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 연구를 효과적으로 사회하는 방법
1. 성서 연구를 사회하는 전도인들에게는 어떤 책임이 있습니까?
1 여호와 하느님께서 “이끌지 않으시면” 아무도 그분을 섬길 수 없습니다. (요한 6:44) 하지만 성서 연구를 사회하는 전도인들도 사람들이 하늘의 아버지께 가까이 가도록 돕는 일에서 자기 몫을 해야 합니다. (야고보 4:8) 그러려면 준비가 필요합니다. 연구생이 그 소식을 이해하여 발전하도록 도우려면 각 항을 읽고 인쇄된 질문을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2. 성서 연구를 효과적으로 사회하면 어떤 결과가 있습니까?
2 성서 연구를 효과적으로 사회하려면 전도인들은 연구생이 (1) 성경의 가르침을 이해하고, (2) 성경의 가르침을 받아들이고, (3) 성경의 가르침을 실천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요한 3:16; 17:3; 야고보 2:26) 이러한 단계들을 모두 밟도록 도우려면 시간이 꽤 걸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각 단계를 밟으면서 연구생은 여호와와의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 그분께 헌신하는 결과에 이르게 됩니다.
3. 효과적으로 가르치려면 왜 견해 질문을 해야 합니까?
3 성서 연구생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성서 연구생이 배우는 내용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 분별하려면 혼자 말을 다 할 것이 아니라 연구생에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도록 권해야 합니다. (야고보 1:19) 연구생은 살펴보고 있는 주제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이해합니까? 그 주제를 자기 말로 설명할 수 있습니까? 배운 내용에 대해 어떻게 느낍니까? 성경의 가르침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까? (데살로니가 전서 2:13) 자신이 살아가는 방식을 배우는 내용에 따라 변화시켜야 함을 이해합니까? (골로새 3:10) 이러한 점들에 대한 답을 알려면 재치 있는 견해 질문을 한 다음, 잘 들어야 합니다.—마태 16:13-16.
4. 연구생이 성경에서 배우는 내용을 이해하거나 적용하기 어려워하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4 종종 습관과 사고방식은 깊이 뿌리박혀 있어서 바꾸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고린도 후서 10:5) 연구생이 배우는 내용을 받아들이거나 실천하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하느님의 말씀과 성령이 연구생의 마음을 움직이려면 합리적인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참을성을 나타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고린도 전서 3:6, 7; 히브리 4:12) 연구생이 이해하거나 적용하기 어려워하는 성경 가르침이 있으면 계속 밀어붙일 것이 아니라 다른 주제로 일단 넘어가는 것이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연구생에게 참을성 있게 사랑으로 성경을 가르치면 나중에라도 필요한 조정을 하려는 마음이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