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증거하는 일을 주저하지 않았다
1 여호와의 증인이란 이름 자체가 우리의 신분을 알려주며 우리가 하는 일을 묘사한다. 우리는 하느님 여호와의 탁월하심을 증거한다. (이사야 43:10, 12) 각자는 회중 성원이 되려면 이 증거 활동에 참여해야 한다. 증거 활동은 일차적으로 공개 봉사로 수행된다. 여기에는 호별 방문과 집 밖에서의 봉사, 재방문, 성서 연구 사회가 포함된다. 우리 모두에게 온전히 참여하고자 노력하라고 강력히 권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고린도 첫째 15:58.
2 하지만 일부 회중 성원에게는 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되어 있다. 중병이나 노약함으로 바깥 출입이 제한받을 수 있다. 반대하는 친족이 엄청난 장애가 될 수 있다. 어떤 청소년은 믿지 않는 부모의 제약을 받을 수 있다. 교통이 불편한 격지에 사는 사람은 꼼짝할 도리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천성이 수줍어서 내성적인 사람은 위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또는 유사한 상황에 처해 있는 일부 전도인은 자기가 할 수 있는 봉사의 양이 다른 사람이 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적고 또 자기가 실제로 하기 원하는 것보다도 적기 때문에 그리스도인 자격에 미달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자기가 수고한 일을 과소 평가할 이유가 없다. (갈라디아 6:4) 그러한 사람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든 최상의 것을 바칠 때 여호와께서 기뻐하신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 위안을 얻을 수 있다.—누가 21:1-4.
3 참여할 방법을 발견함: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이 어떻게 장애로 인해 증거하는 일을 방해받게 하지 않았는지 알려주는 수많은 경험담이 발표되었다. 그들은 솔선력을 발휘함으로써, 비공식 증거를 하는 다양한 방법을 많이 생각해 냈다. 바깥 출입을 할 수 없는 사람은 증거의 넓은 문을 열기 위하여 전화를 사용해 왔다. 집에 찾아오는 모든 사람을 들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으로 본다. 가족의 반대를 받는 부인이 비록 집에서는 증거할 수 없을지 몰라도, 일상 생활에서 만나는 이웃이나 다른 사람에게 말할 기회를 이용한다.
4 믿지 않는 부모가 청소년 자녀에게 공개 증거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그것을 이겨낼 수 없는 장애물로 여기는 대신, 급우와 교사를 개인 “구역”으로 삼아 훌륭한 증거를 하고 어쩌면 성서 연구도 사회할 수 있을지 모른다. 격지에 사는 많은 사람은 편지 봉사를 통해 참여해 왔다. 그리스도인 열심으로 감동된 사람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관련하여 무활동이 되거나 열매를 맺지 못하는 일”을 피하는 방법들을 언제나 발견할 것이다.—베드로 둘째 1:8.
5 우리가 증거 활동에 참여하는 일에 관하여 말하자면,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에게 동일한 표준, 즉 “영혼을 다”해야 한다는 표준을 세우셨다. (골로새 3:23) 우리가 바친 시간과 달성한 내용이 다를지라도, 근본적 동기는 동일한 것—“온전한 마음”에서 나오는 진실한 사랑이다. (역대 상 28:9; 고린도 첫째 16:14) 최선을 다한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양이 적기 때문에 믿음이 부족하다거나 회중 성원으로서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할 이유가 결코 없을 것이다. 바울처럼 우리도 ‘이익이 되는 것은 알려 주기를 주저하지 않고 공개적으로 가르치는 일을 주저하지 않았’다고 진심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사도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