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파90 2/15 31면
  • 골리앗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골리앗
  •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90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90
파90 2/15 31면

골리앗

골리앗

가드 성의 거인. 블레셋 군대의 용사. 다윗에게 죽임을 당한 사람이다. 골리앗은 키가 엄청나게 커서 여섯 규빗 한뼘(2.9미터)이나 되었다. 쇠사슬 놋 갑옷은 무게가 5,000세겔(57킬로그램)이었고 철 창날은 무게가 600세겔(6.8킬로그램)이었다. (사무엘 상 17:4, 5, 7) 골리앗은 르바임 족에 속한 사람이었으며, 블레셋 군대의 용병이었을 가능성이 있다.—역대 상 20:5, 8, 공동번역.

다윗이 사무엘에게 기름부음을 받고 여호와의 영이 사울 왕을 떠난 지 얼마 안 되어(사무엘 상 16:13, 14), 블레셋 사람들은 이스라엘과 싸우려고 소고에 모여 에베스담밈에 진을 쳤다.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블레셋 사람들과 사울의 군대가 전선을 이루어 대치했을 때, 거인 전사 골리앗이 블레셋 진영에서 나타나 이스라엘에게 자기와 일 대 일로 승부를 겨룰 사람을 내놓아, 그 결과에 따라 어느 군대가 다른 군대의 종이 되어야 할지 결판을 내자고 큰 소리로 도전했다. 아침 저녁으로 40일 동안, 이스라엘 군대는 심한 공포 속에서 그러한 조롱을 당했다. 이스라엘 병사 중에는 그 도전을 받아들일 만한 용기가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사무엘 상 17:1-11, 16.

살아계신 하나님 여호와의 군대를 조롱함으로써, 골리앗은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짓는 일을 했다. 하나님의 영이 함께 한 목동 다윗이 골리앗의 도전을 받아들였다. 골리앗은 갑옷을 들고 따라다니는 자를 앞세워 커다란 방패를 들려가지고 나아와, 자기 신들의 이름으로 다윗을 저주하였다. 그에 대해 다윗은 이렇게 응답했다. “너는 칼과 창과 단창으로 내게 오거니와 나는 만군의 여호와의 이름 곧 네가 모욕하는 이스라엘 군대의 하나님의 이름으로 네게 가노라.” 다윗이 물매로 돌을 던지자, 돌이 골리앗의 이마에 박혔고 골리앗은 땅에 쓰러졌다. 여세를 몰아 다윗은 골리앗을 밟고 그 거인의 칼로 머리를 베었다. 뒤이어 즉시 신호의 함성과 함께 블레셋 사람들에 대한 살육이 있었다.—사무엘 상 17:26, 41-53.

“다윗은 블레셋 사람의 머리를 예루살렘으로 가져가고 갑주는 자기 장막에 두”었다. (사무엘 상 17:54) 시온 산성은 나중에 가서야 다윗에 의해 함락된 것이 사실이지만(사무엘 하 5:7), 예루살렘 성에서는 오래 전부터 이스라엘 사람들이 여부스 사람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었다. (여호수아 15:63; 사사 1:8) 그후, 다윗은 골리앗의 칼을 성소에 바쳤음이 분명하다. 다윗이 사울에게서 도망하고 있을 때 제사장 아히멜렉이 그 칼을 다윗에게 주었다는 사실에서 그 점을 알 수 있다.—사무엘 상 21:8, 9.

이해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는 문구가 사무엘 하 21:19에 나오는데, 거기 보면 ‘베들레헴 사람 야레오르김의 아들 엘하난이 가드 골리앗을 죽였는데 그 자의 창자루는 베틀채 같았더라’고 기술되어 있다. (신세 참조) 역대 상 20:5에 나오는 평행되는 기록에는 이렇게 되어 있다. “야일의 아들 엘하난이 가드 사람 골리앗의 아우 라흐미를 죽였는데 이 사람의 창자루는 베틀채 같았더라.”

이 문제를 설명하는 데 여러 가지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타르굼에서는 엘하난이 다윗과 동일 인물이라는 전승을 유지한다. A. 코엔이 편집한 「손시노 성서 책들」(Soncino Books of the Bible, 런던, 1951년, 1952년)에서는, 골리앗이 두명 있었을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고 해설하면서, 골리앗이 “바로,” “랍사게,” “술탄”같이 서술적인 칭호였을 수도 있다고 해설한다. 한 성구에서는 “야레오르김”을 언급하는가 하면 다른 성구에는 “야일”로 나와 있다는 사실, 또한 “베들레헴 사람”[히브리어, 베드 할라흐미]이라는 용어는 사무엘 하의 기록에만 들어 있는가 하면 “라흐미”[에드-라흐미]라는 이름은 역대기 기록에만 들어 있다는 사실은 복사자가 실수한 결과라는 의견을 대다수의 주해자들이 제시해 왔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