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신학의 등장
“많은 흑인들에 의하여 그리스도교는 인종 분리 정책에 관여해 왔다.”—회중 교회 교역자, J. 드 그루치 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교회 투쟁」(The Church Struggle in South Africa)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식 프로테스탄트교에 환멸을 느낀 많은 흑인들은 새로운 것 즉 흑인 신학으로 향했는데, 이 신학은 성서를 흑인의 상황과 관련시키려고 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인 신학의 소리」(The Voice of Black Theology in South Africa)에서 루이제 크레치마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흑인’이라는 용어는 두 가지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첫째로, 그것은 이전에 ‘백인이 아닌 사람’이나 ‘유럽인이 아닌 사람,’ 예를 들면 아프리카인, 유색인, 인도인이라고 일컬어지던 사람들 모두를 가리킨다. ··· 둘째로, ‘검음’이란 단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 압제받는 사람들’이란 표현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따라서 흑인 신학이 강조하는 바는, 흑인도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기 때문에 백인과 똑같이 존귀하게 대우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신학의 두드러진 주제 중에는 이집트에서 이스라엘이 해방된 일과 예수의 고난사가 있다. ‘하나님은 압제받는 자의 편’이라는 것이 흑인 신학의 표어다.
연합된 시도?
흑인 신학의 주창자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많은 교회에 산재해 있으며, 그들 중에서도 격론이 일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흑인 신학자들은 공산주의 이념을 찬미하여 그것을 자신의 저서에 분석해 놓고 있다. 그런가 하면 마르크스주의를 배척하는 신학자도 있다. 백인 사회가 어느 정도로 이 새로운 형태의 “그리스도교”에 참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모두가 일치된 견해를 보이지는 않는다.
인종 분리 신학이 백인 국가주의를 조장하는 것과 동일하게, 흑인 신학은 흑인 국가주의를 조장한다고 흑인 신학 비평가들이 주장하자, 저명한 흑인 신학 주창자인 알란 뵈사크 박사는 “그리스도교 신앙은 모든 이념과 온갖 국가주의적 이상을 초월한다”고 대답한다.
하지만 회중 교회의 교역자, 봉간얄로 고바는 “나는 알란 뵈사크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일축한다. 고바는 흑인 신학이 “흑인 사회의 이념적 관심사를 반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면서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더 이상 흑인 신학이 못된다”고 주장한다. 루터교 주교, 부텔레치 박사는 다음과 같이 부언한다. “그것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사는 백인들의 정신을 고무시키며 ··· 우리가 흑인 신학의 노래를 부르도록 의욕을 불어넣고 있는 성서의 동일한 소식이다.”
무기로서 사용됨
감리교 교역자이자 흑인 신학 강사인 이투메렝 모살라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흑인 신학은 백인 신학과 백인 사회를 반대하는 비판의 무기로서 그 목적을 아주 잘 달성하고 있다.” 흑인 신학자들은 그러한 비판을 표명함으로써 젊은 흑인들이 흑인 교회에 머물기를 바란다. 교회 내에서 행해지는 “그리스도교” 방식을 보고서 그에 항의하고자 교회를 떠나는 젊은 흑인들이 많이 있기에 말이다.
다른 사람들은 한층 더 나가 흑인 신학을 정치적 변화를 위한 무기로 사용한다. 아프리카 흑인 DR 교회 교역자이자 흑인 신학 강사인 타카초 모포켕은 “흑인 신학은 해방을 위해 끊임없이 전개되는 투쟁의 유용한 도구로서 계속 이어진다”라고 인정한다.
이에 대한 하나의 예가 156명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신학자가 서명한 「카이로스 문서」(The Kairos Document)다. 그 문서는 교회 신자들이 “압제를 제거하고 폭군들을 권좌에서 몰아내며 공정한 정부를 설립할 것”을 요구한다. 그 신학자들은 이렇게 선언한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 세계에서 일하고 계신 것과 그분의 ‘왕국이 임’하여 그분의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도록, 이 희망 없고 악한 상태를 좋은 상태로 만드실 것을 믿는다. ··· 분쟁과 투쟁은 앞으로 여러 달, 여러 해 동안 격화될 것이다. 불공정과 압제를 없애는 데 그 외의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이 성서에서 가르치는 것인가? 하나님의 왕국은 정치 혁명을 통해 임할 것인가? 프로테스탄트교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 빚어지고 있는 불화의 근원이 되어 왔다는 사실은 그리스도교 자체가 실패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