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전도 학교 복습
2002년 9월 2일 주부터 12월 23일 주까지에 걸쳐 신권 전도 학교에서 다룬 내용에 대한 책을 덮고 하는 복습. 별지를 사용하여 답을 쓰는데, 배정된 시간 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넣을 것이다.
[유의 사항: 필기 복습 중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성서만 사용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연구·조사를 할 수 있도록 질문 끝에 참고 자료가 나와 있다. 「파수대」가 참고 자료로 나올 경우, 페이지와 항 번호가 병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각 문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대답하십시오
1. 여호와의 놀라운 특성들에 관해 묵상하는 것은 그분에게 가까이 가는 데 필수적인 단계이다. (시 143:5) [「파」00 10/15 4면 6항]
2. 에스겔 37:15-24에 나오는 두 개의 막대기가 합쳐지는 것에 대한 현대적 유사점은, 1919년에 충실한 기름부음받은 자들이 그들의 “한 왕”이자 “한 목자”이신 그리스도 아래 하나가 된 일이다. [주간 성서 읽기; 「파」88 9/15 25면 13항 참조]
3. 성서 고등 비평가들이 다니엘서의 역사성을 의심하였지만, 여러 해에 걸친 고고학적 발견은 그들의 주장을 완전히 무너뜨렸다. [「감」 138면 4항]
4. 우리가 듣는 내용이 권위 있는 출처라고 생각되는 곳이나 자칭 지식이 대단히 많은 사람에게서 나온 것일 때, 그것을 거짓으로 배척해야 할 타당한 이유란 있을 수 없다. [「파」00 12/1 29면 7-8항]
5. “소예언서”라는 표현은 히브리어 성경의 마지막 12권이 비교적 덜 중요하다는 것을 적절하게 묘사한다. [「감」 143면 1항]
6. 여호와께서 아모스를 불러 유다와 이스라엘에 대해 예언하도록 보내셨을 때, 그는 “예언자의 아들들” 중 하나였다. (열왕 둘째 2:3) [「감」 148면 1항]
7. 오바댜 16은, 유다에 대한 에돔 민족의 미움 때문에 에돔이 국가적 멸절을 당할 것이라고 예언한다. (오바댜 12) [주간 성서 읽기; 「파」89 4/15 30면 네모 참조]
8. 스바냐 3:9에 언급되어 있는 “순결한 언어”에는 하느님과 그분의 목적에 관한 진리를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 포함된다. [주간 성서 읽기; 「파」01 2/15 27면 18항 참조]
9. 예수께서 겟세마네 동산에서 매우 심한 감정적 압박을 느끼신 이유는, 멸시당하는 범죄자로 죽는 것이 여호와와 그분의 거룩한 이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염려하셨기 때문이다. (마태 26:38; 누가 22:44) [「파」00 11/15 23면 1항]
10. 스가랴 9:6, 7에 나오는 “유다에서 족장처럼” 되는 “블레셋 사람”은, 오늘날 “충실하고 슬기로운 종”에 의해 훈련을 받으며 필요에 따라 권위를 받는 다른 양들에 속한 사람들을 예언적으로 묘사한다. (마태 24:45) [주간 성서 읽기; 「파」95 7/1 23면 14항 참조]
다음 질문에 대답하십시오
11. 우리에게 주어진 전파하는 책임을 어떻게 에스겔이 파수꾼으로서 수행해야 했던 책임에 비할 수 있는가? (에스겔 33:1-11) [주간 성서 읽기; 「파」88 1/1 28면 13항 참조]
12. 마른 뼈들에 관한 에스겔의 환상에 비할 만한 어떤 유사한 일이 현대에 있었는가? (에스겔 37:5-10) [주간 성서 읽기; 「파」88 9/15 24면 12항 참조]
13. 스가랴서가 하느님의 영감을 받았다는 가장 설득력 있는 증거는 무엇인가? [「감」 169면 5항]
14. 에스겔의 환상에 나오는 도시는 무엇을 상징하는가? (에스겔 48:15-17) [주간 성서 읽기; 「파」99 3/1 18면 22항 참조]
15. 오늘날 이스라엘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 성서 예언의 구체적인 성취가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이사야 2:2-4을 근거로 추리할 수 있는가? [「추」 316면 1항]
16. 30일 동안 왕 외에 어느 신이나 사람에게 청원하지 말라는 왕의 법령에 대해 다니엘이 보인 반응으로부터 무슨 교훈을 배울 수 있는가? (다니엘 6:7-10) [주간 성서 읽기; 「단」 125-6면 25-8항 참조]
17. 남은 자들은 여호와의 무슨 소식을 선포하면서, 나라들 가운데서 사자와 같음을 나타내 왔는가? (미가 5:8) [주간 성서 읽기; 「파」81 12/1 22면 10항 참조]
18. 하박국 3:14에 나오는 “당신은 그의 막대기로 [그의 전사들]의 머리를 꿰찌르셨습니다”라는 표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주간 성서 읽기; 「파」00 2/1 22면 15항; 「파」82 3/1 24면 4-5항 참조]
19. 스바냐 2:3에서 “혹시”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무엇을 시사해 주는가? [주간 성서 읽기; 「파」01 2/15 19면 8항 참조]
20. 스가랴 8:6에서 볼 수 있듯이, 1919년 이래 여러 해 동안, 여호와께서는 인간의 관점에서 너무 어려워 보였을지 모르는 일들을 어떻게 수행해 오셨는가? [주간 성서 읽기; 「파」96 1/1 16면 18-19항 참조]
다음 각 문장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단어나 구를 써 넣으십시오
21. 우리는 ․․․․․․․(을)를 통하여 여호와께 말하는데, 기도란 숭배하는 마음으로 하느님께 직접 이야기하는 것이다. 한편,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주요 수단은 그분의 ․․․․․․․이다. (시 65:2; 디모데 둘째 3:16) [「파」00 10/15 5면 2-3항]
22. 유다 9과 데살로니가 첫째 4:16(개역 한글판)을 비교해 보면, 예수 그리스도께서 미가엘과 동일한 분임을 알 수 있다. 뒤 성구에는 부활을 개시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이 ․․․․․․․(으)로 언급되어 있다. 더욱이, 미가엘이라는 이름은 ․․․․․․․(이)라는 뜻이다. 이것은 분명히 예수께서 여호와의 주권을 지지하며 하느님의 적들을 멸망시키는 일에 앞장서는 분임을 시사한다. [「추」 291면 4항-292면 1항]
23. “예루살렘을 회복시키고 재건하라는 말씀이 나온” 것은 ․․․․․․․년이며, 그 일은 해로 된 69주의 시작을 알리는 표였다. 이 해로 된 69주는 ․․․․․․․년에 메시아의 출현으로 끝나게 되었다. (다니엘 9:25) [주간 성서 읽기; 「단」 190-1면 20-2항 참조]
24. 해가 어둠으로 변할 것이라고 한 요엘 2:31은 마태 24:29, 30과 평행을 이루는데, 뒤 성구를 보면, ․․․․․․․(은)는 자신이 사람의 아들로서 ․․․․․․․(으)로 올 것이라고 묘사한다. [「감」 147면 13항]
25. 아시리아(앗수르)와 그 수도 ․․․․․․․에 관한 ․․․․․․․의 예언은, 여호와의 공의와 지고성을 드높이며 여호와께서 모든 악한 자들에게 공의를 시행하실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해 준다. [「감」 160면 11항]
다음 각 문장에서 정확한 대답을 선택하십시오
26. 에스겔서는 여호와께서 (관대; 겸손; 거룩)하심을 강조하며, (자신의 인간성을 향상시키는 것; 여호와의 이름을 거룩하게 하는 것; 좋은 이웃이 되는 것)이 그 무엇보다도 더 중요함을 알린다. [「감」 137면 33항]
27. 다니엘과 동 시대에 살던 에스겔은, 다니엘의 이름을 (노아 및 욥; 모세 및 여호수아; 엘리야 및 엘리사)의 이름과 함께 언급함으로써 그가 실존 인물임을 확증한다. [「감」 138면 2항]
28. 다니엘 2:34, 35, 45의 내용을 볼 때, 형상을 쳐서 부서뜨린 돌은 (아마겟돈; 하느님의 백성이 선포하는 강력한 심판의 소식; 메시아 왕국)을 상징한다. [「감」 142면 20, 23항]
29. 요엘 1:4-6에 나오는 메뚜기로 이루어진 상징적인 나라는 (이스라엘 민족; 기름부음받은 그리스도인들; 로마 군대)(을)를 상징한다. (사도 2:1, 14-17) [주간 성서 읽기; 「파」98 5/1 9면 9항 참조]
30. 골로새 1:13에 나오는 “자기의 사랑하는 아들의 왕국”은 (메시아 왕국; 기원 33년 오순절 이후로 그리스도인 회중을 다스리는 그리스도의 통치; 그리스도의 천년 통치)이다. [「추」 303면 4항]
다음 성구들을 아래 열거된 문장들과 맞추십시오
호세아 6:6; 요엘 2:32; 스가랴 4:6, 7; 13:3; 로마 12:2
31. 우리는 이 사물의 제도의 문화적 표준이나 세속적 표준이 우리의 생각을 틀 잡게 해서는 안 된다. [「파」00 11/1 21면 5항]
32. 하느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은, 형식적으로 바치는 많은 희생이 아니라 그분을 아는 것에 근거한 충성스러운 사랑의 표현이다. [주간 성서 읽기; 「감」 145면 16항 참조]
33. 여호와라는 이름을 지닌 분을 알고 존중하며 그분에게 의뢰하는 것은 구원을 위해 꼭 필요하다. [주간 성서 읽기; 「파」89 3/15 30면 네모 참조]
34. 하느님의 목적은 어떤 인간의 힘 때문이 아니라 그분의 영으로 이루어진다. 이 영은 그분의 종들이 산더미 같은 장애들을 극복하고 하느님께 드리는 봉사에서 인내하게 해 줄 수 있다. [「감」 169면 2항]
35. 여호와의 조직의 특징을 이루는 충성은, 친밀한 혈육 관계를 포함하여 온갖 인간 관계를 초월한다. [「감」 171면 24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