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로마서 13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로마서 개요

    • 다. 참그리스도인다운 생활에 관한 조언 (12:1–15:13)

      • 1. 하느님께 드리는 마음을 다한 숭배와 동료 그리스도인들과 다른 사람들에게 나타내야 할 태도 (12:1-21)

        • ‘이지력을 사용해 여러분의 몸을 거룩한 산 희생 제물로 바치십시오’ (12:1, 2)

        • 그리스도인들은 서로 다른 선물을 가지고 있지만 한 몸을 이룬다 (12:3-8)

        • 동료 그리스도인들을 사랑하고 존중하라. 여호와를 섬기면서 열심과 인내와 복종하는 태도를 나타내라 (12:9-16)

        • “계속 선으로 악을 이기십시오” (12:17-21)

      • 2. 참그리스도인과 국가 (13:1-7)

        • 하느님의 봉사자인 “위에 있는 권위”에 복종하라 (13:1-4)

        • 권위를 가진 자들에게 그들이 당연히 받아야 할 것을 주라 (13:5-7)

      • 3. 사랑의 법을 완성하라. 깨어 있으라 (13:8-14)

        • 사랑하는 것 외에는 누구에게든 아무 빚도 지지 말라.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다 (13:8-10)

        • 낮에 걷듯이 단정하게 걷고 예수를 본받으라 (13:11-14)

      • 4. 연합을 추구하라. 하느님의 왕국은 의와 평화와 기쁨을 의미한다 (14:1–15:13)

        • 서로 판단하지 말라 (14:1-12)

        • 다른 사람을 걸려 넘어지게 하지 말라 (14:13-18)

        • 평화와 서로를 세워 주는 일을 추구하라 (14:19-23)

        • 자신을 기쁘게 하지 않으신 그리스도의 본을 따르라 (15:1-6)

        • “서로 환영하십시오”. 이방 사람들이 하느님께 영광을 돌릴 것이다 (15:7-13)

로마서 13:1

  • 사람: 또는 “생명체”. 여기 사용된 그리스어 프시케는 일부 성경 번역판들에서 “영혼”으로 번역되었으며 사람을 가리킨다.—용어 설명 “영혼” 참조.

    위에 있는 권위: 세속 정부의 권위를 가리킨다. 여기서 “권위”로 번역된 단어는 그리스어 엑수시아의 복수형이다. 그리스어 「칠십인역」을 읽는 사람들은 이 단어가 통치권이나 지배권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에 익숙했을 것이다. (단 7:6, 14, 27; 11:5 참조. 「칠십인역」의 이 구절들에서는 “통치하는 권위; 통치권; 권력”을 의미하는 히브리어와 아람어 단어들을 번역할 때 엑수시아가 사용되었다.) 눅 12:11에 나오는 “정부 관리와 권위를 가진 자”라는 표현에도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 “위에 있는”으로 번역된 그리스어는 딤전 2:2에 나오는 “왕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또는 “권위를 가진”, 각주] 모든 사람”이라는 표현에 사용된 단어와 어근이 같다. 일부 문맥에서는 이 단어가 단지 다른 사람에 대해 힘이나 권위를 행사하는 지위에 있는 것을 가리키며, “가장 높은” 권력이라는 의미는 들어 있지 않다. 빌 2:3을 보면 그 점을 알 수 있는데, 그 구절에서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다른 사람을 가장 높은 사람이 아니라 자기보다 “더 나은” 사람으로 여기라고 권고한다.

    하느님에 의해 상대적 지위에 놓여 있습니다: 직역하면 “하느님에 의해 정해진 자리에 놓여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그렇게 되도록 허용하셨다는 의미이다. 여러 사전들에서는 여기 사용된 그리스어 탓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렬하여 순서를 정하다; 두다; 정렬시키다; 특정한 순서로 놓다; 임명하다.” 일부 문맥에서 이 단어는 “마련하다; 정하다”로 번역되었다. (행 15:2; 28:23) 눅 7:8에서 누가는 한 장교의 “저도 상관이 있고, 제 밑에도 군인들이 있습니다”라는 말을 기록할 때 동일한 그리스어를 사용한다. “저도 상관이 있고”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표현을 직역하면 “저도 권위[롬 13:1-3에서 “권위”로 번역된 엑수시아의 한 형태] 아래 놓인[탓소의 한 형태] 사람이고”가 된다. 이 장교에게는 그보다 높은 자리에 상관이 있었고 그의 “밑에도 군인들이” 있었다. 따라서 그의 “권위”는 상대적인 것이었다. 이것을 볼 때 그리스어 탓소가 항상 단순히 “두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 단어는 누군가가 다른 사람들에 대해 갖는 상대적인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많은 번역판들은 롬 13:1에서 “하느님께서 정하신”이나 “하느님께서 세우신(임명하신)”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그런 표현은 세속 통치자들이 그러한 권위를 갖게 된 것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이 하느님께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신세계역」에서는 이 그리스어의 의미와 이 구절의 문맥과 성경의 다른 구절들에서 알려 주는 점(잠 21:1; 전 5:8; 단 4:32; 요 19:11)을 고려하여, “하느님에 의해 상대적 지위에 놓여 있습니다”라는 표현으로 번역한다. 하느님께서는 세속 정부들이 “상대적” 지위를 갖도록 허용하신다. 그 정부들은 서로에 대해서는 크거나 작은 권위를 가지고 있지만, 우주 주권자로서 최고 권위를 갖고 계신 하느님보다는 언제나 열등한 위치에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딛 3:1; 벧전 2:13, 14
  • +요 19:10, 11
  • +행 17: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3/10, 8-10면

    「파수대」 (연구용)

    2022/10, 13-14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45과

    「통찰」 397, 1046면

    「통찰」 제2권 552, 830면

    「하느님의 왕국이 통치한다!」 56-57면

    「파수대」

    2010/1/15, 24면

    2008/6/15, 31면

    2002/11/1, 17-18면

    2000/8/1, 4면

    1997/11/1, 16면

    1996/5/1, 10-11, 13-14면

    1995/5/15, 21-22면

    1994/7/1, 18-19면

    1990/12/15, 30면

    1990/11/1, 10-15, 18-19면

    1990/8/1, 24-25면

    「깨어라!」

    2003/12/8, 10-11면

    1990/8/15, 6면

    1987/9/15, 22면

    「지식」 131-132면

    「선포자」 190-191, 198면

    「추리」 209면

    「참다운 평화」 131-136면

  • 출판물 색인

    파23.10 8-10; 파22.10 13-14; 행누 제45과; 통-1 397; 통-2 552, 830, 1046; 국 56-57; 파10 1/15 24; 파08 6/15 31; 깨03 12/8 10-11; 파02 11/1 17-18; 추 209; 파00 8/1 4; 파97 11/1 16; 파96 5/1 10-11, 13-14; 파95 5/15 21-22; 짓 131-132; 파94 7/1 18-19; 와 190-191, 198; 파90 8/1 24; 파90 11/1 10-15, 18-19; 파90 12/15 30; 깨90 8/15 6; 깨87 9/15 22; 평 131-136;

    숭 164; 발 165; 파80 9 25-7; 파80 12 43-4; 깨79 7 43; 연76 211; 앞 26; 파75 574; 근73 112-15; 파73 37, 257-8, 273, 316; 파72 347

로마서 13:2

  • 하느님의 마련: “위에 있는 권위”는 하느님께서 일시적으로 허용하신 마련의 일부이다. (롬 13:1) 여기에 사용된 그리스어 표현에는 하느님께서 명령하시거나 지시하신 것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 세속 권위들은 인간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하느님께서 일시적으로 사용하시는 수단이다. 하지만 하느님께서 허용하지 않으신다면 그 어떤 인간 권위도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요 19:11) 그런 의미에서 위에 있는 권위는 하느님의 목적 안에서 상대적인 지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바울이 이 편지를 쓸 당시에 그리스도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던 위에 있는 권위는 주로, 네로 황제가 다스리던 로마 정부였다. 네로는 기원 54년부터 68년까지 통치했다. 바울은 사람들이 하느님의 통치를 받아야 하며 그분의 통치가 우월하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행 28:31; 고전 15:24) 바울의 말은 단지 여호와께서 인간 통치권이 존재하도록 허용하시는 한, 그리스도인들이 그것을 “하느님의 마련”으로 받아들이고 존중해야 한다는 의미였다.

각주

  • *

    또는 “거스르는”.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3/10, 8-10면

    「통찰」 제2권 1046면

    「통찰」 제2권 552면

    「파수대」

    2000/8/1, 4면

    1996/5/1, 10-11면

    1990/11/1, 18-19면

    「지식」 133-134면

    「참다운 평화」 131-132면

  • 출판물 색인

    파23.10 8-10; 통-2 552, 1046; 파00 8/1 4; 파96 5/1 10-11; 짓 133-134; 파90 11/1 18-19; 평 132;

    근73 112, 114; 파73 37; 파72 347-8

로마서 13:3

상호 참조 성구

  • +벧전 2:13, 14
  • +벧전 3:1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91, 491면

    「통찰」 제2권 552, 897-898면

    「파수대」

    1991/8/15, 19면

    1990/11/1, 19-20면

  • 출판물 색인

    통-1 491; 통-2 91, 552, 898; 파91 8/15 19; 파90 11/1 19-20;

    파79 6 48; 깨77 5/8 22

로마서 13:4

  • 하느님의 봉사자: 롬 13:1-3에 언급된 “권위”를 가리킨다. 이 인간 권위는 어떤 면에서 볼 때 하느님의 “봉사자” 즉 종(그리스어 디아코노스)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경에서는 이 그리스어를 “하인들”을 가리키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마 22:13; 요 2:5, 9) 이 단어와 어근이 같은 동사 디아코네오(섬기다; 시중을 들다)는 다른 사람을 위해 개인적 성격을 띠는 여러 가지 봉사를 하는 것을 묘사하는 데도 사용된다. (눅 8:3 연구 노트 참조) 세속 권위는 바로 그러한 의미로 “봉사자” 즉 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을 하느님의 봉사자라고 한 것은 하느님께서 그들이 한시적으로 존재하도록 허용하시기 때문이다. 그들은 사람들에게 유익이 되는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질서를 유지하고 사람들을 범죄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성경을 보면 세속 권위들이 다른 방법으로 하느님의 봉사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르시아 왕 키루스는 유대인들이 바빌론을 떠나 예루살렘에 있는 하느님의 집을 재건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라 1:1-4; 사 44:28) 페르시아 왕 아닥사스다는 에스라가 그 집을 재건하는 데 사용할 헌물을 가지고 가게 해 주었고, 후에는 느헤미야가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도록 허락해 주었다. (라 7:11-26; 8:25-30; 느 2:1-8) 로마 당국은 바울을 예루살렘에서 폭도로부터 구해 주었으며, 그가 파선을 당한 뒤에 보호해 주었고, 카이사르에게 재판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죄수의 신분으로 셋집에 머무를 수 있게 해 주었다.—행 21:31, 32; 28:7-10, 30, 31.

    칼: 이 표현은 세속 권위가 가진, 악한 일을 행하는 사람을 처벌할 수 있는 권리나 권한을 가리킨다. 세속 권위가 이 권한을 올바로 사용하면 범죄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세속 권위는 자신들의 권한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 하느님 앞에 책임이 있다. 예를 들어, 헤롯 안티파스왕은 이 상징적 칼을 잘못 사용하여 침례자 요한을 처형했다. (마 14:1-12) 헤롯 아그리파 1세도 그 권위를 남용하여 “요한의 형제 야고보를 칼로 죽였다.” (행 12:1, 2) 세속 통치자들이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게 하려고 한다면, 그들은 하느님의 봉사자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다.

    진노를 나타내는: 어떤 사람이 하느님의 법과 상충되지 않는 인간의 법을 어겨서 “통치자들”에 의해 처벌을 받는다면 그것은 악한 일을 행하는 사람에 대한 하느님의 진노가 간접적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롬 13:3) 이 문맥에서 “진노를 나타내다”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표현은 “처벌하다”로 번역할 수도 있다.

각주

  • *

    직역하면 “종”.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91, 491, 932-933면

    「통찰」 552, 903, 910면

    「깨어라!」

    2003/12/8, 11면

    1996/3/8, 22-23면

    「파수대」

    2000/8/1, 4-5면

    1997/6/15, 30-31면

    1996/5/1, 10-11면

    1994/7/1, 19-20, 22-23면

    1990/11/1, 20-21면

    「지식」 132-133면

    「참다운 평화」 132-133면

  • 출판물 색인

    통-1 491, 903, 910, 932-933; 통-2 91, 552; 깨03 12/8 11; 파00 8/1 4-5; 파97 6/15 30-31; 파96 5/1 10; 깨96 3/8 22-23; 짓 132-133; 파94 7/1 19-20, 22-23; 파90 11/1 20; 평 132;

    파83 11/1 22; 파81 7 36; 깨77 10/8 6; 파76 154; 깨76 2/22 23; 파72 348

로마서 13:5

  • 마땅히 복종해야 합니다: 또는 “복종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그리스어 아낭케는 문자적으로 “필요성”을 의미한다. 이 구절은 그리스도인이 마땅히 카이사르의 법을 따르고 세금을 내야 하는 이유가 카이사르가 가지고 있는 처벌의 “칼”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 아니라 그리스도인 양심 때문이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 준다. (롬 13:4 연구 노트 참조) 따라서 그리스도인은 인간 정부가 내리는 명령이 하느님의 법과 상충되지 않는 한 그 명령에 따른다.

상호 참조 성구

  • +골 3:22; 벧전 2:19; 3:1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36과

    「통찰」 제2권 552면

    「파수대」

    2011/9/1, 21-22면

    1990/11/1, 23-24면

    「참다운 평화」 135-136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36과, 45; 통-2 552; 파11 9/1 21-22; 파90 11/1 23-24; 평 135-136;

    파75 258, 326; 근73 114; 깨74 6/8 23; 파73 9

로마서 13:6

  • 일꾼: 또는 “공복”. 여기에 사용된 그리스어 단어는 레이투르고스(공적 봉사자; 공복)인데, 이 단어와 어근이 같은 단어들로는 레이투르게오(공적 봉사를 행하다)와 레이투르기아(공적 봉사)가 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사람들은 이 단어들을 국가나 행정 당국을 위해 수행되며 일반 대중에게 유익을 주려는 목적으로 행해지는 일이나 봉사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했다. (이 그리스어 단어들은 “백성; 민족; 사람들”을 의미하는 라오스와 “일”을 의미하는 에르곤에서 유래했다.) 이 구절에서는 세속 권위들이 사람들에게 유익을 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그들을 “일꾼” 즉 공복(레이투르고스의 복수형)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이 그리스어 단어들은 성전에서 수행되는 봉사나 그리스도인이 수행하는 봉사의 직무를 가리키는 데 자주 사용된다. 그러한 용법을 보려면 눅 1:23; 행 13:2; 롬 15:16 연구 노트를 참조할 수 있다.

    한결같이 그 목적을 위해 봉사하고: 또는 “이 일에 전념하고”. 세속 권위들은 앞 구절들에 언급된 것과 같은 일들을 수행하며 “하느님의 일꾼”으로서 사람들에게 유익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 세금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36과

    「통찰」 제2권 552면

    「파수대」

    2011/9/1, 22면

    2000/8/1, 5면

    1996/5/1, 10-11면

    1990/11/1, 24-25면

    「참다운 평화」 132-133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36과, 45; 통-2 552; 파11 9/1 22; 파00 8/1 5; 파96 5/1 10; 파90 11/1 24-25; 평 132-133;

    깨74 6/8 23; 파73 37; 파72 347

로마서 13:7

  • 주십시오: 직역하면 “돌려주십시오”. 이 그리스어 동사(아포디도미)는 마 22:21; 막 12:17; 눅 20:25에 나오는 “카이사르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돌려주십시오”라는 표현에도 사용되었다.—마 22:21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22:21; 막 12:17; 눅 20:25
  • +잠 24:21
  • +벧전 2:13, 1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3/10, 8-9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36과

    「통찰」 제2권 1046면

    「통찰」 제2권 552, 809면

    「파수대」 (연구용)

    2017/3, 10면

    「깨어라!」

    2008/9, 20-21면

    2003/12/8, 10-11면

    1990/8/15, 6면

    「파수대」

    2000/6/15, 14면

    1994/11/15, 26면

    1990/11/1, 11, 24-25면

    「선포자」 190면

    「참다운 평화」 132-133면

  • 출판물 색인

    파23.10 8-9; 행누 제36과, 45; 통-2 552, 809, 1046; 파17.03 10; 깨 08/9 20-21; 깨03 12/8 10-11; 파00 6/15 14; 파94 11/15 26; 와 190; 파90 11/1 11, 24-25; 깨90 8/15 6; 평 132-133;

    파82 5/15 22-3; 파79 6 48; 치 57; 깨79 7 43; 깨77 5/8 22; 깨77 10/8 23; 깨74 6/8 23; 파73 37, 459; 파72 347

로마서 13:8

상호 참조 성구

  • +골 3:14; 딤전 1:5; 요1 4:11
  • +갈 5:14; 약 2: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깨어라!」

    1999/4/8, 18-19면

  • 출판물 색인

    깨99 4/8 18;

    파82 11/15 23; 깨79 2 15; 복 162; 파77 522, 551; 깨73 2/22 19; 파72 189; 파71 215, 538

로마서 13:9

  • 간음해서는: 롬 2:22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출 20:14; 신 5:18; 마 5:27, 28; 고전 6:9, 10
  • +창 9:6; 출 20:13; 신 5:17
  • +출 20:15; 신 5:19
  • +출 20:17; 신 5:21
  • +레 19:18; 마 22:39; 눅 10:36, 37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3 532; 깨73 2/22 19; 파72 566

로마서 13:10

상호 참조 성구

  • +눅 6:31; 고전 13:4, 5; 딤후 2:24
  • +마 22:37-40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9 1 27; 깨77 8/22 4; 깨73 2/22 14, 19; 파72 566

로마서 13:11

상호 참조 성구

  • +눅 21:36; 살전 5: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709면

    「파수대」

    2013/11/15, 7면

    2012/3/15, 11면

    1992/5/1, 23면

    1989/10/1, 30-31면

  • 출판물 색인

    통-2 709; 파13 11/15 7; 파12 3/15 11; 파92 5/1 23; 파89 10/1 30-31;

    파79 12 27; 깨72 3/8 3

로마서 13:12

각주

  • *

    또는 “빛의 무기로 무장합시다.”

상호 참조 성구

  • +엡 5:10, 11
  • +고후 6:4, 7; 엡 6:11; 살전 5: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818, 992-993면

    「파수대」

    1989/10/1, 30-31면

  • 출판물 색인

    통-1 818, 993; 파89 10/1 30-31;

    파79 2 17

로마서 13:13

  • 흥청대는 잔치: 또는 “흥청거림”. 그리스어 코모스는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 세 번 나오는데, 항상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갈 5:21; 벧전 4:3) 이 단어는 “사람들이 모여 무절제하게 술을 마시고 부도덕한 행동을 하는 술잔치”로 정의된다. 고대 그리스어 문헌들에서 이 단어는 술의 신 디오니소스(또는 바쿠스) 같은 이교 신들에게 영예를 돌리는 축제 중에 사람들이 밤늦게까지 노래를 부르면서 떠들썩하게 거리를 행진하는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한 행진과 방탕한 행동은 사도 시대에 소아시아의 도시들을 비롯한 그리스의 여러 도시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었다. (벧전 1:1) 베드로는 그러한 도시들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편지하면서 그들이 그리스도인이 되기 전에 “제어되지 않은 정욕, 과음, 흥청대는 잔치, 술판을 벌이는 일, 가증스러운 우상 숭배에 빠져 있었다”고 썼다. (벧전 4:3, 4) 바울은 “흥청대는 잔치”를 “육체의 일”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 그러한 행동에 빠진 사람들은 “하느님의 왕국을 상속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갈 5:19-21) 바울과 베드로가 “흥청대는 잔치”라는 표현을 사용한 구절들을 보면 술 취함, 부도덕한 성관계, 성적 부도덕, 더러움, 방종한 행위, 제어되지 않은 정욕 같은 것들이 함께 언급되어 있다.

    방종: 여기서는 그리스어 아셀게이아의 복수형이 사용되었다. 이 그리스어는 하느님의 법을 심각하게 범하는 행위이자, 뻔뻔스럽거나 대담할 정도로 경멸적인 태도를 반영하는 행위를 가리킨다.—용어 설명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벧전 2:12
  • +엡 4:19; 벧전 4:3
  • +고후 12: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43과

    「깨어라!」

    2002/1/8, 21면

    1996/6/8, 14-15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43과; 깨02 1/8 21; 깨96 6/8 14-15;

    파79 2 17; 파74 143, 312

로마서 13:14

  • 주 예수 그리스도를 입으십시오: 또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특성(방식)을 본받으십시오”. “입다”에 해당하는 그리스어는 문자적으로 “옷을 입는” 것을 가리킨다. (눅 15:22; 행 12:21) 여기서는 다른 사람의 특성을 갖게 된다는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골 3:10, 12에 나오는 “입으십시오”라는 표현에도 동일한 그리스어가 사용되었다. 롬 13:14에 나오는 바울의 권고는 그리스도인들이 마치 그리스도의 본과 성향으로 옷을 입듯이 그분을 밀접히 따름으로, 그리스도와 같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상호 참조 성구

  • +고전 11:1; 갈 3:27; 엡 4:24
  • +갈 5:1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7/1/1, 17-18면

    2005/1/1, 11-12면

    1991/8/1, 13면

    1990/8/1, 25면

    1990/3/1, 19면

  • 출판물 색인

    파07 1/1 17-18; 파05 1/1 11-12; 파91 8/1 13; 파90 3/1 19; 파90 8/1 25;

    파79 2 17; 파79 6 31; 파74 312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인용

로마 13:9출 20:14
로마 13:9신 5:17
로마 13:9출 20:15
로마 13:9출 20:17
로마 13:9레 19:18

일반

로마 13:1딛 3:1; 벧전 2:13, 14
로마 13:1요 19:10, 11
로마 13:1행 17:26
로마 13:3벧전 2:13, 14
로마 13:3벧전 3:13
로마 13:5골 3:22; 벧전 2:19; 3:16
로마 13:7마 22:21; 막 12:17; 눅 20:25
로마 13:7잠 24:21
로마 13:7벧전 2:13, 17
로마 13:8골 3:14; 딤전 1:5; 요1 4:11
로마 13:8갈 5:14; 약 2:8
로마 13:9신 5:18; 마 5:27, 28; 고전 6:9, 10
로마 13:9창 9:6; 출 20:13
로마 13:9신 5:19
로마 13:9신 5:21
로마 13:9마 22:39; 눅 10:36, 37
로마 13:10눅 6:31; 고전 13:4, 5; 딤후 2:24
로마 13:10마 22:37-40
로마 13:11눅 21:36; 살전 5:6
로마 13:12엡 5:10, 11
로마 13:12고후 6:4, 7; 엡 6:11; 살전 5:8
로마 13:13벧전 2:12
로마 13:13엡 4:19; 벧전 4:3
로마 13:13고후 12:20
로마 13:14고전 11:1; 갈 3:27; 엡 4:24
로마 13:14갈 5:16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로마서 13:1-14

로마서

13 모든 사람은 위에 있는 권위에 복종하십시오.+ 하느님에게서 나오지 않은 권위는 없기 때문입니다.+ 현존하는 권위는 하느님에 의해 상대적 지위에 놓여 있습니다.+ 2 그러므로 그 권위를 대적하는* 사람은 하느님의 마련을 거스르는 것입니다. 그 마련을 거스르는 사람들은 심판을 자초할 것입니다. 3 통치자들은 선을 행하는 사람이 아니라 악을 행하는 사람에게 두려움의 대상이 됩니다.+ 권위를 두려워하지 않기를 바랍니까? 계속 선을 행하십시오.+ 그러면 권위로부터 칭찬을 받을 것입니다. 4 그 권위는 당신의 유익을 위한 하느님의 봉사자*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악한 일을 하고 있다면 두려워하십시오. 권위가 이유 없이 칼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권위는 하느님의 봉사자, 악한 일을 행하는 사람에게 진노를 나타내는 복수자입니다.

5 그러므로 여러분은 마땅히 복종해야 합니다. 그 진노 때문만이 아니라 여러분의 양심 때문에도 복종해야 합니다.+ 6 여러분이 세금을 내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그들은 하느님의 일꾼으로서 한결같이 그 목적을 위해 봉사하고 있습니다. 7 모든 사람에게 그들이 당연히 받아야 할 것을 주십시오. 세금을 요구하는 사람에게는 세금을,+ 공세를 요구하는 사람에게는 공세를 내고, 두려움을 요구하는 사람에게는 두려움을,+ 존경을 요구하는 사람에게는 존경을 나타내십시오.+

8 서로 사랑하는 것+ 외에는 누구에게든 아무 빚도 지지 마십시오. 남을 사랑하는 사람은 율법을 완성한 것입니다.+ 9 “간음해서는 안 된다,+ 살인해서는 안 된다,+ 도둑질해서는 안 된다,+ 탐내서는 안 된다”라는+ 계명과 그 밖의 다른 계명이 있을지라도, 율법은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는+ 말씀에 요약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10 사랑은 이웃에게 악한 일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11 이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지금이 어떤 시기인지를 여러분이 알기 때문입니다. 이미 잠에서 깨어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의 구원이 우리가 믿음을 갖게 되었을 때보다 더 가까워졌습니다. 12 밤이 많이 지났고 낮이 가까웠습니다. 그러므로 어둠에 속한 일들을 벗어 버리고+ 빛의 갑옷을 입읍시다.*+ 13 낮에 걷듯이 단정하게 걷고+ 흥청대는 잔치나 술 취함이나 부도덕한 성관계나 방종이나+ 분쟁이나 질투로+ 걷지 맙시다. 14 오히려 주 예수 그리스도를 입으십시오.+ 그리고 육체의 욕망을 채우려고 미리 계획하지 마십시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