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의 증인과 더불어 무혈 수술을 개척함
여호와의 증인은 수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근년에 주요 뉴스로 자주 보도되었다. 그들이 수혈을 거절하는 이유는 성경적인 것이지만, 수혈에는 신체적인 위험이 따른다는 점도 인정된다. (창세 9:3, 4; 레위 17:10-12; 사도 15:28, 29) 그들의 입장은 의사, 병원 및 법원과의 대립을 초래하였다. 성인 증인들은 수혈을 거부하기 때문에 수술을 거절당하였으며, 그 자녀들은 법원 명령에 의하여 수혈을 강요당하였다.
지금 수혈에 대한 입장에 얼마의 변화가 일고 있다. 공급되는 피가 흔히 오염되어 있다. 수혈로 인해 병이 전염되고 있으며 어떤 병은 치명적이다. 혈액 판매가 큰 사업이 되면서 탐욕이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통상적인 피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어서 수술에 불필요한 위험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a 이러저러한 이유 때문에, 여호와의 증인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통상적인 수혈을 받는 문제에 대해 재고하고 있다.
여호와의 증인은 이 모든 일에서 한몫을 해왔다. 수천 명의 증인이 수술을 받았으며 많은 경우 수혈을 받은 사람보다 더 빨리 회복되었다. 그들의 경험은 외과 의사들이 출혈을 상당히 많이 줄이면서 수술을 할 수 있으며, 일부의 경우는 혈구 수가 한때 안전 수치로 생각했던 것보다 상당히 많이 내려갈 수 있음을 알려 준다. 게다가, 증인들의 경우는 현재 사용이 가능한 많은 대체 요법이 있으며, 그 결과로 비용을 줄이고 수혈의 위험을 없애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들이 법정에서 얻는 승리 역시 특정 의료 처치를 받아들이거나 거절할 환자의 권리를 환자 자신들에게 돌려주었다.
여호와의 증인은 의사와 병원에 협조적으로 대함으로써 이 점에 있어서 많은 성과를 거두어 왔다. 근년에 증인들은 그들의 세계 본부에 병원 안내 봉사실(HIS)이라고 부르는 부서를 설치하였다. 이 부서의 대표자들은 세계 여러 나라로 여행하여 워치 타워 협회의 일부 지부들에서 필요할 때 병원 및 의사와 접촉하는 병원 교섭 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세미나를 갖고 지도를 베풀었다. 큰 지부를 방문하는 동안, 병원 안내 봉사실 대표자들은 또한 각 지부에 병원 안내 봉사실 데스크를 설치하여 그들이 떠난 후에 그 일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위원회는 세미나를 통해 의사 및 병원 관계자와 대화하여 수혈에 대한 적절한 대체 요법을 논하고 실혈(失血)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섬세한 수술 기법을 설명하는 훈련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병원 안내 봉사실의 방문자들은 새로운 교섭 위원들과 함께 의사와 병원 관리자들을 만나 대화함으로써 현장 훈련을 베푼다.
처음에, 열여덟 번의 세미나가 미국에서 개최되었다. 그후 태평양 지역인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필리핀, 하와이에서 각각 한 번씩 네 번의 세미나가 개최되어, 그 지역 워치 타워 협회의 여덟 개 지부를 섬겼다.b 1990년 11월과 12월에, 병원 안내 봉사실 대표자 세 명은 유럽,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해 지역에서 열 번의 또 다른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다음 내용은 그러한 세미나의 결과에 관한 보고다.
다섯 번의 세미나가 유럽에서—영국, 스웨덴, 프랑스, 독일, 그리고 스페인에서 각각 한 번씩—열렸다. 이 다섯 번의 세미나를 통해 워치 타워 협회의 20개 지부가 도움을 받았으며 병원 교섭 위원회 일을 위해 1700명이 넘는 장로들이 훈련을 받았다.
프랑스의 한 외과 의사는 여호와의 증인이, 피에 대한 그들의 확고한 입장 때문에, 무혈 수술 분야에서 진보하도록 의료인들에게 도움이 되어 왔음을 인정하였다. 그는 신도들이 어려운 문제에 대처하도록 돕기 위해 그처럼 노력을 바쳐 온 종교는 증인외에는 없다고 말했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시설이 가장 좋은 한 병원은 이 문제에 대해 증인들에게 매우 적대적이었다. 척수 수술을 받아야 하는 한 증인 여자는 수혈을 거부한다는 이유로 치료를 거절당했다. 병원을 떠나려 하지 않자 병원측에서는 음식물을 주지 않고 강제로 퇴원시켰다. 그러나 병원 안내 봉사실 요원들이 병원장 및 수술 책임자와 약속하여 두 시간의 모임을 가졌다. 결과는 어떻게 되었는가? 그들은 수술을 하기로 동의하였고 쫓겨난 증인에게 전화를 걸어 수술을 받기 위해 다시 오라고 하였다.
세미나를 마치고 돌아온 이탈리아의 증인들은 오자마자 조산아에게 강제로 수혈을 하려는 시도에 직면하였다.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세미나에서 배운 지식을 가지고 상태를 누그러뜨릴 수 있었으며, 아기는 피를 사용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치료를 받았습니다.”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해 지역에 관한 보고
다음 다섯 번의 세미나는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에콰도르, 그리고 푸에르토리코에서 열렸다. 워치 타워 협회의 32개 지부가 이 다섯 번의 세미나에서 도움을 받았다.
멕시코 시 혈액 은행장은 여호와의 증인이 무혈 수술의 선두에 서 왔으며, 지금은 그 분야에 충분한 전문 기술이 축적되어 다른 사람들도 개척자들의 노력으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출혈시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대체 요법을 열거한 병원 안내 봉사실 인쇄물을 자세히 검토하였다.c 그리고 나서 이렇게 말했다. ‘멕시코 시에 있는 모든 병원 게시판에 붙여 놓기 위해 이 인쇄물의 사본을 만들고 싶습니다. 이 지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의사들에게 사본을 만들라고 하겠습니다. 그 다음 앞으로 의사들이 우리 혈액 은행에 혈액을 요청해 오면, 먼저 이 인쇄물을 살펴보라고 한 다음, “이 방법을 사용해 보셨습니까? 저 방법을 시도해 보셨는지요?”하고 물어 보겠습니다. 그들이 만일 여기에 나오는 대체 요법을 먼저 시도해 보지 않았다면, 그렇게 할 때까지 그들에게 혈액을 공급하지 않겠습니다!’
아르헨티나 북부의 혈액 은행장도 도움을 주었다. 그 지역에는 국립 병원에 오는 사람은 누구나 친척이나 친구를 위해 적어도 미리 두 단위의 혈액을 헌혈해야만 한다는 방침이 있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치료를 받을 수 없다. 증인들은 그 방침을 따를 수 없었으므로 수술을 거절당하였다. 피의 사용에 관한 우리의 진지한 확신을 설명하였더니, 혈액 은행장은 다음 개정시에 그 방침을 변경하도록 마련하였다. 그때까지, 입원시에 치료 지침 및 면책 각서 카드를 보이는 증인들은 헌혈 요구에서 제외될 것이다.
에콰도르의 한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외과 의사는 증인과 증인이 아닌 사람에게 피를 사용하지 않고 2500건이 넘는 수술을 해주었다. 그는 혈액 공급이 환자에게 주는 여러 가지 위험 때문에 그 나라에서 무혈 수술 권장 운동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에콰도르 세미나에 이어서 우리가 제공한 프로그램에 참석한 한 외과 의사는 이러한 말을 했다. “의술에 대해 이 정도로 조사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면 성서에 관한 그들의 연구도 일리가 있을 것이며, 따라서 그들의 종교는 조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종교라고 생각합니다.”
푸에르토리코에서는 태도가 바뀌어 환대를 받는 일이 있었다. 과거에는 성인 증인이 종종 꼼짝할 수 없게 묶여 강제로 피를 받는 일이 있었으며 그들 중 일부는 후에 사망하였다. 병원 안내 봉사실 대표자들은 푸에르토리코 병원 협회 부회장과 법률 고문을 만났는데, 법률 고문은 병원 관리자이기도 하였다. 정식으로 소개를 하자마자, 병원 안내 봉사실 자료를 제공하기도 전에, 그 법률가는 할 말이 있다고 하였다. 뜻밖에도, 그는 그 섬의 병원들에서 환자의 권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계획을 설명하기 시작하였으며, 그것은 바로 우리가 제공할 내용의 주요점이었다! 그는 또한 우리가 건네준 자료의 일부를 복사하도록 허락해 달라고 하였는데, 병원 협회지에 실을 기사에 그 자료를 포함시키고 싶어했다.
미국에서 얻은 결과
한 의사—병원의 외과 과장, 제임스 J. 릴리—는 지방 교섭 위원회에게 이런 뜻 깊은 말을 하였다. “내가 느끼기에, 피의 사용에 대한 의학적·법적 지식 면에서 여러분은 선두에 서 있습니다.”
워싱턴 시 지역에 있는 한 큰 병원에서, 병원 교섭 위원회는 일단의 병원 관리자들 및 의료 관계자들과 만났는데, 그들은 지원을 약속하였으며 특히 “이와 같은 지원 마련으로 필요한 때에 소속원들을 돕는 워치 타워의 활동에 대해” 감사한다는 말을 하였다.
위스콘신의 한 병원 간호 과장은 자기가 여호와의 증인에 관해 얼마나 잘못된 지식을 가졌었는지를 말했다. 그 여자는 “모든 의료인에게 이 메시지를 억지로라도 전달”하라고 병원 교섭 위원회를 격려하였다.
병원 안내 봉사실의 활동 중 한 가지 두드러진 점은 의학 및 법률 기사를 지정된 의사, 병원, 병원 및 의학 협회에 우송하는 일이다. 메릴랜드, 볼티모어에 있는 한 병원의 사고 담당관으로부터 이런 답장이 왔다. “수혈과 여호와의 증인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도록 광범위한 자료를 보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지식은 우리 병원이 여호와의 증인 치료에 대한 방침을 변경하도록 돕는 일에 무엇보다도 유용할 것입니다.”
미국에만도, 여호와의 증인에게 기꺼이 무혈 수술을 해주는 의사들의 명단에 거의 1만 명이 올라 있다.
지금까지, 32회의 세미나를 통해, 세계 여러 지역에 있는 여호와의 증인의 필요를 돌보기 위하여 62개의 지부에 교섭 위원회가 마련되었다. 이들은 지금 수백만 명의 여호와의 증인을 돌볼 준비가 되어 있다. 결과는 여호와께서 참으로 병원 안내 봉사실의 활동을 축복하고 계심을 나타낸다.
[각주]
a 자세한 설명은 「깰 때이다」 1990년 11월 1일 호, 2-15면 참조.
b 이 나라들에 관한 보고는 「깰 때이다」 1990년 12월 1일 호 “의사와 증인 환자 사이에 다리를 놓음” 기사 참조.
c 이 인쇄물은 본지 10면에 전재되었음.
[10면 네모]
수혈 없이 출혈을 피하고 제어하는 방법
1. 외과 수술 장치:
ㄱ. 전기 소작기(燒灼器)
ㄴ. 레이저 수술
ㄷ. 아르곤 광선 응고 장치
ㄹ. 감마 나이프 수술 요법
2. 내출혈 부위를 찾아내고 지혈시키는 기술과 장비:
ㄱ. 내출혈 부위를 찾아내는 내시경 검사
ㄴ. 탄성(彈性) 흡인 전기 응고 장치(J. P. 파프, 「미국 의학 협회지」[JAMA] 1976. 11. 1. 2076-9면)
ㄷ. 동맥 색전술(塞栓術)(「미국 의학 협회지」 1974. 11. 18. 952-3면)
ㄹ. 저혈압 유지(출혈이 멎을 때까지)
ㅁ. 조직 접착제(S. E. 실바스 박사, 「의학 세계 뉴스」[MWN] 1977. 9. 5.)
3. 수술 및 마취상의 기술:
ㄱ. 저혈압 마취법(혈압을 강하시킴)
ㄴ. 저체온법(체온을 강하시킴)
ㄷ. 수술중 혈액 희석법
ㄹ. 수술중 혈액 회수 장치, 예, “셀-세이버”
ㅁ. 세심한 지혈 및 수술 수기(手技)
ㅂ. 수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외과 수술진 증원
4. 감시 장치:
ㄱ. 경피성 산소 모니터
ㄴ. 산소 농도계
5. 혈량 증량제:
ㄱ. 크리스탈로이드
(1) 유산염 링거씨액(E. R. 아이히너, 「외과 연보」[Surgery Annual] 1982. 1월. 85-99면)
(2) 생리 식염수
ㄴ. 콜로이드
(1) 덱스트란
(2) 젤라틴 (P. J. 호웰, 「마취」[Anaesthesia] 1987. 1월. 44-8면)
(3) 헤타스타치
6. 지혈용 제제:
ㄱ. 아비틴
ㄴ. 젤폼
ㄷ. 옥시셀
ㄹ. 서지셀
ㅁ. 그 외 다수
7. 저헤모글로빈의 치료:
ㄱ. 산소
ㄴ. 고압 산소통 (G. B. 하트, 「미국 의학 협회지」 1974. 5. 20. 1028-9면)
ㄷ. 철 덱스트란 (S. J. 더드릭, 「외과학 자료집」(Archives of Surgery), 1985. 6월. 721-7면)
ㄹ. 엽산
ㅁ. 에리트로포이에틴—골수를 자극하여 혈액을 생성시킴
ㅂ.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예, 데카듀라볼린 혹은 합성 성장 호르몬
ㅅ. 비타민 B-12 근육 주사
ㅇ. 비타민 C
ㅈ. 비타민 E(특히 신생아의 경우)
8. 외부 처치:
ㄱ. 출혈 대책
(1) 직접 압박법
(2) 냉각법
(3) 몸의 자세 조절(예, 출혈을 줄이기 위해 상처 부위를 올림)
ㄴ. 쇼크 대책
(1) 하지에 압박대 부착
(2) 항쇼크 바지
(3)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양 하지를 올림
9. 혈액 문제가 있는 환자를 위한 약품:
ㄱ. DDAVP, 데스모프레신(N. L. 코브린스키, 「란셋」 1984. 5. 26. 1145-8면)
ㄴ. E-아미노캐프로익산(S. I. 슈바르츠, 「현대 수술」[Contemporary Surgery] 1977. 5월. 37-40면)
ㄷ. 비타민 K
ㄹ. 바이오플라보노이드(「의사를 위한 탁상 편람」[Physician’s Desk Reference])
ㅁ. 살리실산(酸) 카르바조크롬
ㅂ. 트라넥삼산(「수혈 의학의 최신 화제」[Transfusion Medicine Topic Update] 1989. 5월.)
ㅅ. 다나졸
10. 그 외의 사항:
ㄱ. 혈압을 90-100 정도로 적당히 하강시키면 절단된 동맥에서 자연히 응고됨으로 출혈을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ㄴ. 외과 수술을 하기 위해, 헤모글로빈의 최소치가 10g이어야 한다는 법칙에는 타당성 있는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다.
ㄷ. 헤모글로빈치가 불과 1.8까지 떨어진 환자가 수술을 받고 생존했다. (「마취」 1987. 42권 44-8면)
ㄹ. 헤모글로빈치가 낮아지면 혈액 점도도 낮아지고, 그에 따라 심장 부담도 줄고, 조직 관류와 산소 공급을 향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