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를 시작하기 위해 「요구」 팜플렛을 사용하고 있습니까?
1 비록 짧은 시간이라 하더라도 관심을 보이는 사람과 정기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성서 토의를 하면서 연구용으로 권장하는 출판물 중 하나의 내용을 다룬다면, 그것이 바로 성서 연구를 사회하는 것임을 알고 있었습니까? 그렇습니다. 집 현관에서 연구를 하거나 전화로 연구를 하는 것도 성서 연구입니다. 5월과 6월에 「요구」 팜플렛을 사용하여 연구를 시작하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보지 않겠습니까?
2 성공하기 위해 준비하십시오: 「요구」 팜플렛을 제공할 때, 당신이 토의하기를 원하는 내용을 명확히 생각하면서 제공하도록 하십시오. 재방문을 할 것이라면, 첫 방문에서 나누었던 대화에 대해 생각해 보십시오. 이렇게 자문해 보십시오. ‘토의를 더욱 발전시켜서 성서 연구로 이끌기 위해 팜플렛의 어느 항에 특히 주의를 이끌 수 있는가?’ 호별 방문을 할 것이라면, 어떤 주제가 십대나 연로한 사람이나 남자나 여자에게 각각 호소력이 있을 것인지를 고려하십시오. 「요구」 팜플렛의 제목들을 검토해 보고, 흥미 있는 주제를 하나 고르십시오. 접근 방법을 결정한 후에는, 여러 번 연습해 보십시오. 그렇게 하는 것이 성공의 한 가지 비결입니다.
3 「우리의 왕국 봉사」 2002년 1월호 삽입물에는 “「요구」 팜플렛 제공 방법 제안” 여덟 가지가 나옵니다. “직접 접근 방법” 네모 안의 내용에서도 「요구」 팜플렛을 사용하여 연구를 시작하는 방법을 알려 줍니다. 첫 번째 제안을 다음과 같이 적절히 바꾸어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 “단 몇 분 만에 중요한 성서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예를 들어, 그리스도교라고 주장하는 종교가 그토록 많은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이 점에 대해 궁금하게 생각하신 적은 없으십니까?” 대답을 듣고 나서, 제13과를 펴서 처음 두 항을 토의하십시오.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성구 한두 개를 읽고 토의하십시오. 그런 다음, 26면의 상단에 나오는 마지막 질문을 읽어 주고 나서, 이렇게 말하십시오. “이 과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참 종교를 식별하는 다섯 가지 표에 대해 잘 알려 줍니다. 제가 다시 와서 그러한 점들을 함께 살펴볼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4 꾸준히 노력하십시오: 기회가 있을 때마다 「요구」 팜플렛으로 성서 연구를 하는 방법을 사람들에게 직접 보여 주십시오. 여호와의 축복을 구하십시오. (마태 21:22) 꾸준히 노력한다면,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좋은 소식에 호응하도록 돕는 기쁨을 맛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