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라
(Lystra)
소아시아의 남쪽 중앙부에 있던 지역인 리카오니아의 도시. 리스트라는 코니아(이코니온)에서 남남서쪽으로 32킬로미터쯤 떨어진 비옥하고 물이 넉넉한 지역에 자리 잡은 하툰사라이의 북쪽 둔덕에 위치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사도 바울과 바나바는 그들을 돌로 치려는 시도 때문에 이코니온을 떠나지 않을 수 없게 되자 로마의 갈라디아 속주에 있는 리스트라로 왔다. 당시 이 도시는 로마의 식민 도시였는데, 이전에 아우구스투스가 식민 도시로 삼은 것이다. 하지만 원주민들은 계속해서 리카오니아 말을 사용하였다. 바울이 태어날 때부터 다리가 불구였던 사람을 고치자 무리는 그와 바나바가 신들인 헤르메스와 제우스의 화신이라고 단정하였다. 바울과 바나바는 사람들이 그들에게 희생을 바치려고 하는 것을 가까스로 제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나중에 이코니온과 피시디아 안티오크에서 온 유대인들이 리스트라 주민들을 크게 선동하여 바울을 반대하게 하였기 때문에 그들은 바울을 돌로 쳤으며 그를 죽은 줄로 생각하고 도시 밖으로 끌어냈다. 그 후 동료 그리스도인들에게 둘러싸이자 바울은 일어나 리스트라로 들어갔으며, 이튿날 바나바와 함께 데르베로 떠났다.—행 14:1, 5-20.
데르베에서 활동한 후 바울과 바나바는 리스트라와 이코니온과 안티오크로 다시 돌아왔다. 그들은 그 도시들에 새로 설립된 그리스도인 회중들과 연합해 있던 제자들을 강화시키고 격려하였으며 연로자들을 임명하였다.—행 14:21-23.
후에 할례 문제가 사도들과 예루살렘 회중의 연로자들에 의해 해결되자(기원 49년경), 바울은 다시 데르베와 리스트라를 방문하였다. 사도행전 16:1에서 이 일을 언급한 내용을 보면 젊은이인 디모데가 살던 곳이 리스트라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고 그 근처에 있던 데르베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증거는 리스트라를 지지하는 것 같다. 디모데와 관련하여 데르베는 다시 언급되지 않지만, 사도행전 16:2에서는 디모데가 “리스트라와 이코니온에 있는 형제들에게 좋은 평판을 받고 있었다”고 구체적으로 알려 주기 때문이다. (또한 디둘 3:10, 11 참조) 디모데는 매우 훌륭하게 발전하였기 때문에 바울은 그를 여행 동료로 택하였다.—행 16:3.
사도 바울은 삼 차 선교 여행에서 ‘갈라디아 지방’ 여러 곳을 방문할 때, 리스트라에도 들렀을 가능성이 있다.—행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