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74 6/8 3-4면
  • 해산물—왜 비싸지는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해산물—왜 비싸지는가?
  • 깨어라!—1974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어업 장비의 효과
  • 영해 문제
  • 해산물이 줄어드는 기타 이유
  • 물고기
    성경 통찰, 제1권
  • 사람을 낚는 어부로 봉사함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92
  •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68
  • 물고기가 사라져 가는 이유
    깨어라!—2008
더 보기
깨어라!—1974
깨74 6/8 3-4면

해산물—왜 비싸지는가?

해산물 가격이 다른 모든 물가처럼 올라가고 있다. 어떤 곳에서는 해산물이 쇠고기만큼이나 비싸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생선 값이 치솟는 데에는 여러 가지 특별한 이유들이 있다. 그러나 한 마디로 말하자면, 그 수량이 적어지고 있기 때문에 해산물 가격이 더욱 오른다. 수요는 느는데 공급이 감소되면, 가격이 오른다.

물고기가 줄어드는가? 그렇다! 늘어가는 세계 인구를 위하여 농업으로 충분한 양의 식량을 공급할 수 없게 되자, 사람들은 식량을 마련하기 위하여 바다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사람들은 근본적인 오해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바다에 식용 물고기가 무진장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이제 와서 그들은 어떤 어족이 거의 고갈되었으며, 다 잡아버렸음을 알게 되었다. 무엇에 그 책임이 있는가?

어업 장비의 효과

한 가지는 새로운 장비이다. 어떻게 그렇다고 말할 수 있는가? 과거에는 인간이 바다에서 적당한 양의 식품을 거둬들였기 때문에, 물고기들이 다시 보충되었다. 그래서 바다에는 계속 상당히 많은 양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새로운, 고도로 정교한 장비로 어업이 보완되었기 때문에 많은 어족들이 감소되었다.

이 새로운 장비에는 1950년대 중엽부터 사용해 오는 ‘트로올’ 어선이 있다. 이것은 종전의 방식처럼 그물을 양쪽 끝에서 내려뜨리는 것이 아니라, 선미(船尾)에서 늘어뜨린다. 이 ‘트로올’ 어선은 이전 어획량의 6배를 올릴 수 있다.

게다가, 배에 통조림 시설 및 냉동 시설을 갖춘 “수상 공장”과 같은 현대식 ‘트로올’ 어선들은 더욱 많은 물고기를 가공해 낼 수 있다. 어떤 것은 10,000‘톤’ 이상 수용할 수 있는 저장소를 가지고 있다. 흔히 특수 수송선이 어선 대신 어획물을 날아오고, 어선은 그대로 바다에 머물게 한다. 그러므로 ‘트로올’ 어선의 가장 큰 장점은 상당히 멀리까지 갈 수 있는 점과 또 일년 이상 바다에 머물러 있을 수 있는 점이다. 오늘날 수백척의 이러한 어선들이 세계 주요 어장에서 조업을 하고 있다. 어떠한 결과에 이를 것인가? 한 예로서, 북미 대륙의 동해안을 고찰해 보자.

세계 유수급의 이러한 어장에서는 소련, 일본, ‘스페인’, 독일 및 기타 나라들의 많은 현대적 ‘트로올’ 어선들이 취업을 하고 있다. 오늘날에는 그러한 어장에서 명물이던 모든 어족들이 지나친 남획으로 사실상 수난을 당하고 있다. ‘노르웨이’ 해안에서도 입장이 비슷하게 되었다. 물고기가 점점 희소해지고 어획 경쟁이 심해짐에 따라, 조업에 좀 더 새로운 기술이 투입되었다. 가치있는 물고기류는 더욱 고갈되는 반면 어구의 비용은 높아진다. 이렇게 높아가는 비용 때문에 세계의 해산물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가게 된다.

그러나 만일 현대 국가가 최신 어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해산물 가격이 내려갈 것인가? 그렇지 않다. 현대적인 어선이 없는 미국의 경우가 그 점을 보여 주고 있다. 「어선」이라는 잡지의 편집인 ‘더불류. 에이. 샤레이트’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뉴잉글런드’ 선단은 대개 구식이라 외국의 현대적인 고성능 어선들과 경쟁하기에 어렵고, 또한 전통적인 어장에서만 조업을 한다.” 미국에 팔리는 다량의 물고기들은 사실상 미국 해안의 인근 어장에서 잡힌 것으로서, 외국에서 가공되어 미국 시장에서 팔리는 것이다. 그 결과 미국 어부들이 잡는 것보다 더욱 비싸게 치인다.

이제, 미국 국민들은 정부가 그들의 어장을 보호해 주기를 바란다. 그들은 정부가 좀더 넓은 연안 해역의 어장을 영해—영해란 임해국들이 법적으로 자국의 바다라고 주장하는 해역을 말한다—로 주장할 것을 요구한다. 그들은 결국 이렇게 주장하는 것이다. ‘그 안에 있는 물고기는 우리 것이다. 외국인들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잡아서 우리 국민에게 팔 수 있어야 한다.’

영해 문제

만일 미국이 현시점에서 현재의 12‘마일’ 넘어까지 영해 어장을 주장한다 해도, 그러한 조치를 취하는 최초의 나라는 아니다. ‘아이스랜드’는 어업이 주업인 자국의 경제를 보호하기 위하여, 1972년 9월에 영해 경계를 50‘마일’로 넓혔다. 이로 인하여, 같은 해역에서 늘 조업을 해 오던 영국과의 사이에 일년간이나 끈 “대구 전쟁”을 촉발시켰다.

최근, 그 두 나라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져서 영국은 말썽이 되었던 수역에서의 어획량을 할당받았다. 결과적으로 영국은 ‘아이스랜드’가 보다 넓은 해역에서의 조업을 통제하는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게 되었다.

다른 나라들, 특히 ‘라틴 아메리카’ 제국들과 ‘아프리카’의 일부 나라들은 200‘마일’ 어로 영해권을 주장하고 있다. 침해 선박들은 무거운 벌금을 물게 된다. 그러나 미국이 그러한 행동을 취한다면, 실제로 미국의 소비자 전부에게 해산물 가격을 싸게 해 줄 것인가?

비평자들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말하기를 어로 영해를 넓힌다 해도 그것이 개량된 어업 장비를 대신하지는 못한다고 한다. 영해를 넓히든 않든 간에 미국의 해산물 구매자는 줄어드는 어획량 때문에 계속 비싼 값을 지불해야 할 것이다. 현대적인 장비들은 비싸고, 물고기를 고갈되게 하고 있다. 구식 장비들은 어획고를 많이 올리지 못한다. 장기적으로 볼 때, 어느 방법을 쓰든지 물고기가 줄어들게 된다. 그 결과 값이 더욱 비싸지게 된다.

해산물이 줄어드는 기타 이유

해산물의 가격을 비싸게 만드는 또 다른 요인은 해양 생물의 떼죽음을 일으키는 오염이다. ‘프랑스’ 해양 탐험가 ‘재큐—이베 꼬스뜌’는 지난 20년 동안 해양 생물들이 오염으로 인하여 40‘퍼센트’ 감소되었다고 추산한다. 그 방면에 대해 학식이 있는 사람들은 그 말이 과장이라고는 믿지 않는다.

해산물들이 부족한듯이 보이는 또 다른 이유는 소비자들이다. 흥미롭게도, 서구 세계에서는 “인기있는” 여러 가지 물고기들이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동양의 수백만의 사람들은 서양에서 “인기가 없는” 물고기를 먹는다. 서양 어부들은 시장성이 없다는 이유로 그러한 물고기들을 흔히 무시해버린다. 사람들의 식성이 갑자기 달라진다면—별로 그런 일이 일어날 것 같지 않지만—동시에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많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상업적 어업 종사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금년에 이 국제 연합 해양법 회의에서 토론하기로 예정되었다. 여하간에, 늘어가는 지구상의 수많은 인구를 먹일 식량을 찾고 있는 인간의 노력을 바다가 해결하지 못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경제적 및 정치적 경쟁으로 인한 비싼 가격 때문에 때로는 해산물을 얻기가 더욱 어렵게 되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