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연구 노트—11장
그들의 도시들: 그 지역(갈릴리)에 있는 유대인들의 도시들을 가리키는 것 같다.
가르치고 전파하시려고: 마 4:23 연구 노트 참조.
그리스도: “기름부음받은 자”라는 의미. 그리스어 원문에서는 이 단어 앞에 정관사가 나온다. 이 정관사는 예수께서 약속된 메시아 즉 특별한 의미에서 기름부음받은 분임을 나타낸다.—마 1:1; 2:4 연구 노트 참조.
오실 분: 메시아를 가리킨다.—시 118:26; 마 3:11; 21:9; 23:39.
나병: 마 8:2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나병; 나병 환자” 참조.
보라!: 마 1:23 연구 노트 참조.
진실로: 마 5:18 연구 노트 참조.
침례자: 또는 “물에 잠그는 자”.—마 3:1 연구 노트 참조.
사람들이 힘써 추구하는 목표 ··· 힘써 추구하는 사람들: “힘써 추구하는”으로 번역된 그리스어 단어는 기본적으로 힘을 써서 어떤 행동을 하거나 노력을 기울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일부 성경 번역자들은 이 단어를 부정적인 의미(왕국이 폭력을 당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왕국을 차지하기 위해 폭력을 행사한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하지만 이 단어가 사용된 문맥과 성경의 다른 부분에서 이 그리스어 동사가 나오는 유일한 구절인 눅 16:16을 고려해 보면, 이 단어를 “무엇인가를 열정적으로 추구하다; 열렬히 구하다”라는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 단어는 침례자 요한이 전파했을 때 그의 말에 귀를 기울인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행동하거나 노력을 기울인 것을 묘사하는 것 같다. 그렇게 했기 때문에 그들은 왕국의 성원이 될 전망을 갖게 되었다.
예언서와 율법: 성경의 다른 구절들에는 “율법과 예언서”라고 되어 있는데, (마 5:17; 7:12; 22:40; 눅 16:16) 이 구절에서만 순서가 바뀌어 있다. 기본 의미는 같지만 (마 5:17 연구 노트 참조) 이 표현은 성경에 들어 있는 예언에 좀 더 초점을 맞춘 것 같다. 또한 이 구절은 율법도 예언을 했다고 표현함으로 율법의 예언적 성격을 강조한다.
엘리야: “나의 하느님은 여호와이시다”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이름.
가슴을 치며 슬퍼하지: 반복해서 손으로 가슴을 치는 것은 깊은 슬픔이나 죄책감, 후회를 나타내는 행동이다.—사 32:12; 나 2:7; 눅 23:48.
먹지도 않고 마시지도 않자: 요한의 금욕적인 생활을 표현한 말인 것 같다. 그는 단식을 했으며 나실인에게 주어진 명령에 따라 술도 마시지 않았다.—민 6:2-4; 마 9:14, 15; 눅 1:15; 7:33.
‘사람의 아들’: 마 8:20 연구 노트 참조.
세금 징수원: 마 5:46 연구 노트 참조.
지혜는 그것이 한 일로 의롭다는 것이 증명됩니다: 이 구절에서는 지혜를 의인화하여 일을 하는 것으로 표현한다. 평행 기록인 눅 7:35에서는 지혜가 자녀를 가진 것으로 표현한다. 이 구절들에서 지혜의 자녀 또는 일은 침례자 요한과 예수의 의로운 일과 행실을 가리키며, 그러한 일과 행실은 그 두 사람에 대한 사람들의 비난이 거짓임을 증명했다. 따라서 예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 셈이다. ‘우리의 의로운 일과 행실을 보십시오. 그러면 그러한 비난이 거짓임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가버나움: 마 4:13 연구 노트 참조.
하늘: 매우 큰 은혜를 받는 상태를 가리키는 비유적인 표현.
무덤: 또는 “하데스”. 인류의 공통 무덤을 가리킨다. (용어 설명 참조) 여기서는 가버나움이 매우 비천해질 것임을 의미하는 비유적인 표현이다.
너보다: 가버나움을 가리켜 말씀하셨을 것이다.
더 견디기 쉬울 것이다: 눅 10:12 연구 노트 참조.
어린아이들에게는: 또는 “아이 같은 사람들에게는”. 가르침을 잘 받아들이는 겸손한 사람들을 의미한다.
무거운 짐을 진: 예수께서 오라고 하신 사람들은 염려와 고생이라는 “무거운 짐”을 지고 있었다. 모세 율법을 지키는 것에 더해 사람이 만든 전통도 따라야 했기 때문에 여호와를 숭배하는 것이 짐스러운 일이 되었다. (마 23:4) 사람들이 새 힘을 얻는 날이 되어야 했던 안식일마저 무거운 짐이 되고 말았다.—출 23:12; 막 2:23-28; 눅 6:1-11.
내가 여러분에게 새 힘을 주겠습니다: “새 힘을 주다”로 번역된 그리스어는 ‘쉬게 하다’를 의미할 수도 있고, (마 26:45; 막 6:31) ‘고생하는 사람이 힘과 기운을 되찾게 해 주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 (고후 7:13; 몬 7) 문맥을 보면 예수의 “멍에”를 메는 것(마 11:29)은 쉬는 것이 아니라 섬기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수의 말씀은 그분이 지친 사람들에게 힘과 활력을 주셔서 그들이 그분의 가볍고 편한 멍에를 메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신다는 의미이다.
성품이 온화하고: 마 5:5 연구 노트 참조.
마음이 겸손하니: “겸손하다”로 번역된 그리스어는 자신을 낮추고 내세우지 않는 특성을 가리킨다. 마음이 겸손한지는 하느님과 사람들에 대해 나타내는 태도나 성향을 보면 알 수 있다.
내 멍에를 메고: 예수께서 말씀하신 “멍에”는 권위와 지시에 복종하는 것을 의미하는 비유적인 표현이다. 만일 그분이 둘이 함께 지는 쌍멍에를 염두에 두고 말씀하신 것이라면, 하느님께서 자신에게 지우신 멍에를 함께 메자고 제자들에게 권하시면서 그들을 도와주겠다고 하신 것이다. 그럴 경우 이 표현은 “내 멍에를 나와 함께 메고”라고 번역할 수도 있다. 만일 예수께서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지우는 멍에를 염두에 두고 말씀하신 것이라면, 사람들에게 자신의 제자가 되어 그리스도의 권위와 지시에 복종하라고 권하신 것이다.—용어 설명 “멍에” 참조.
여러분: 또는 “여러분의 영혼”.—용어 설명 “영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