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3 12/1 11-14면
  • 크리스마스, 부활절, 만성절 전야 배후의 사실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크리스마스, 부활절, 만성절 전야 배후의 사실
  • 깨어라!—1993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참과 거짓을 섞을 수 없음
  • 이스터(부활절)인가, 아스타르테인가?
  • 만성절 전야—고대 공포의 밤
  • 당신은 관심을 갖는가?
    깨어라!—1971
  • 성경에서는 부활절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합니까?
    성경 질문과 대답
  • 부활제—이교 성 숭배의 잔재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69
  • 축일
    성경을 사용하여 추리함
더 보기
깨어라!—1993
깨93 12/1 11-14면

크리스마스, 부활절, 만성절 전야 배후의 사실

성서는 예수께서 서른세 살 반이 된 기원 33년 초봄, 유대인의 유월절에 형주에 달리셨음을 알려 준다. 이로 보건대 거슬러 계산해 보면 예수께서 태어나신 때는 초가을이었다.

이교 로마의 무적 태양의 탄생일을 기념하는 농신제는 약 석 달 뒤에 있었다. 어떻게 예수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이 12월 25일로 옮겨져 신성 모독적이게도 태양의 탄생일을 기념하는 이교 행사와 같아졌는가?

12월에 해가 점점 짧아지자 태양 숭배자들은 자기들의 신이 죽을까 봐 두려워서 미신적 공포를 갖게 되었다. 이들은 병약한 신을 소생시키려고 촛불을 켜고 화톳불을 피웠다. 효과가 있는 것 같았다. 12월 21일 동지가 지나자 태양신은 힘을 되찾아 해가 점점 길어지는 것 같았다.

「교회 크리스마스 신문」(Church Christmas Tab)은 이렇게 설명한다. “12월은 이교 축하 행사에 있어서 중요한 달이었다. 그리고 12월 25일은 흥청대는 겨울 축제의 정점이었다. 일부 사람들은 로마의 주교가 이교 축하 행사를 ‘성스럽게’ 하려고 12월 25일을 그리스도의 탄생일로 정했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세상이 지금 크리스마스라고 부르는 이교 축제이자 그리스도교 축제가 된 이상한 혼합물이 나왔다.” 그 기사는 이렇게 인정한다. “‘크리스마스’라는 말은 성서에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성경은 예수의 탄생을 기념할 것을 규정하지 않는다.”

신학자 테르툴리아누스가 이렇게 불평한 것도 놀랄 일이 아니다. “한때 하나님께 가납될 만한 것이었던 안식일, 월삭, 절기와도 무관한 우리들 곁에서 이제 농신제[그리고 다른 이교 축제]가 자주 벌어지고 선물이 오가며, ·⁠·⁠· 스포츠 행사와 연회가 떠들썩하게 열린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는 더럽게 하는 그런 추세가 계속되게 하였다. 「자연사」(Natural History)지에 따르면, “교황의 교시는 사람들의 관습과 신앙을 없애려고 한 것이 아니라 그런 것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일단의 사람들이 나무를 숭배하는 경우에는, 그 나무를 베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그리스도께 성별하게 한 다음 계속 숭배하게 하였다.”

참과 거짓을 섞을 수 없음

이렇게 타협하는 방침을 하나님께서 승인하셨는가?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이 이교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무렵에 하신 경고에 유의해 보자. “너는 스스로 삼가서 ·⁠·⁠· 그들의 신을 탐구하여 이르기를 이 민족들은 그 신들을 어떻게 위하였는고 나도 그와 같이 하겠다 하지 말라 네 하나님 여호와께는 네가 그와 같이 행하지 못할 것이라 그들은 여호와의 꺼리시며 가증히 여기시는 일을 그 신들에게 행하[였느니라.]” (신명 12:30, 31) 같은 경고가 그리스도인 희랍어 성경에도 반복되어 있다. “너희는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같이 하지 말라 의와 불법이 어찌 함께하며 빛과 어두움이 어찌 사귀며 그리스도와 벨리알[“사단”, 「신세」 각주]이 어찌 조화되며 믿는 자와 믿지 않는 자가 어찌 상관하[리요.]”—고린도 후 6:14, 15.

하나님께서는 그런 거짓 신들과 그 신들에 대한 숭배와 관련하여 얼마나 불쾌하게 여기시는가? 사투르누스는 농신제 때 숭배받는 로마의 태양신이었다. 그 신은 숭배받을 만하였는가? 하버드 대학교의 역사학 교수 사이먼 샤마는 그 신을 “흥청망청 먹고 마시며 온갖 장난을 하는 환락의 주인”이라고 한다. 「리어」지는 그 축일을 “고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주신제(酒神祭)”라고 부른다.

태양신 미트라를 숭배하는 의식이 아시아에도 들어왔다. 인류학자 게이브리얼 시브룩에 따르면, 그 신은 “전장에서 적에게 생명을 파괴하는 화살과 불치병을 쏘아대는 전사 신”이었다.

아즈텍족 가운데서 태양 숭배는 특히 피를 불렀다. 「자연사」지는 “태양신에게 희생물을 바치지 않는 한—신들의 생명을 포함하여—모든 생명이 죽을 것이었다”고 설명한다.

이 기념 행사의 기원(아래 네모 참조)을 살펴보는 사람은 주술사와 사단 숭배자들이 여전히 12월 25일을 떠받드는 것도 그다지 놀랄 일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1991년 12월 21일자는 주술사이면서 인기 있는 이교 저술가의 이런 말을 인용한다. “그것은 대단히 열광적인 축일이다. 우리는 밤을 꼬박 지샌다.” 여신 계약회의 한 회원은 이렇게 말하였다. “우리는 의식을 거행한다. ·⁠·⁠· 우리의 교직자들은 태양 아기 출생에 대한 신비한 연극을 연출한다.”

하나님 혹은 그분의 아들이 거짓 신 숭배를 반영하는 그런 식의 숭배를 받아들일 것인가?

이스터(부활절)인가, 아스타르테인가?

가족 축일인 이 축제는 가족이 숭상심 어린 외경감을 품고 해돋이를 맞이하려고 일어나는 이른 아침에 시작한다. 어린이들은 가장 좋은 새 옷차림에 새 모자까지 갖춘다. 축하 행사에는 토끼, 알록달록하게 칠한 달걀을 가득 담은 바구니 그리고 십자 모양 과자 등의 표상물이 포함된다. 이것이 부활절일 것이다. 아니 과연 그런가?

페니키아의 성숭배자들은 봄철을 신성하게 여겼다. 그들이 받드는 다산의 여신 아스타르테 곧 이슈타르(그리스인에게는 아프로디테)의 상징물은 달걀과 토끼였다. 그 여신은 만족할 줄 모르고 피와 부도덕한 성을 갈구하였다. 그 여신상은 음탕하게도 성기가 크게 묘사되어 있거나 손에 달걀을 들고 옆구리에 토끼를 끼고 있는 등 여러 모습으로 되어 있다. 신전 매춘 행위가 그 여신 숭배의 일부였다. 가나안에서 이 성적 여신은 바알의 아내로 묘사되었다. 숭배자들은 술 취함과 성적 탐닉 행위로 그 여신을 숭배하면서, 자기들이 갖는 성관계로 인해 바알과 그 아내가 온전히 깨어나서 부부 관계를 맺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성서의 땅의 최근 발견물」(Recent Discoveries in Bible Lands) 책에 따르면, “다른 곳과 비교해서, 벌거벗은 다산의 작은 여신상이, 일부는 분명히 외설적인 모습으로, 그처럼 많이 발견된 나라는 결코 없다.”

카르타고에 있는 그 여신의 기념비 밑에서 밝게 채색된 유골 단지들이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는 까맣게 탄 어린이 뼈들이 있었다. 대개 상류층에 속한 그 부모들은 신이 그들의 부와 영향력을 축복해 주기를 바랐다. 일부 유골 단지들에는 어쩌면 한 가족이었을 여러 연령층에 속한 어린이들의 유골이 있었다.

위의 네모를 보면 그런 고대 의식의 현대판들이 얼마나 얄팍하게 위장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심지어 부활절에 해당하는 영어 이름 이스터는 고대 이교 이름과 다를 바 없다. 그렇다면 이것은 하나님의 거룩한 아들을 공경하는 방법인가?

만성절 전야—고대 공포의 밤

때는 10월의 마지막 밤이다. 변장을 한 일단의 무리가 달빛 아래 이집 저 집으로 다니면서 무서운 협박을 하며 요구 사항을 말한다. 일부 문간은 험상궂은 얼굴 모양의 호박 초롱이 지키고 있는데, 그 안에는 인간의 기름으로 만든 양초가 타고 있다. 다른 문간에는 인간의 피가 떨어진다. 이것은 켈트족의 죽은 자의 주(主)인 삼하인의 밤이다.

사단이 이토록 뻔뻔스럽게 자기를 기리고, 자기를 따르다 죽은 자들을 기념하는 “그리스도교화된” 기념 행사는 아마 없을 것이다. 저술가 J. 가니어는 고통과 죽음을 기념하는 행사는 고대 대홍수 때 사단의 인간 추종자들 모두와 타락한 천사들의 잡종 아들들이 멸망한 때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말한다. 세계 어디에나 죽은 자를 기념하는 축제 문화가 있다. 이런 축제를 “모세의 기록에 따르면 대홍수가 발생한 바로 그날인 둘째 달—거의 현재의 11월에 해당하는 달—십칠 일이나 그 무렵에, 모두가 지켰다.”—「죽은 자의 숭배」(The Worship of the Dead), J. 가니어.

드루이드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10월 31일, 삼하인은 죽은 자의 영을 풀어주어 산 사람과 교제할 수 있게 하였다고 한다. 드루이드들은 등불을 들고 거리를 다니면서 한 집에 다다르면 사단을 위한 제물로 돈을 요구하였다.

만성절 전야는 사단 의식을 거행하는 중요한 때다. “그것은 저승 사람들을 위한 종교 축일로서 사단주의자들은 희생을 바치고 주술사들은 죽은 자를 위한 기도 모임이나 음식으로 조용히 기념한다”고 「USA 투데이」지 기사는 지적한다. 그 기사는 워싱턴 주술사인 브라이언 조던의 이런 말을 인용 보도하였다. “[그리스도교인은] 그 점을 깨닫지 못하지만 그들은 우리의 축일을 우리와 함께 기념한다. ·⁠·⁠· 우리는 그것을 좋아한다.”

부모 여러분, 자녀가 그런 섬뜩한 의식을 흉내내기를 바라는가?

[12면 네모]

크리스마스 상징물

크리스마스 트리는 “그리스도교 축하 행사와는 무관하고 수천 년간 끈질기게 이어져 온 겨울의 빛과 재생에 대한 이교 의식과 주로 관련이 있다.” (「보스턴 헤럴드」) “장식물이 달려 있는 나무는 여러 세기 동안 이교 축제의 일부였다.”—「교회 크리스마스 신문」(Church Christmas Tab).

감탕나무는 “동지 때 집 안의 악귀들을 얌전하게 있게 하는 것”으로 켈트족에게 인기 있었다. “그것은 악을 추방하고 몽점을 치는 데 도움이 되며 집이 벼락을 맞지 않게 할 수 있었다.”—「아름다운 브리티시 컬럼비아」(Beautiful British Columbia).

겨우살이는 “잉글랜드의 드루이드들이 그 나무를 악귀적이고 신비술적 힘과 관련하여 이상한 숭배에 사용한 데서 유래하였다.”—「교회 크리스마스 신문」.

12월 25일에 “미트라 신봉자들은 미트라의 탄생을 기념하였다. ·⁠·⁠· 12월 25일을 성탄절로 지키게 된 것은 결코 성서적 근거가 없다.”—이자크 아시모프.

선물 주기는 농신제의 특징이었다. “이 축제 때에는 모든 벗에게 선물을 줄 것이 기대되었다.”—「고대 이탈리아와 현대 종교」(Ancient Italy and Modern Religion).

별은 “나무 위에 달아 놓았으며, 그리스도 탄생 5000년 전에 동방에서 순결, 선함, 평화의 상징으로 숭배받았다.”—「연합 교회 헤럴드」(United Church Herald).

양초는 “그리스도교 성역에서 ·⁠·⁠· 온 것이 아니다. 우리는 양초를 그리스도교보다 훨씬 오래 전에 있던 제단, 드루이드들의 오크나무에서 빌려온 것이다.”—「연합 교회 헤럴드」.

산타는 “고대 독일 신화에서 [훔쳐온 것이다.] ‘토르는 길고 흰 턱수염이 난 땅딸막한 체구의 쾌활하고 다감한 노인이었다. 그는 마차를 몰고 다니는 사람으로서 스칸디나비아 땅에 살았다고 한다. ·⁠·⁠· 그의 본령은 불이었고 그의 색은 붉은 색이었다. 모든 가정의 벽난로는 그에게 신성한 곳이었고, 그는 굴뚝을 통해 벽난로 안으로 내려왔다고 한다.’”—「연합 교회 헤럴드」.

[13면 네모]

봄 의식

이스터(부활절)는 “원래 앵글로색슨족 사이에서 이스터로 알려진 신으로서 튜튼족의 빛과 봄의 여신을 기리는 봄의 축제”였다. (「웨스트민스터 성서 사전」[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 Bible]) “신약에 부활절 축제를 기념한 증거는 없다.”—「브리태니카 백과 사전」.

토끼는 “게르만족의 여신 오스타라의 수행 동물이었다.”—「펑크와 와그날스의 전승 신화 전설 표준 사전」(Funk & Wagnalls Standard Dictionary of Folklore, Mythology and Legend).

달걀은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에서 봄의 축제 때 염색을 하여 먹었다고 한다.”—「축하 행사」(Celebrations).

부활절 모자는 원래 “화관이나 엽(葉)관이었다. 화관이나 엽관은 봄을 오게 하는 하늘의 둥근 태양과 태양의 궤도를 표현한 것이었다.” “스칸디나비아의 봄의 여신 이스터는 땅에 새 옷을 입혀 주므로, 그 여신을 맞이할 때 새 옷을 입지 않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며 따라서 불운을 가져 온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부활절 의상이 발전하였다.—「미신 총서」(The Giant Book of Superstitions).

십자 모양 과자:“그리스인들처럼 로마인들은 ·⁠·⁠· 공식 희생에서 십자 표시가 있는 과자를 먹었다.” 이교도인 색슨족도 이스터를 기리기 위해 그런 빵을 먹었다.—「브리태니카 백과 사전」.

해돋이 예배는 “성장하는 만물에 새 생명을 불어넣어 주는 태양과 그 위대한 힘을 맞이하기 위해 춘분 때 행하는” 의식과 비슷하다.—「축하 행사」.

[14면 네모]

만성절 전야의 끔찍한 기원

가면과 가장복: “켈트족은 영들을 위해 음식물과 여러 가지 것을 차린 다음 가면을 쓰고 가장복을 입고서 마을 어귀까지 줄지어 감으로 영들을 슬그머니 떠나게 하였다.”

화톳불(bonfires)은 “문자적으로 ‘뼈불’[bonefires]”이었다. 그런 불을 놓으면서 “사제들은 동물 희생을, 가끔은 사람 희생을 드림으로 태양신을 달래려고 하였다.” (「탬파 트리뷴」) “희생물이 죽는 모습을 지켜봄으로써 드루이드들은 미래의 전조를 구하였다.”—「보몬트 엔터프라이즈」.

장난인가 대접인가: “드루이드들의 외침은 현대의 ‘장난인가 대접인가’ 하는 외침에 비할 만한 것이었다.”—「센트럴 코스트 페어런트」.

무서운 이야기: “드루이드의 유혈 의식은 유령과 영을 중요시하는 젊은이들 가운데 살아 있다. ·⁠·⁠· 만성절 전야 파티와 무서운 이야기를 하는 것 역시 영들이 땅에서 돌아다닌다고 믿었던 드루이드 시대에서 유래하였다.”—「탬파 트리뷴」.

이런 축일들이 이교에서 기원한 것인데도, 일부 사람들은 어린이에게 현대 축하 행사의 재미를 못보게 하는 것을 언짢게 여긴다. 아무튼, 지식을 가진 어린이는 고대 사투르누스, 아스타르테, 삼하인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가? 일부 어린이들은 꽤 많이 알고 있다. 그들은 또한 그런 축하 행사에 참여하기를 원치 않는다.

[12면 삽화]

미트라

토르

[자료 제공]

Mithra: Musée du Louvre, Paris

Thor: The Age of Fable by T. Bulfinch, 1898

[13면 삽화]

아스타르테

[14면 사진 자료 제공]

Skull: U.S. Forest Service photo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