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
가자
1. 가나안 경계에 관한 가장 오래 된 기록에 나오는 고대 도시. (창세 10:19, 「신세」 참조) 성경에 가자가 약 20회 언급되어 있는 것 외에도, 람세스 2세와 투트모스 3세와 세티 1세에 관한 고대 이집트 기록과 비문에도 이 도시가 언급되어 있다. 가자는 남서쪽으로 맨 끝에 있는, 유다 지파에 배정된 도시였던 것 같다. (여호수아 15:20, 47; 사사 6:3, 4) 이 도시의 주민들은 가자 사람이라고 불리었다.—여호수아 13:3; 사사 16:2.
가자를 텔엘아줄(텔벳에글라이임)과 동일시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 점은 가자의 고고학적 발굴물로도 확증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이 고대 도시는 예루살렘에서 서남서쪽으로 약 8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현대의 가자(가제, 아자)와 관련이 있다. 가자는 기복을 이루며 약 5킬로미터가량 뻗어 있는 모래 언덕에 의해 지중해와 분리되어 있지만, 올리브나무 숲과 과실나무와 돌무화과나무와 포도나무와 곡물로 유명한 물이 풍부한 지역에 위치해 있다. 농업은 고대 가자가 번영하는 데 기여한 것 같다. 하지만 이 도시의 중요성은 주로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상에 위치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 때문에 가자는 대상들과 군대들이 왕래하는 “관문”이 되었다.
블레셋 사람이 차지함. 기원전 1513년에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나오기 전 어느 때엔가, 함의 자손 갑도림은(창세 10:6, 13, 14) “가사[“가자”]까지 각 촌에 거하는 아위 사람”을 쫓아냈다. (신명 2:23, 「신세」 참조) 이스라엘 사람들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갔을 때, 가자는 블레셋 도시였으며 가자의 주민들 가운데 얼마는 아낙 사람이었다.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이스라엘의 군사 작전이 가자까지 펼쳐지긴 하였지만, 이 도시를 점령하지는 않은 것 같다. 가자는 블레셋의 도시로 남아 있었으며, 얼마의 아낙 사람이 이 곳에 계속 살았다. (여호수아 10:41; 11:22; 13:2, 3) 가자는 유다에 배정되었으며, 후에 그 지파에게 정복되었지만, 유다 사람이 이 도시를 계속 지배하지는 않았다. (여호수아 15:20, 47; 사사 1:18) 삼손 시대에 가자는 다시 블레셋 사람의 도시로 요새화되어 있었으며, 가자에는 다곤 숭배에 사용되는 “집”이 있었는데, 그 집은 지붕에만도 약 3000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다.
한번은 삼손이 가자에 있을 때 “밤중에 일어나 성문짝들과 두 설주와 빗장을 빼어 그것을 모두 어깨에 메고 헤브론 앞산[헤브론과 마주 대하고 있는 산] 꼭대기로 [갔다].” (사사 16:1-3, 괄호 안은 본지에서) 헤브론은 가자에서 약 60킬로미터 떨어진 거리에 있었다. 헤브론과 마주 대하고 있던 그 산의 정확한 위치는 불확실하다. 삼손이 문짝들과 설주들을 메고 얼마의 거리를 가서 그 곳에 있던 산에 오른 일은, 오직 여호와의 영에 의해서만 가능한 기적의 힘의 현시였음이 분명하다.
후에 삼손은 앞서 언급된 다곤 숭배에 사용되던 집을 무너뜨렸으며, 그 일로 삼손 자신은 물론 그 곳에 모여 있던 블레셋 사람들이 죽게 되었다.—사사 16:21-30.
가자는 사사 시대 전체(사무엘 상 6:17)와 이스라엘 왕들의 통치 기간에 계속 블레셋 도시였던 것 같다. 솔로몬 왕은 남서쪽에 있는 가자까지 지배하였지만, 블레셋 사람은 여전히 이 곳에 있었던 것 같다.—열왕 상 4:21, 24.
아시리아와 바빌론의 지배를 받다. 기원전 9세기 말경에, 여호와께서는 예언자 아모스를 통하여 가자의 성벽에 “불”을 보내시겠다고 말씀하셨는데, 그것은 가자 사람이 사로잡은 자를 끌어다가 에돔 사람에게 넘겨 준 일에 대한 보응이었다. (아모스 1:6, 7) “사로잡은 자”가 히브리 사람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지만, 그 표현은 블레셋 사람이 유다를 침공하여 탈취한 포로들을 암시하는 것 같다.—비교 역대 하 21:16, 17; 요엘 3:4-6.
그후 오래지 않아, 기원전 8세기 중엽에, 가자는 전쟁의 “불”을 경험하기 시작하였다. 아시리아 연대기에 따르면,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가 가자를 정복하였지만 가자 왕 하노는 이집트로 도피하였다. (J. 프릿처드 편저 「고대 근동 문헌」[Ancient Near Eastern Texts], 1974년판, 283면) 하노는 얼마 안 있어 가자로 돌아올 수 있었던 것 같다. 사르곤 2세가 하노는 물론이고 그와 동맹한 시베 휘하의 이집트 군대도 패배시켰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사르곤 2세는 직접 하노를 사로잡아 고랑을 채워 끌고 갔다고 주장한다.—「고대 근동 문헌」, 285면.
그때 이후로 가자는 대체로 아시리아에 충성을 나타낸 것 같다. 따라서 히스기야 왕이 가자에 이르기까지 블레셋 사람을 친 것은 아시리아에 대항한다는 것을 보여 준 것일 수 있다. (열왕 하 18:1, 7, 8) 이러한 대항이 있은 후, 세나케리브(산헤립) 왕은 유다에 대한 군사 행동을 개시하였으며, 그의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유다의 여러 도시를 탈취하여 아스돗 왕 미틴티와 에그론 왕 파디(예루살렘에 갇힌 적이 있음)와 가자 왕 실리벨에게 주었다.—「고대 근동 문헌」, 287, 288면.
예레미야 시대에 이집트 군대는 가자를 쳤다. (예레미야 47:1) 이 일이 있기 전, 블레셋에 대한 여호와의 말씀은 재난이 북쪽으로부터 가자에 닥칠 것이라고 즉 “가사[“가자”]가 삭발되”리라고 알려 준다. (예레미야 47:2-5, 「신세」 참조; 또한 예레미야 25:17, 20, 「신세」 참조) 예레미야에 나오는 다른 구절들이(1:14; 46:20) 암시하는 바와 같이, 예레미야 47:2에 언급된 “북방”에서 밀려오는 “물”은 바빌론 군대를 가리키는 것 같다. 바빌론의 네부카드네자르(느부갓네살) 왕은 사실상 이 지역을 지배하였으며(열왕 하 24:1, 7), 가자 왕은 바빌론의 비문에도 언급되어 있다. (「고대 근동 문헌」, 308면) 따라서 “바로가 가사[“가자”]를 치기 전”(예레미야 47:1, 「신세」 참조)이라는 말은 단지 블레셋 사람에 대한 여호와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한 시기를 나타내 주는 것 같다. 그 말은 뒤이어 언급된 “북방에서” 닥칠 심판의 표현과 반드시 직접적인 관련은 없을 것이다.
멸망됨. 예레미야와 동시대 사람인 예언자 스바냐는 가자에 대한 여호와의 비슷한 심판의 소식을 이렇게 전하였다. “가사[“가자”]가 버리우[리라].” (스바냐 2:4, 「신세」 참조) 그리고 바빌론이 멸망된 뒤에 기록된 스가랴의 예언에서도 장차 있을 재난을 이렇게 언급하였다. “가사[“가자”]도 심히 아파할 것이[니라].” (스가랴 9:5, 「신세」 참조) 역사는 그 예언된 재난이 성취되었음을 확증한다. 기원전 4세기 후반에, 알렉산더 대왕은 5개월간의 포위 끝에(「유대 고대사」[Jewish Antiquities], 제11권, 325면, [viii, 4]에 따르면, 2개월로 되어 있음) 가자를 점령하였다. 많은 주민이 살육당하였으며 생존자들은 노예로 팔렸다. 200여 년 후에 유대인 알렉산더 자나이우스는 이 도시를 1년간 포위한 뒤 완전히 황폐시켰다.—「유대 고대사」, 제13권, 364면 (xiii, 3).
로마 출신의 시리아 총독인 가비니우스가 가자의 재건을 명하긴 하였지만, 아마 그 도시는 새로운 장소에 재건된 것 같다. (「유대 고대사」, 제14권, 87, 88면 [v, 3]) 일부 학자들은 사도 8:26에 나오는 그리스어 단어 에레모스(황폐된 [곳])가 고대의 버려진 가자를 의미한다고 생각한다(예를 들면, 「미국역」에 의하면 그 표현이 이렇게 번역되어 있다. “그 도시는 지금 황폐되어 있다”). 그런가 하면 에레모스가 그 도시로 연결되는 길을 의미한다고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어, “그것은 황야 길이다”라고 번역하기도 한다.—「신세계역」; 비교 「예루살렘역」, 「신영어 성서」, 「개역 표준역」.
2. 에브라임 구역 내에 있는, 딸린 성읍들이 있는 한 도시. (역대 상 7:28, 「신세」 참조) 이 도시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가자는 고대 아이와 동일한 곳은 아닐지라도, 그 도시 부근의 어느 장소일지 모른다. 여러 성서 번역판에 나오는 다른 표현인 “아야”도 많은 히브리어 사본의 지지를 얻고 있다. 하지만 다른 히브리어 사본들과 타르굼에는 “가자”에 대한 증거도 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