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86 2/15 24면
  • 세계를 살펴봄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세계를 살펴봄
  • 깨어라!—1986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회계 게임”
  • 여성과 스트레스
  • 번개 주의 사항
  • 총 아니면 아기?
  • 과학계의 부정 행위
  • 세계를 살펴봄
    깨어라!—1991
  • 누구에게 위험한가?
    깨어라!—1986
  • 의학의 경이, 윤리의 지뢰밭
    깨어라!—2002
  • AIDS—나도 위험한가?
    깨어라!—1993
더 보기
깨어라!—1986
깨86 2/15 24면

세계를 살펴봄

“회계 게임”

삼년 전에, ‘제 삼 세계’ 국가들의 부채 위기가 표면화되어, 전세계의 금융 제도가 붕괴될 것이라는 우려를 자아냈었다. 그러나, 현재로는, “부채 문제로 인하여 대 은행들이 연쇄적으로 무너질 어떠한 즉각적인 위험도 더 이상 발생할 것 같지는 않다”고 「뉴우요오크 타임즈」지의 한 시사 해설에서 니콜라스 D. 크리스토프는 기술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부채에 허덕이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무역 수지에서 흑자를 보고 있으며, ‘국제 통화 기금’과 기타 기관들은 이들 국가가 더 많은 차관을 얻도록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이 일은 단지 최후의 날을 연기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어떤 면에서, 그것은 일종의 회계 게임이다. 원금 지불을 연기하고는, 이자를 지불하기 위하여 돈을 새로이 빌린다”고 어떤 대 증권회사의 수석 부사장은 비난한다. 크리스토프는 이렇게 부언한다. “모든 비상 수습책을 다 썼음에도, 지난 삼년간에 걸쳐,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총 부채액은 실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줄어 들지 않았다.”

여성과 스트레스

직장에서 문제를 격는 남성보다 가사를 맡고 있는 여성이 더욱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뉴우요오크 타임즈」지는 보도한다. “만일 주부, 특히 어린 자녀들을 둔 주부를, 직장에서 근무하는 남편이자 아버지와 비교한다면, 주부가 더 많은 근심과 우울증으로 고통을 받는다는 것이 분명하다”고 ‘프린스턴 대학교’의 페기 도이츠 박사는 말한다. 가장 많이 고통을 받는 여성은 “역할의 포로”라고 불리는 사람들인데, 즉 지루한 일이나 집이라는 덫에 잡혔다고 느끼는 여성들이다. 가장 행복한 주부들은 가사 외의 일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역할, 이를테면 아내, 어머니, 시간제 근로자, 학생 및 종교 또는 사회 단체의 활동적인 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조사자들은 알게 되었다.

번개 주의 사항

「부모」(Parents)지에 따르면, “번개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더 치사적”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상해는 번개에 대해 무방비 상태에 있는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한다. 뇌우가 내리칠 때에는, 실내의 사람들은 열린 문이나 창문, 벽난로, 전화기 및 쇠붙이로 된 물건에 가까이 있지 말라는 권고를 받는다. 밖에 있는 사람들은 들판, 갑판이 없는 작은 배, 철책, 외딴 나무들 혹은 수풀에서 가장 큰 나무들을 피해야 한다. 수영중이라면 물 밖으로 나와야 한다. 자신을 보호하는 최선책은 낮은 지점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들판에 있다면, 그 잡지는 이러한 권고를 한다. “무릎을 꿇어 앉고 낮게 구부리라. 무릎에 손을 두지 말라. 단지 무릎과 발이 땅에 닿도록 하라. 이 자세가 감전의 위험을 줄여 준다.”

총 아니면 아기?

141개국의 자료를 연구한 후, ‘하아버드 대학교’와 ‘보스턴 대학교’의 연구원들이 밝힌 바에 의하면, 군비가 늘어남에 따라 유아 사망률도 증가된다고 한다. 그 연구원들은 자신들의 결론이 이치적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유아 사망률을 좀더 낮출 수 있는 사회 사업 계획에 사용되는 경비가 군비로 지출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예로서, 일본은 국민 총 생산액의 1퍼센트도 안 되는 경비를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며 신생아 1,000명당 한살 혹은 한살 미만에 죽는 유아는 6명이다. 이에 비하여, 미국은 군비 비율이 6퍼센트로서 훨씬 높으며, 물론, 유아 사망률도 1천명당 11명으로 훨씬 높다. “차이가 상당히 나는 이유는 군비 때문일 수 있다”고 한 연구원은 말한다.

과학계의 부정 행위

현대 과학계에서 경쟁이 빚어내는 압력 때문에 부정 행위, “악의없는 거짓말” 및 속임수의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과학의 순수성이 침식되고 있다. 이것은, ‘미국 과학 진흥 협회’의 연례 총회에서, 잡지 편집자들과 의학계의 저명 인사들과의 공개 토론회에서 도달한 결론이었다. “1985년의 과학계는 경쟁이 너무 심하며, 너무 방대하고, 너무 타산적이며, 상을 획득하는 데 지나치게 몰두하고 있다”고 ‘캘리포오니아 대학교’ 출신의 로버어트 G. 피터스도어프 박사가 말했다. 승진이나 연구 보조금을 얻기 위한 경쟁을 함으로써 많은 과학자들은 속이거나 자신의 연구를 과장한다고 그는 말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