 상징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마 26:26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23:23
  • +호 6:6; 미 6:6, 8; 마 9:13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3 43; 파71 549

마태복음 12:8

  • ‘사람의 아들’: 마 8:20 연구 노트 참조.

    안식일의 주: 예수께서는 이 표현을 자신에게 적용하여 (막 2:28; 눅 6:5) 하늘의 아버지께서 명령하신 일을 자신이 안식일에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셨다. (요 5:19; 10:37, 38 비교) 그분은 병 고치는 일을 포함하여 매우 인상 깊은 기적들을 안식일에 행하셨다. (눅 13:10-13; 요 5:5-9; 9:1-14) 분명 그 기적들은 안식의 쉼과도 같은 왕국 통치 기간에 그분이 인류를 위해 어떤 일을 하실 것인지 미리 보여 주는 것이었다.—히 10:1.

상호 참조 성구

  • +출 34:21; 레 25:3, 4, 10; 막 2:27, 28; 눅 6: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00, 826면

    「예수—길」 77면

    「파수대」

    2008/2/15, 28면

    1986/10/1, 21면

  • 출판물 색인

    통-2 100, 826; 예길 77; 파08 2/15 28; 역 제31장; 깨86 10/1 21

마태복음 12:9

멀티미디어

  • 1세기 회당

마태복음 12:10

  • 손: 그리스어 원어는 손, 팔, 손가락을 다 가리킬 수 있는 폭넓은 표현이다.—또한 마 12:13 참조.

각주

  • *

    또는 “마비된”.

상호 참조 성구

  • +막 3:1-6; 눅 6:6-11
  • +눅 14:3; 요 9:1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78면

    「파수대」

    1998/8/1, 9-10면

    1986/10/15, 22면

  • 출판물 색인

    예길 78; 파98 8/1 9; 역 제32장; 파86 10/15 22

마태복음 12:11

상호 참조 성구

  • +출 23:4; 신 22:4; 눅 14: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78면

    「파수대」

    1998/8/1, 9-10면

    1986/10/15, 23면

  • 출판물 색인

    예길 78; 파98 8/1 9; 역 제32장; 파86 10/15 23

마태복음 12:12

  • 얼마나 더: 마 7:11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3 2/22 18

마태복음 12: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78면

    「파수대」

    1986/10/15, 23면

  • 출판물 색인

    예길 78; 역 제32장; 파86 10/15 23

마태복음 12:15

상호 참조 성구

  • +막 3:7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2 3/22 22

마태복음 12:16

  • 자신을 알리지 말라고: 막 3:12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8:3, 4; 막 3:11, 12; 7:35, 3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8면

  • 출판물 색인

    통-1 18;

    깨72 3/22 22

마태복음 12:17

  • 예언자 이사야를 통해 하신 이런 말씀이 성취되게 하려는 것이었다: 마 1:22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2 3/22 22

마태복음 12:18

  • 보라!: 마 1:23 연구 노트 참조.

    내가 승인한: 또는 “내 영혼이 승인한”. 사 42:1에서 인용한 이 표현에서 히브리어 네페시가 그리스어 프시케로 번역되었다. 두 단어 모두 종종 “영혼”이라고 번역된다. (용어 설명 “영혼” 참조) 또한 여기서 “승인한”은 “매우 좋아하는”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마 3:17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행 3:13
  • +마 3:17; 17:5
  • +사 61:1; 막 1:1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39면

    「가까이 가십시오」 151-156면

    「예수—길」 80면

    「이사야의 예언 제2권」 31-37면

    「파수대」

    1998/8/1, 9-12면

    1993/1/15, 10면

    1986/10/15, 20-21면

  • 출판물 색인

    까 151-156; 예길 80; 따 39; 예-2 31-32, 35-37; 파98 8/1 9-12; 파93 1/15 10; 역 제33장; 깨86 10/15 20-21;

    깨72 3/22 22

마태복음 12:19

상호 참조 성구

  • +딤후 2:2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8면

    「통찰」 제1권 82면

    「예수—길」 80면

    「깨어라!」

    1986/10/15, 20-21면

  • 출판물 색인

    통-1 18, 82; 예길 80; 역 제33장; 깨86 10/15 20-21;

    깨72 3/22 22

마태복음 12:20

  • 온전히 이룰: 또는 “승리로 이끌”. 이 표현에 사용된 그리스어 니코스가 고전 15:55, 57에서는 “승리”로 번역되었다.

    연기 나는 심지: 일반 가정에서는 진흙으로 구워 만든 등잔에 올리브기름을 담아 불을 밝혔다. 아마로 만든 심지가 기름을 빨아올려 불꽃이 타오르게 했다. “연기 나는 심지”로 번역된 그리스어는 불씨는 살아 있지만 불꽃이 약해지거나 사그라져서 연기가 나는 심지를 가리킬 수 있다. 사 42:3의 예언은 예수께서 동정심을 나타내실 것임을 즉 그분이 비천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이 가진 마지막 희망의 불씨를 결코 끄지 않으실 것임을 알려 준다.

상호 참조 성구

  • +마 11:2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47면

    「생활과 봉사 집회 교재」

    2017/12, 5면

    「파수대」

    2015/2/15, 8면

    2008/10/1, 5면

    2008/6/15, 6면

    1998/8/1, 13-14면

    1995/11/15, 21-24면

    1994/10/1, 16-17면

    1993/1/15, 10면

    1986/10/15, 20-21면

    「예수—길」 80-81면

  • 출판물 색인

    통-1 47; 집교17.12 5; 파15 2/15 8; 예길 80-81; 파08 6/15 6; 파08 10/1 5; 파98 8/1 14; 파95 11/15 21-24; 파94 10/1 16-17; 파93 1/15 10; 역 제33장; 깨86 10/15 21;

    파77 450

마태복음 12:21

상호 참조 성구

  • +사 11:10; 42:1-4; 행 4:12; 롬 15: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80-81면

    「깨어라!」

    1986/10/15, 20-21면

  • 출판물 색인

    예길 80-81; 역 제33장; 깨86 10/15 21;

    파84 4/1 18; 파74 174

마태복음 12:24

  • 베엘세붑: 사탄을 가리키는 명칭.—마 10:25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막 3:22-27; 눅 11:15-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113-114면

    「통찰」 제1권 869-870면

    「통찰」 351-352, 1048면

    「신세계역」 1700면

    「파수대」

    2002/9/1, 11-12면

  • 출판물 색인

    통-1 869-870, 1048; 통-2 351-352; 신세 1700; 따 113; 파02 9/1 11-12;

    령 39, 79; 목 134

마태복음 12:25

  • 집안: 직역하면 “집”. 그리스어 원어는 가족이나 더 넓은 의미의 집안을 가리킬 수 있다.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 왕궁에 속한 사람들 전체를 지칭하기도 한다. (행 7:10; 빌 4:22) 이 단어는 헤롯 왕조나 카이사르 왕조와 같은 통치하는 왕조를 가리키는 데도 사용되었는데, 그러한 왕조에서는 내부 분열이 자주 일어났고 그로 인해 파멸적인 결과를 맞는 경우가 많았다. 이 구절에서는 “집안”과 도시가 짝을 이루는 대구 표현으로 사용되어, 분열이 일어나면 도시든 집안이든 할 것 없이 몰락하게 된다는 점을 보여 준다.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2/9/1, 11-12면

  • 출판물 색인

    파02 9/1 12

마태복음 12:26

  • 사탄: 마 4:10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113-114면

    「파수대」

    2002/9/1, 11-12면

  • 출판물 색인

    따 113-114; 파02 9/1 12

마태복음 12:27

  • 아들들: 이 경우에는 “추종자들; 제자들”이라는 의미이다.

    그들: “당신들의 아들들”을 가리킨다.

    당신들의 재판관이 될 것입니다: 바리새인들의 아들들이 한 일로 바리새인들의 주장이 타당하지 않음이 증명된다는 의미이다.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114면

    「통찰」 제2권 351-352면

    「예수—길」 103면

    「파수대」

    2002/9/1, 12면

    1987/2/15, 9면

  • 출판물 색인

    통-2 351-352; 예길 103; 따 114; 파02 9/1 12; 역 제41장; 파87 2/15 9

마태복음 12:28

  • 하느님의 영: 또는 “하느님의 활동력”. 후에 예수께서 하신 비슷한 말씀이 눅 11:20에 기록되어 있는데, 그때 그분은 “하느님의 손가락으로” 악귀를 쫓아내는 것에 관해 말씀하셨다.—눅 11:20 연구 노트 참조.

각주

  • *

    또는 “이미 와 있는데 당신들이 모르고 있는”.

상호 참조 성구

  • +눅 11: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95, 1097면

  • 출판물 색인

    통-2 395, 1097;

    령 79

마태복음 12:2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51, 753-754면

  • 출판물 색인

    통-2 351, 753-754

마태복음 12:30

상호 참조 성구

  • +막 9:40; 눅 9:50; 11: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03면

    「파수대」

    1987/2/15, 9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03; 역 제41장; 파87 2/15 9;

    파85 8/1 23

마태복음 12:31

  • 모독하는 것: 여기서 “모독하다”로 번역된 원어 표현은 하느님에 대해 혹은 신성한 것에 대해 모욕적인 말이나 명예를 훼손시키는 말 또는 욕설을 하는 것을 가리킨다. 거룩한 영 즉 성령은 하느님에게서 나오므로, 영의 작용을 고의적으로 반대하거나 부인하는 것은 하느님을 모독하는 행위이다. 마 12:24, 28에 나오는 것처럼, 유대교 지도자들은 하느님의 영의 작용으로 예수께서 기적을 행하시는 것을 보고도 그 능력이 사탄 마귀에게서 나왔다고 주장했다.

상호 참조 성구

  • +막 3:28, 29; 행 7:51; 히 6:4, 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257-1258면

    「통찰」 823, 930면

    「예수—길」 103면

    「파수대」

    2007/8/15, 19면

    2007/7/15, 17-18면

    1987/2/15, 9면

    「깨어라!」

    2003/2/8, 12-13면

    「추리」 163면

  • 출판물 색인

    통-1 930, 1257-1258; 통-2 823; 예길 103; 파07 7/15 17-18; 파07 8/15 19; 깨03 2/8 12-13; 추 163; 역 제41장; 파87 2/15 9;

    깨78 5/8 22; 령 79; 목 134; 깨76 2/22 23; 파75 187; 부 153; 파74 295

마태복음 12:32

  • 세상 제도: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아이온의 기본 의미는 “시대”이다. 이 단어는 특정한 기간이나 시대를 구분 짓는 상태나 특징을 가리킬 수도 있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이 세상 제도는 사탄이 통치하는 불경건한 현 세상 제도를 가리키며 (고후 4:4; 엡 2:2; 딛 2:12) 오는 세상 제도는 하느님께서 통치하시며 “영원한 생명”이 약속되어 있는 세상 제도를 의미한다. (눅 18:29, 30) 예수께서는 성령을 모독하면 이 두 세상 제도 어디에서도 용서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이다.—용어 설명 “세상 제도(들)”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딤전 1:13
  • +눅 12:10; 히 10: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823, 930, 1038면

    「예수—길」 103면

    「파수대」

    1992/9/15, 9-10면

    1987/2/15, 9면

    「추리」 163, 267면

  • 출판물 색인

    통-1 930, 1038; 통-2 823; 예길 103; 추 163, 267; 파92 9/15 9; 역 제41장; 파87 2/15 9;

    깨78 5/8 22; 령 79; 목 134; 파76 72; 파75 187; 부 153; 파74 295

마태복음 12:33

상호 참조 성구

  • +마 7:17; 눅 6:4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04면

    「파수대」

    1987/3/1,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04; 역 제42장; 파87 3/1 8

마태복음 12:34

  • 독사의 자식들: 마 23:33 연구 노트 참조.

멀티미디어

  • 뿔북살무사

상호 참조 성구

  • +마 3:7; 23:33
  • +마 15:1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351면

    「통찰」 제1권 472면

    「파수대」

    2008/1/1, 12면

    2003/9/15, 10-11면

  • 출판물 색인

    통-1 351, 472; 파08 1/1 12; 파03 9/15 10-11;

    파78 2/1 8

마태복음 12:35

상호 참조 성구

  • +눅 6:45; 약 3:6

마태복음 12:36

각주

  • *

    또는 “무가치한”.

상호 참조 성구

  • +전 12:14; 롬 14: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04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04;

    파79 4 30

마태복음 12:3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04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04;

    파79 4 30

마태복음 12:38

상호 참조 성구

  • +마 16:1; 막 8:11; 요 2:1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059-1060면

    「예수—길」 104면

    「파수대」

    1996/11/15, 29면

    1987/3/1, 8면

  • 출판물 색인

    통-2 1059-1060; 예길 104; 파96 11/15 29; 역 제42장; 파87 3/1 8;

    파78 9 6-7

마태복음 12:39

  • 간음하는: 영적 간음 즉 하느님께 불충실한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막 8:38 연구 노트 참조.

    요나의 표징: 요나는 자신이 약 3일 동안 물고기의 배 속에 있다가 구출된 것을 무덤에서 부활되는 것에 비했다. (욘 1:17–2:2) 예수께서 문자적인 무덤에서 부활되시는 것은 요나가 물고기의 배 속에서 구출된 것만큼이나 확실한 것이었다. 하지만 예수께서 3일째 되는 날 부활되셨을 때에도 완고하고 비평적인 사람들은 그분에게 믿음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주

  • *

    또는 “기적에 의한 증거”.

상호 참조 성구

  • +마 16:4; 눅 11:29-3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059-1060면

    「예수—길」 104면

    「여호와의 날」 11면

    「파수대」

    1996/5/15, 28면

    1995/11/1, 13면

    1987/3/1, 8면

    「‘모든 성경’」 153, 154-155면

  • 출판물 색인

    통-2 1060; 예길 104; 활 11; 파96 5/15 28; 파95 11/1 13; 감 153-155; 역 제42장; 파87 3/1 8;

    파85 5/1 9; 파83 2/1 24; 파78 9 7; 파76 282

마태복음 12:40

  • 밤낮 3일: 성경의 다른 기록들에서 알 수 있듯이, 이 표현이 반드시 만 3일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24시간이 안 되어도 하루로 간주될 수 있었다.—창 42:17, 18; 왕상 12:5, 12; 마 27:62-66; 28:1-6.

상호 참조 성구

  • +욘 1:17
  • +마 16:21; 17:23; 27:63; 눅 24:4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348, 716, 1271면

    「통찰」 제2권 413-414, 474면

    「예수—길」 104-105면

    「파수대」

    2003/3/15, 17-18면

    1996/5/15, 28면

    1990/8/15, 30면

    1987/3/1, 8면

    「‘모든 성경’」 153, 154-155면

  • 출판물 색인

    통-1 348, 716, 1271; 통-2 413-414, 474; 예길 104; 파03 3/15 17-18; 파96 5/15 28; 감 153-155; 역 제42장; 파90 8/15 30; 파87 3/1 8;

    생 42; 파83 2/1 24; 깨81 9/1 18

마태복음 12:41

상호 참조 성구

  • +욘 3:5
  • +눅 11:3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474면

    「파수대」

    1996/5/15, 28면

    「‘모든 성경’」 153, 154-155면

  • 출판물 색인

    파24.05 5; 통-2 474; 파96 5/15 28; 감 153-155;

    생 58; 깨81 9/1 18; 년 120; 깨76 1/22 12; 부 154

마태복음 12:42

  • 남방 여왕: 스바의 여왕을 가리킨다. 그의 왕국은 아라비아 남서부에 있었던 것 같다.—왕상 10:1.

상호 참조 성구

  • +왕상 10:1; 대하 9:1
  • +마 12:6; 눅 11:3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83면

    「통찰」 413-414, 1209면

    「파수대」

    1999/7/1, 31면

    1990/6/15, 5-6면

    1990/6/1, 6-7면

    「‘모든 성경’」 114면

  • 출판물 색인

    통-1 1209; 통-2 413-414; 따 83; 파99 7/1 31; 감 114; 파90 6/1 6-7; 파90 6/15 5-6;

    파85 5/15 24; 파85 8/15 18; 년 49, 120; 깨76 1/22 12; 부 154; 파72 250

마태복음 12:43

상호 참조 성구

  • +눅 11:24-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92면

  • 출판물 색인

    통-2 92;

    부 75

마태복음 12:44

색인

  • 출판물 색인

    파81 6 28; 부 75

마태복음 12:45

상호 참조 성구

  • +히 6:4, 6; 벧후 2: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05면

    「파수대」

    1995/11/1, 13면

    1987/3/1, 8-9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05; 파95 11/1 13; 역 제42장; 파87 3/1 8-9;

    파81 6 28; 부 75

마태복음 12:46

  • 형제들: 예수의 이부동생들을 가리킨다. 마 13:55과 막 6:3에 그들의 이름이 나온다.—“형제”라는 표현의 의미에 관해서는 마 13:55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13:55; 요 2:12; 행 1:14; 고전 9:5; 갈 1:19
  • +막 3:31-35; 눅 8:19-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174-1175면

  • 출판물 색인

    통-2 1174-1175

마태복음 12:47

  • 그래서 어떤 사람이 ··· 말했다: 일부 고대 사본에는 이 구절이 나오지 않는다.

    보십시오!: 마 1:23 연구 노트 참조.

마태복음 12:4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선생님」 222-223면

  • 출판물 색인

    배 222-223

마태복음 12:49

  • 보십시오!: 마 1:23 연구 노트 참조.

    보십시오! 내 어머니와 내 형제들입니다!: 여기서 예수께서는 자신의 제자들 즉 영적인 형제들과 자신의 친형제들을 구분하신 것인데, 그분의 친형제들은 그분에 대한 믿음이 없었던 것 같다. (요 7:5) 예수께서는 친족들과의 유대가 아무리 소중하더라도 “[그분의] 아버지의 뜻”을 행하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자신에게 훨씬 더 소중하다는 점을 보여 주신 것이다.—마 12:50.

상호 참조 성구

  • +요 20:17; 히 2:1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05면

    「선생님」 222-223면

    「파수대」

    1987/3/1, 9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05; 배 223; 역 제42장; 파87 3/1 9

마태복음 12:50

상호 참조 성구

  • +막 3:35; 눅 8: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596-597면

    「예수—길」 105면

    「파수대」

    2010/2/1, 4면

    2003/5/1, 8면

    1998/11/15, 13-14면

    1987/3/1, 9면

    「선생님」 222-223면

  • 출판물 색인

    통-1 596-597; 예길 105; 파10 2/1 4; 파03 5/1 8; 배 223; 파98 11/15 13-14; 역 제42장; 파87 3/1 9;

    파71 263; 잘 82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행 기록

마태 12:1막 2:23-28; 눅 6:1-5
마태 12:8막 2:27, 28
마태 12:10막 3:1-6; 눅 6:6-11
마태 12:15막 3:7
마태 12:16막 3:11, 12
마태 12:24막 3:22-27
마태 12:31막 3:28, 29
마태 12:46막 3:31-35; 눅 8:19-21
마태 12:50막 3:35; 눅 8:21

인용

마태 12:7호 6:6
마태 12:21사 42:1-4

일반

마태 12:1출 12:16; 신 23:25
마태 12:2출 20:10; 31:15; 신 5:14
마태 12:3삼상 21:1-6
마태 12:4출 25:30; 40:22, 23
마태 12:4레 24:5-9
마태 12:5민 28:9; 요 7:22
마태 12:6눅 11:31, 32
마태 12:7마 23:23
마태 12:7미 6:6, 8; 마 9:13
마태 12:8출 34:21; 레 25:3, 4, 10; 눅 6:5
마태 12:10눅 14:3; 요 9:16
마태 12:11출 23:4; 신 22:4; 눅 14:5
마태 12:16마 8:3, 4; 막 7:35, 36
마태 12:18행 3:13
마태 12:18마 3:17; 17:5
마태 12:18사 61:1; 막 1:10
마태 12:19딤후 2:24
마태 12:20마 11:28
마태 12:21사 11:10; 행 4:12; 롬 15:12
마태 12:24눅 11:15-23
마태 12:28눅 11:20
마태 12:30막 9:40; 눅 9:50; 11:23
마태 12:31행 7:51; 히 6:4, 6
마태 12:32딤전 1:13
마태 12:32눅 12:10; 히 10:26
마태 12:33마 7:17; 눅 6:43
마태 12:34마 3:7; 23:33
마태 12:34마 15:11
마태 12:35눅 6:45; 약 3:6
마태 12:36전 12:14; 롬 14:12
마태 12:38마 16:1; 막 8:11; 요 2:18
마태 12:39마 16:4; 눅 11:29-32
마태 12:40욘 1:17
마태 12:40마 16:21; 17:23; 27:63; 눅 24:46
마태 12:41욘 3:5
마태 12:41눅 11:30
마태 12:42왕상 10:1; 대하 9:1
마태 12:42마 12:6; 눅 11:31
마태 12:43눅 11:24-26
마태 12:45히 6:4, 6; 벧후 2:20
마태 12:46마 13:55; 요 2:12; 행 1:14; 고전 9:5; 갈 1:19
마태 12:49요 20:17; 히 2:11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마태복음 12:1-50

마태복음

12 그때에 예수께서 안식일에 곡식밭 사이로 지나가셨다. 그런데 제자들이 배가 고파 곡식 이삭을 따서 먹기 시작했다.+ 2 이것을 보고 바리새인들이 그분에게 “보십시오! 당신의 제자들이 안식일에+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하고 말했다. 3 그분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다윗과 그 일행이 배가 고팠을 때에 다윗이 어떻게 했는지 읽어 본 적이 없습니까?+ 4 그가 하느님의 집에 들어갔고, 그와 그 일행이 차림빵을+ 먹지 않았습니까? 그것은 다윗도 그 일행도 먹어서는 안 되고 제사장들만 먹을 수 있는 것이었는데 말입니다.+ 5 또 안식일에 제사장들이 성전에서 안식일을 어겨도 죄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율법에서 읽어 본 적이 없습니까?+ 6 당신들에게 말하는데, 성전보다 더 큰 이가 여기 있습니다.+ 7 ‘나는 자비를 원하고+ 희생 제물을 원하지 않는다’는+ 말씀이 무슨 뜻인지 당신들이 이해했더라면, 죄 없는 사람들을 정죄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8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입니다.”+

9 그분은 그곳을 떠나 회당에 들어가셨다. 10 그런데 거기에 한쪽 손이 오그라든* 사람이 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그분을 고발하려고, “안식일에 병을 고쳐 주어도 됩니까?” 하고 그분에게 물었다.+ 11 그분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여러분에게 양 한 마리가 있는데, 그 양이 안식일에 구덩이에 빠지면 붙잡아 끌어 올리지 않을 사람이 있겠습니까?+ 12 사람이 양보다 얼마나 더 소중합니까! 따라서 안식일에 좋은 일을 해도 됩니다.” 13 그러고 나서 그분은 그 사람에게 “손을 펴 보십시오” 하고 말씀하셨다. 그가 손을 펴자, 그 손이 다른 쪽 손과 같이 온전히 회복되었다. 14 그러나 바리새인들은 나가서, 그분을 죽이려고 모의했다. 15 예수께서는 이것을 아시고 그 자리를 떠나셨다. 많은 사람이 그분을 따라갔으며,+ 그분은 그들을 모두 고쳐 주셨다. 16 그리고 자신을 알리지 말라고 그들에게 단단히 이르셨다.+ 17 그것은 예언자 이사야를 통해 하신 이런 말씀이 성취되게 하려는 것이었다.

18 “보라! 내가 선택한 나의 종,+ 내가 승인한 나의 사랑하는 자를!+ 내가 나의 영을 그에게 주리니,+ 그는 민족들에게 공의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알려 줄 것이다. 19 그는 말다툼하지도 않고+ 큰 소리로 외치지도 않을 것이다. 아무도 큰길에서 그의 목소리를 듣지 못할 것이다. 20 그는 공의를 온전히 이룰 때까지 상한 갈대를 꺾지 않고 연기 나는 심지를 끄지 않을 것이다.+ 21 참으로, 민족들이 그의 이름에 희망을 둘 것이다.”+

22 그 후에 사람들이, 악귀 들려 눈멀고 말 못 하는 사람을 그분에게 데려왔다. 그분이 그를 고쳐 주시자, 말 못 하던 사람이 말을 하고 보게 되었다. 23 그러자 무리가 모두 깜짝 놀라며 “이분이 혹시 ‘다윗의 아들’이 아닐까?” 하고 말하기 시작했다. 24 바리새인들은 이 말을 듣고 “이자가 악귀들의 통치자인 베엘세붑의 힘을 빌리지 않고서는 악귀를 쫓아내지 못한다” 하고 말했다.+ 25 그분은 그들의 생각을 아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어떤 왕국이든지 서로 갈라서면 망하게 되며, 어떤 도시나 집안도 서로 갈라서면 서 있지 못할 것입니다. 26 그와 마찬가지로, 사탄이 사탄을 쫓아내면 서로 갈라선 것입니다. 그러면 그의 왕국이 어떻게 서 있겠습니까? 27 내가 베엘세붑의 힘을 빌려 악귀를 쫓아내는 것이라면, 당신들의 아들들은 누구의 힘을 빌려 악귀를 쫓아내는 것입니까? 그러므로 바로 그들이 당신들의 재판관이 될 것입니다. 28 그러나 내가 하느님의 영으로 악귀를 쫓아내는 것이라면, 하느님의 왕국은 이미 당신들에게 와 있는* 것입니다.+ 29 또 먼저 힘센 사람을 묶어 놓지 않고서야, 어떻게 그 힘센 사람의 집에 침입하여 소유물을 빼앗을 수 있겠습니까? 그를 묶어 놓고 나서야 그 집을 털어 갈 수 있을 것입니다. 30 누구든지 내 편이 아닌 사람은 나를 반대하는 사람이며, 나와 함께 모으지 않는 사람은 흩어 버리는 사람입니다.+

31 그러므로 당신들에게 말하는데, 사람들이 저지르는 온갖 죄와 모독은 용서받을 것이지만 영을 모독하는 것은 용서받지 못할 것입니다.+ 32 예를 들어, 누구든지 ‘사람의 아들’을 거스르는 말을 하는 사람은 용서받을 것이지만+ 누구든지 성령을 거슬러 말하는 사람은 이 세상 제도에서도 오는 세상 제도에서도 용서받지 못할 것입니다.+

33 당신들의 나무가 좋으면 열매도 좋고, 당신들의 나무가 썩어 있으면 열매도 썩어 있습니다. 그 열매로 그 나무를 알게 됩니다.+ 34 독사의 자식들이여,+ 당신들이 악한데 어떻게 선한 것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하는 법입니다.+ 35 선한 사람은 선한 것을 쌓아 두었다가 선한 것을 내놓지만, 악한 사람은 악한 것을 쌓아 두었다가 악한 것을 내놓습니다.+ 36 당신들에게 말하는데, 사람들은 자기들이 하는 모든 무익한* 말에 대해 심판날에 답변하게+ 될 것입니다. 37 당신은 자신의 말에 따라 의롭다고 인정받을 것이며, 자신의 말에 따라 정죄받을 것입니다.”

38 그 후에 서기관과 바리새인 중 몇 사람이 그분에게 “선생님, 선생님에게서 표징을 보고 싶습니다” 하고 말했다.+ 39 그러자 그분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악하고 간음하는 세대가 계속 표징*을 구하지만, 예언자 요나의 표징 외에는 아무런 표징도 주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40 요나가 밤낮 3일을 큰 물고기 배 속에 있었던 것처럼,+ ‘사람의 아들’도 밤낮 3일을 땅속에 있을 것입니다.+ 41 심판 때에 니네베 사람들이 이 세대와 함께 일어나 이 세대를 정죄할 것입니다. 그들은 요나가 전파한 것을 듣고 회개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요나보다 더 큰 이가 여기 있습니다.+ 42 심판 때에 남방 여왕이 이 세대와 함께 일으킴을 받아 이 세대를 정죄할 것입니다. 그 여왕은 솔로몬의 지혜를 들으려고 땅끝에서 왔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솔로몬보다 더 큰 이가 여기 있습니다.+

43 더러운 영이 어떤 사람에게서 나와 물 없는 곳을 돌아다니며 쉴 데를 찾지만 어디에서도 찾지 못합니다.+ 44 그러자 그 영은 ‘내가 나온 집으로 돌아가야겠다’ 하고 말합니다. 그리고 돌아가 보니 그 집이 비어 있고, 깨끗이 청소되고 단장되어 있습니다. 45 그래서 그 영은 가서 자기보다 더 악한 다른 영 일곱을 데려와서 함께 그 집에 들어가 삽니다. 그리하여 그 사람의 나중 상태가 처음보다 더 나빠집니다.+ 이 악한 세대도 그렇게 될 것입니다.”

46 그분이 아직 무리에게 말씀하고 계실 때에, 그분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그분에게 말하려고 밖에 서 있었다.+ 47 그래서 어떤 사람이 그분에게 “보십시오! 선생님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선생님께 말하려고 밖에 서 있습니다” 하고 말했다. 48 그러자 그분은 그 말을 한 사람에게 “누가 내 어머니이고 누가 내 형제들입니까?” 하고 물으셨다. 49 그리고 손으로 제자들을 가리키면서 말씀하셨다. “보십시오! 내 어머니와 내 형제들입니다!+ 50 누구든지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이며 자매이며 어머니입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