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86 3/1 24면
  • 세계를 살펴봄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세계를 살펴봄
  • 깨어라!—1986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핵전쟁과 식량 위기
  • 혜성의 꼬리를 통과하다
  • 어머니는 훌륭한 교사이다
  • 폭력에 대한 두려움
  • 피를 조명하다
  • 고래 구경을 가 볼까요?
    깨어라!—2015
  • 다시 찾아온 천체 방문객
    깨어라!—1986
  • 다 그렇게 나쁜 것만은 아닌 흰줄박이 돌고래
    깨어라!—1981
  • 바다의 군주
    깨어라!—1980
더 보기
깨어라!—1986
깨86 3/1 24면

세계를 살펴봄

핵전쟁과 식량 위기

30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200명의 과학자들은 핵전쟁이 지구의 식량 공급에 미칠 영향에 관한 중대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두권으로 된 그 보고서의 추산으로는 10억 내지 40억의 생존자들이 기아로 인한 죽음을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원폭의 영향이 직접 미치지 않은 곳일지라도, 수억톤의 검은 매연이 대기 중에 포함됨에 따라, 다량의 햇빛이 차단되어 경작지에 와 닿지 않을 것이다. 지구에 “핵겨울”의 재난이 있게 되면 세계적인 기근이 뒤따를 것이다. 미국 코어널 대학교에 소재한 ‘생태계 연구소’의 부소장이자 위 보고서의 공동 집필자인 마아크 하아웰 박사는 기자 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핵 전쟁 이후에 대다수의 사람들의 눈에 세상이 어떤 모습으로 비칠 것인가를 나타내 주는 본보기로, 이디오피아와 수단의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경우보다 상태를 더 잘 예시해 준다.”

혜성의 꼬리를 통과하다

시속 74,000킬로미터로 날으는, 중량이 450킬로그램인 미국의 한 인공 위성이 지난 9월 11일 멀리 있는 혜성의 꼬리를 무사히 통과했다. 그 인공 위성에서 전송되는 자료를 해석하는 일에 관계한 한 과학자는 “인류가 혜성과 처음으로 조우하게 된 것은 대단한 성공으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쟈코비니 찌너라고 명명된 그 혜성은 우주선이 그 꼬리를 통과할 당시 지구로부터 7천만 킬로미터 떨어져 있었다. 과학자들이 기대하는 것은, 이 역사적인 조우에서 수집한 정보에 힘입어 소련, 일본 및 유럽의 우주 기관의 우주 탐사기들이 1986년 3월에 유명한 핼리 혜성과 조우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어머니는 훌륭한 교사이다

교육자들은 부모들에게 자녀들을 보육원에 보내라고 권하지만, 최근의 연구는 그 점에 이의를 제기한다. 「유아 학습」(Young Children Learning)이란 책에서 저자인 바바라 티자드와 마르틴 휴우즈는 영국의 네살난 여아 30명의 대화를 분석하였다. 그들이 알게 된 것은 그 여아들이 학교에서 보다 집에서 더욱 활발하게 이야기한다는 사실이었다. 더우기 그들은 학교에서 다른 어른들과 시간당 10회 정도만 이야기를 나누는 데 비해, 엄마와는 시간당 27회나 이야기를 자유롭게 나누었다. 집에서 일대일로 하는 교육이 학교에서의 집단 교육보다 훨씬 나았다. 그 저술가들은 모범적인 가정이 모범적인 보육원보다 꼬마들에게 훨씬 더 훌륭한 교육 환경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폭력에 대한 두려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사람들의 일상적인 행동에 널리 침투되어 있다”고 1984년도 영국 ‘범죄 조사서’는 결론을 내린다. 네명 중 한명은 더 이상 밤에 외출하지 않는다. 30세 미만의 여성의 경우 매 열명 중 네 명은 강간의 두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두려움을 이해할 만한 이유는, 그 조사서의 보고대로 1981년에서 1983년 사이에 성범죄가 115 퍼센트나 증가했기 때문이다. 영국의 갤럽 여론 조사가 밝힌 바로는 1965년 이래 폭력 범죄가 네배로 증가함에 따라 백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총이나 칼을 휴대한다고 한다. 한편 런던 「타임즈」지의 보도에 따르면, “침대 밑에다 크리켓 방망이나 기타 둔기를 두고 잠을 자”는 사람들이 또한 백만명이나 된다고 한다.

피를 조명하다

◻ 덴마아크의 과학자 니일스 예른은 “면역학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1984년에 노벨 의학상을 받았다. 최근에 브라질 잡지 「베자」와의 대담에서 3년전 수술시에 수혈을 거절한 이유를 질문받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사람의 피는 지문과 같아서, 서로 똑같은 피란 있을 수 없지요. 그 때문에 나는 내 몸이 제 구실을 하는 편을 택했고, 아무런 문제없이 회복되었읍니다. ·⁠·⁠· 일반적으로 말해서, 나의 지론은 포도주 한잔을 마시고 하루 푹 쉬는 것이 훨씬 더 낫다는 것입니다.”

◻ 브라질의 여러 농촌 지역의 풍토병인 샤가스 병이 도시 주민들 사이에서도 급격히 퍼지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브라질의 「오 에스타도 데 사웅파울로」지에 따르면,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수혈이라고 한다. 이 병에 감염된 지방민들이 도시로 이주해서, 식량을 살 돈을 마련하려고 자기 피를 팔므로써 오염된 피가 모아진다. 의료진들이 감염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 혈액 제공자들을 선별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샤가스 병은 심장 박동 장애 및 염증 반응을 일으켜 사망 요인이 되기도 한다.

◻ 이탈리아의 알레산드리아에 있는 한 병원은 48건의 비루스성 간염을 조사하여, 주된(그 중 33 퍼센트) 감염 원인이 수혈임을 알게 되었다. 이탈리아에서 8,604건의 비루스성 간염에 대해 최근에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그 중 57퍼센트 이상이 수혈 때문이었다고 「미네르바 메디카」지는 보도한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