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89 10/15 3면
  • 전쟁—충격과 상처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전쟁—충격과 상처
  • 깨어라!—1989
  • 비슷한 자료
  • 마지막 날—‘나라가 나라를 대적하리라’
    깨어라!—1988
  • 50년 전, 세상은 어떠하였는가?
    깨어라!—1995
  • 제1차 세계 대전과 재난의 시작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83
  • 전쟁—견디기 어려운 여파
    깨어라!—1989
더 보기
깨어라!—1989
깨89 10/15 3면

전쟁—충격과 상처

“우리는 별다른 사고 없이 정찰 임무를 수행하였다. 우리 지휘관은 온유하고 친절한 사람으로, 직업 군인은 아니었다. 그는 우리를 인솔하여 부대로 돌아오고 있었다. 보초병이 우리에게 수하하였다. 우리 지휘관이 미처 대답을 하기도 전에, 참호 뒤에 있던 한 병사가 긴장한 나머지 발포를 하였고, 탄환은 지휘관의 얼굴에 맞았다. 애석하게도 그는 피투성이가 되어 숨을 헐떡이다 사망하였다.” 영국군 병사, 에드워드 B——에게 있어서, 그 사건은 제 2차 세계 대전의 상처를 단적으로 말해 주는 일이었다.

일부 사람들은 전쟁의 진상을 은폐하려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선전원들은 제 1차 세계 대전이 “부분적으로는 아마겟돈—선과 악 사이의 최후의 전투 ·⁠·⁠·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중세 마상 창시합에 크리켓의 성격을 더한 것”이라고 묘사하였다. (「권력의 얼굴」[The Faces of Power]) 실제는 그 어느 쪽도 아니었다. 그보다는 신문 특파원이자 저술가였던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묘사가 더 적절하였다. 그는 그 전쟁이 “지상에서 벌어졌던 것 중에서 가장 어마어마하고 잔인하며 그릇된 대량 살육”—제 2차 세계 대전 전까지는—이었다고 기술하였다.

그와 같은 대량 살육은 금세기와 그 이전에 벌어진 모든 전쟁의 특징을 이루었다. 맬컴 브라운은 이렇게 기술하였다. “역사상의 모든 전쟁은, 그 대의나 정당화의 근거가 무엇이든 간에, 관련된 모두에게 더럽고, 고통스러우며, 천박한 것이었다.” 베트남에서, 그는 증거 자료를 얼마든지 제시할 수 있는 살육 행위와 전쟁의 고통을 직접 보았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베트남에서 벌어진 온갖 참사가 인간의 경험에 전혀 새로운 것을 보여주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전쟁의 새 얼굴」(The New Face of War).

제 2차 세계 대전중에도 분명히 비슷한 참사가 벌어졌다. 독일과 일본은 황폐되었으며, 군인 및 민간인 전사자가 도합 수백만명에 달하였다. 미국은 약 400,000명, 영국은 450,000명, 그리고 프랑스는 500,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 소련은 2천만명 가량의 사망자를 냈다. 「제 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 책에서는 “인간의 고통이라는 이 대가”로 묘사한 것을 열거하면서, “전쟁의 전체 사망자 수는 민간인을 포함하여, 적어도 5천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기술하였다.

민간인 사망자는 제럴드 프리스틀랜드가 그의 저서 「프리스틀랜드—정당한 것과 부당한 것」(Priestland—Right and Wrong)에서 “전면 전쟁: 어디에 있는 사람이든, 무엇을 하는 사람이든, 나이가 어느 정도이든 혹은 얼마나 무력하든 아랑곳하지 않고, 남자와 여자와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전쟁”으로 묘사한 것의 일부였다. 그 전형적인 예가 “연합군이 함부르크와 드레스덴을 초토화하고, 독일군이 리버풀과 코번트리를 파괴[하였을]” 때라고 그는 말하였다.

전쟁에서 수천만명이 멸절되는 것은 끔찍스런 일이다. 그러나 “더럽고, 고통스러우며, 천박한” 전쟁의 상처를 안고 살아 남은 사람들의 경우는 어떠한가? 그들은 어떤 영향을 받는가? 그리고 그들은 후유증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다음 기사들은 그러한 질문을 검토할 것이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