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와 세계의 식량난
세계의 노동자의 대부분—네명중 세명꼴—은 농지에 의존하여 살아가며 대개 극빈자들이다. 이들 가난한 사람들 중 대다수는 ‘아프리카’, ‘아시아’ 및 ‘라틴 아메리카’에 살고 있다. 풍년이 들면, 그들은 자신들과 가족 그리고 어쩌면 소수의 다른 사람들의 생계를 겨우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이다. 흉년이 들면 많은 수가 굶주린다.
공업이 발달된 나라에서는 소수의 사람들이 인구 대부분에게 필요한 식량을 생산한다. 생산량이 가장 많은 나라로 미국을 꼽을 수 있는데, 미국에서는 작은 농장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거대한 농장이 압도적으로 많다.
풍부한 생산량
대공황 이후 약 40년간 미국에서의 ‘에이커’(약 4,000평방 ‘미터’)당 옥수수 생산량은 거의 4배가 증가하여 평균 792‘리터’에서 3,024‘리터’가 되었다. 밀은 468‘리터’에서 1,116‘리터’로, 벼는 ‘에이커’당 평균 945‘킬로그램’에서 2,070‘킬로그램’으로 증가하였다.
1974년에 어느 때보다도 많은 토지를 경작하여, 미국의 농장에서는 거의 18억 ‘부셸’(약 648억 ‘리터’)의 밀을 생산함으로써 소련 다음으로 많은 생산 실적을 올렸다. 1974년 미국의 옥수수 수확고는 46억 ‘부셸’(1,656억 ‘리터’)로서 세계 제일이었다. 그리고 3천 6백만두의 소가 도살되었는데, 이것은 1973년보다 7‘퍼센트’의 증가이다.
이러한 엄청난 양의 식품이 2억 8백만 인구를 가지고 있는 나라의 불과 280만 농부들에 의하여 생산되었다. 그것은 농부 한 사람이 약 74명의 미국인에게 식량을 공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식품이 다른 많은 나라에 비하면 상당히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되지만 고정 수입에 의존하는 사람들과 하급 경제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은 식품 구입에 점점 더 많은 돈을 지출하고 있다. 농부들은 다른 사람들의 고난에 대하여 동정할지 모르지만, 그들도 재정난에 직면하고 있다.
농부들이 부득이 해야 한다고 느끼는 일
미국 농부는 전세계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원하며 다른 나라의 굶주리는 수백만명의 사람들에게 상당한 양의 식량을 공급하여 왔다. 1965년과 1972년 사이에 미국은 전세계에서 소위 “식량 원조” 전체의 84‘퍼센트’를 담당해 왔다. 그러나 미국의 “식량 원조”로 할당되는 것의 단지 20‘퍼센트’만이 몹시 굶주리는 나라로 보내지고, 나머지는 값을 치를 수 있는 나라에 판매되고 있다.
이익이 절대 필요하다. 왜냐 하면 미국의 농사제도로 볼 때 농부가 농사를 계속하고자 한다면 그가 생산하는 품목에서 돈을 벌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익을 남기고자 하는 필요성을 알리기 위하여 어떤 농부들은 과격한 조치를 취하였다. 여러 주에서 그들은 수백마리의 송아지를 죽여서 도랑에 버려 썩게 하였다.
물론, 농부들은 그러한 도륙이 식품의 수치스러운 낭비 행위라는 것을 시인하지만, ‘미니소우터’ 주 ‘모틀리’의 한 목장주는 이렇게 덧붙여 말하였다. “농부가 일년 동안 일하고 20,000‘달러’ 혹은 30,000‘달러’의 적자를 보는 것도 수치다. ··· 나는 이러한 정육 얼마를 구덩이에 던지는 것보다 그것이 훨씬 더 큰 수치라고 생각한다.”
여러 가지 환경
최근의 경제 사태의 진전으로 많은 농부들이 커다란 타격을 받았다. 예를 들면, 송아지를 키워서 식용으로 팔기까지 드는 사료의 값이 때때로 시장에서 소를 파는 값보다 더 많다. 마찬가지로 백 ‘파운드’의 우유를 생산하는 데 드는 사료값이 우유 자체보다 더 비쌀 수 있다. 그 결과, ‘위스컨신’ 주에서는 매일 거의 열개의 목장이 최근에 문을 닫고 있다고 한다.
반면에, 어떤 농부들은 좋은 재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아이오와’ 주의 약 백 ‘에이커’의 농장을 소유한 한 사람은 이렇게 시인하였다. “나는 솔직히 내가 이전에 이렇게 유리한 입장에 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농무 장관과 생각이 같다. 그러므로, 어디에 살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이 나의 추단이다. 여기서는 좋다. 다른 곳에서는 사정이 매우 불리하다.”
그러나 풍작을 누린 사람들도 그들의 상태가 하루 밤에 돌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일례로, 1974년에 곡식을 재배한 농부들은 대체로 수입을 많이 올렸다. 왜냐 하면 곡식의 값이 비쌌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축을 먹이기 위해 많은 곡식을 필요로 한 많은 목축업자들은 파산하였다.
이러한 유동성과 불균형의 이유는 무엇인가?
농사의 기본적 문제
많은 농부들은 기후가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전문 기상학자들은 최근의 특이한 기상 형태가 농부들에게 타격을 주고 있음을 확증하였다. 한 예를 들면 이러하다. ‘아이오와’ 주(미국)에서 작년에 폭우로 말미암아 많은 토지가 씻겨 내려가서 일찍 파종을 할 수 없었다. 다음에 화씨 100도(섭씨 약 38도)를 오르내리는 푹푹찌는 7월에 막대한 양의 곡식이 타죽은 데다가, 9월 2일에 기록을 경신하는 이른 서리를 만났다.
새로 등장한 커다란 문제는 현대 농업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석유 값의 폭등이다. 추산에 의하면, 304‘리터’에 상당하는 휘발유가 단 1‘에이커’(약 4,000평방 ‘미터’)의 옥수수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농기구의 운용, 및 비료 생산에 석유가 필요하다. 1972년에 석유에 의존하는 비료는 ‘톤’당 65.50‘달러’이었으나, 1974년에는 농부들이 175‘달러’를 지불하고 있었다.
또한, 농사 기계의 값도 다락같이 올라갔다. 어떤 경우, 약 2년 전에는 7,800‘달러’하던 ‘트랙터’가 지금은 그 두배이다. 게다가, 때때로, 제작자들은 수요에 응하지 못하여 농부들은 새로운 기구를 배달받기까지 석달 내지 여섯달을 기다려야 했다. 어떤 때는 부속품을 바꾸는 것이 새로운 ‘트랙터’를 사는 것보다 비용이 더 들기 때문에, 일부 농부들은 값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때에 ‘트랙터’가 고장이 날 것을 대비하여, 두대의 ‘트랙터’ 혹은 두대의 ‘콤바인’을 산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 때에, 그렇게 하는 것이, 수확의 감소보다 낫다고 그들은 생각한다.
종자의 값도 놀랍게 인상되었다. 씨앗용 옥수수의 평균 비용은 1974년과 1975년 사이에 30‘퍼센트’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건초를 묶는 데 사용하는 끈은 삼년 동안에 400‘퍼센트’ 이상 올라갔다.
다음에, 농사와 약간 관련된 다른 문제가 있다. 농부가 서투른 일군을 고용하여 농사 기구를 다루게 할 수 밖에 없으면, 수리하는 일이 많아지기 쉽다. 중서부 지방의 한 농부는 농사를 중지한 이유로 “정직하고 믿음직한 일군을 고용하기가 어려운 점”을 첫째로 꼽았다.
농부를 동시에 괴롭혀 엄청난 집단적 타격을 가한 듯한 “사소한 것”은 수십가지, 어쩌면 수백가지가 있다. 그러나 동시에, 식량난으로 인하여 더 많은 생산을 하라는 압력이 있었다. 그러나 비용의 증가로 확장이 대개 용이하지 않다.
또 다른 예로, 농지의 값은 꾸준히 인상되고 있다. ‘뉴우저지’ 주에서는 현재 ‘에이커’당 평균 2,000‘달러’ 이상을 호가한다! 그리고 ‘데니슨’(‘아이오와’ 주) 「리뷰우」지는 이렇게 말한다. “금년(1974년)에 전국적으로 모든 등급의 농지가가 31‘퍼센트’ 뛴 것은 1973년의 32‘퍼센트’ 증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과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농부들은 그들이 이제 자기들의 농산물에 대하여 더 많은 값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농산물의 값을 해결함
그러나 농부들은 자기들이 농산물의 가격을 자유로이 매길 수 없는 경제 제도에 갇혀 있다고 말한다. 농부들은 자기들의 생산품에 대하여 그것을 생산하는 데 든 비용보다도 적은 값을 받는다고 불평한다. 그러나 농부들이 자의로 값을 매길 수 있다고 가정하여 보라. 전세계가 호전되겠는가?
솔직히 고려하여 보라. 작년에 많은 수확을 본 양곡 재배자들 가운데 과연 얼마나 되는 사람들이 그만큼 이익을 보지 못한 목축업자들과 자기들의 재산을 나누었는가? ‘시애틀’(‘와싱턴’ 주) 「타임즈」지는 ‘스포케인’에서 열린 최근 주내 밀 재배자 협회 회의에 대하여 보도하면서 이렇게 지적하였다. “농부들은 ··· 분명히 번영을 누리고 있다. ··· 만일 밀 경작자들이 마침내 실권을 잡는 것같이 보이면 그들은 그에 대하여 사죄하려 하지않을 것이다.”
실제로, 농부들은 사실상 각자가 자신의 길을 모색할 것을 요구하는 경제 제도의 일부에 불과하다. 그것은 소위 이익 위주에 기초하고 있다. 세계가 더 많은 식량을 요구할 때에 이익 위주가 끼친 영향을 고려하여 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