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전도 학교 복습
1992년 5월 4일 주부터 8월 24일 주까지에 걸쳐 신권 전도 학교 임명에서 다룬 내용을, 책을 덮고 하는 복습. 답을 쓰기 위하여 별지를 사용해서 할당된 시간 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넣을 것이다.
[주의: 필기 복습중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성서만을 사용할 수 있다. 질문 끝에 표시된 참조문들은 개인 연구 조사를 돕기 위한 것이다. 「파수대」 참조문 중에는 면과 항 수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각 문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대답하라
1. 공개 낭독할 때, 적절한 곳에서 멈추는 것은 강조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지」 31면 6항]
2. 우리는 자신의 생활에서든 혹은 야외 봉사에서든, 나중에 그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기억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연구해야 한다. [「지」 36면 10항]
3. 어휘를 늘리는 목적은 세상 사람들에게 여호와의 증인이 박식하고 유식하다는 것을 인상 깊게 하기 위함이다. [「지」 56면, 7항]
4. 신명기의 확실성을 지지하는 가장 강력한 증거는 고고학이다. [「감」 37면 8항]
5. 민수기 35:16에서는 “만일 철 연장으로 사람을 쳐죽이면”이라고 말하는데, 그것은 연장을 고의적으로 무기로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깨」79 4월 45면]
6. 신명기 1:17에 나오는 ‘귀인’은 재산이나 교육적 배경 혹은 업적으로 인해 귀히 보이는 사람일 것이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77 272면]
7. 우리는 신명기 19:21로부터, 고의적인 살인에 대해 사형을 선고하는 것이 하나님의 법의 일부였다고 결론지어야 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깨」74 11/8 23면]
8. 신명기 29:29의 “나타난[“밝혀진”, 「신세」] 일”에는 성서에 기록된 모든 내용이 포함되게 되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7 5/15 31면]
9. 여호와께서는 유다 지파가 ‘하나님의 법도를 야곱에게, 하나님의 율법을 이스라엘에게 가르치’도록 마련하셨다. (신명 33:10)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8/15 11면 7항]
10. 기브온 사람들은 남은 자들을 전영하였다. (여호수아 10:1-11)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6 12/15 18면 8항]
다음 질문들에 대답하라
11. 낭독 연설을 할 때 극복해야 할 주된 어려움은 무엇인가? [「지」 31면 9항]
12. 연설의 주제를 어떻게 정할 수 있는가? [「지」 44면 2항]
13. 신명기라는 명칭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 책은 어떻게 할 것을 권하는가? [「감」 36면 4항]
14. 신명기 33:8에 나오는 우림과 둠밈의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6 5/1 23면]
15. 이스라엘인들은 어떻게 하나님의 율법을 “미간에 붙여 표를 삼”았을 것인가? (신명 6:8)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문) 73 192면]
16. 여호와의 말씀이 어떻게 우리를 살찌게 해줄 수 있는가? (신명 8:2, 3)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5 8/1 16면 15항]
17. 신명기 22:28, 29에서 하나님의 율법은 왜 약혼하지 않은 처녀와 성관계를 가진 이스라엘 남자는 반드시 그 여자와 결혼해야 하며 그 여자와 결코 이혼할 수 없다고 규정하였는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11/15 31면]
18. 이스라엘이 대결했던 동맹국들을 고려해 볼 때, 오늘날 우리는 그에 상응하는 어떤 상황을 보고 있는가? (여호수아 9:1, 2)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6 12/15 18면 5항]
19. 여호수아 10:13에서, 여호수아는 행성 운동에 관한 과학적인 설명이 아니라 무엇을 말하려고 하였는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2 1/15 5면]
20. 연설의 처음 문장들은 무슨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가? [「지」 46면 9항]
다음 각 문장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단어나 구를 써넣으라
21. 성서 읽기를 마쳤는데, 요점이 명백하지 않다면 얼마의 시간을 내어 ․․․․․․․를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지」 35면 7항]
22. 연설을 준비할 때, ․․․․․․․에 실제로 도움이 되지 않는 점들은 제외해야 한다. [「지」 41면 10항]
23. 신권 전도 학교의 각 임명을 잘 준비함으로써, 우리는 여호와께서 마련하신 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 것이다. [「지」 43면 18항]
24. ‘생명을 전집하는 것’이란 ․․․․․․․을 저당잡는 것을 의미했을 것이다. (신명 24:6)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4 10/15 12면]
25. 성서는 민수기 35:20, 21에서 ․․․․․․․의 정의를 알려 준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깨」74 8/8 22면]
다음 각 문장에서 정확한 대답을 선택하라
26. 집주인에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더 잘 듣게 하기; 대답을 모른다는 것을 알게 하기; 거짓 종교가 그들을 올바로 가르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게 하기) 때문이다. [「지」 52면 12항]
27. 놋뱀은 (사단; 다윗 왕; 예수)를 전영하였다. (민수 21:8, 9) [「감」 35면 34항]
28. 베드로는 예수께서 그리스도이시며 모세보다 더 큰 예언자라는 논증을 마무리 지을 때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를 인용한다. [「감」 40면 31항]
29. 여호수아서는 기원전 (1513-1473년; 1473-1450년경; 1473-1100년경)의 기간을 망라한다. [「감」 42면 5항]
30. “형통[“현명하게 행동”, 「신세」]”한다는 것은 (애굽의 온갖 축적된 지식을 따라; 통찰력을 가지고; 주의 깊은 태도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였을 것이다. (여호수아 1:8)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3/15 13면 10항]
다음 성구들을 아래 열거된 문장들과 맞추라
민수 21:5, 6; 23:23; 32:23; 신명 12:24; 마태 28:19, 20
31. 이 명령을 생각할 때, 모든 그리스도인은 가르치는 능력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지」 49면 2항]
32. 불평하는 것에 대해 경고하면서, 바울은 이 성구를 언급하였다. [「감」 35면 36항]
33. 이 금지 규정 때문에, 여호와의 증인은 자신의 피를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자신에게 주입하는 방법을 허용하지 않는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3/1 30면]
34. 여기에 나오는 원칙은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는 갈라디아서 6:7의 원칙과 유사하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72 425면]
35. 마법사가 마련한 부적이나 “의약”을 포함하여 마법과 관련된 것은 무엇이든 거절한다면, 여호와의 증인은 마법이나 주문을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깨」70 12/8 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