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이슬람교와 유대교를 그리스도교국의 종교들로부터 분리시키는 주된 걸림돌 중 하나는 무엇인가? “성삼위일체” 가르침이다. 이 교리의 내용은 무엇인가? 아타나시오스 신경은 삼위일체에 대해 이렇게 정의한다. 숭배의 대상인 “삼위일체의 한 하느님 ··· 성부도 하느님이시며, 성자도 하느님이시며, 성신도 하느님이시다. 그러나 세 신이 계신 것이 아니라 한 하느님이 계시다.” 각기 영원하고, 전능하며, 아무도 다른 자보다 크거나 작지 않다고 하며, 각기 하느님이지만 모두가 한 하느님을 이룰 뿐이라고 한다. 신학자들은 이 교리를 신비라고 말한다.
성서에 삼위일체에 대해 말하는 것이 있는가?a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검토해 보면 몇 가지 흥미 있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성서에 근거한 대답은 12면에 나와 있다.
1. 하느님께서 예나 지금이나 항상 삼위일체라면, 유대인들은 히브리어 성경(“구약”)에서 그 가르침을 발견하였는가?
2. 히브리어 성경은 하느님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하는가?—신명 6:4; 시 145편; 스가랴 14:9.
3. 히브리어 성경은 성령에 관해 언급하는가?—사사 15:14; 스가랴 4:6.
4. 히브리어 성경에서 성령은 위 즉 인격체로 언급되었는가, 아니면 하느님의 활동력으로 언급되었는가?—사사 14:6; 이사야 44:3.
5. 히브리어 성경은 메시아 즉 기름부음받은 자에 대해 언급하는가?—다니엘 9:25, 26, 「신세」 참조.
6. 히브리어 성경에 메시아를 하느님과 동등시하는 성구가 있는가?—시 2:2, 4-8; 이사야 45:18; 61:1.
7. 히브리어 성구 중에 여호와께서 한 하느님 안에 있는 세 위라고 믿을 만한 확고한 근거를 제시하는 성구가 있는가?—이사야 44:6; 46:9, 10.
8. 예수를 땅으로 보내신 분은 누구인가? 그렇다면 누가 더 높은가?—요한 5:19, 23, 30; 8:42; 14:28; 17:3.
9. 예수께서는 자기가 하느님이라고 말씀하신 적이 있는가?—요한 7:28, 29; 14:6.
10. 예수를 본 사람은 많다. 하지만 하느님을 본 사람이 있는가?—요한 1:18; 6:46.
11. 예수께서는 자기가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말씀하셨는가, 아니면 ‘아들 하느님’이라고 말씀하셨는가?—요한 10:36; 요한 첫째 4:15; 5:5, 13.
12. 예수께서는 자기가 아버지와 동등하다고 말씀하신 적이 있는가?—요한 14:28; 20:17.
13. “나와 아버지는 하나입니다”라는 말씀은 삼위일체를 증명하는가?—요한 10:30; 17:21; 마태 24:36.
14. 초기 제자들은 예수를 어떻게 생각하였는가?—요한 1:29, 34, 41, 49; 6:69; 고린도 첫째 11:3.
15. 하느님께서는 예수를 어떻게 생각하셨는가?—마가 9:7; 누가 2:9-11.
16. 성령이 하느님의 활동력이라는 점에 대해 그리스어 성경(“신약”)과 히브리어 성경은 모순되는가?—마태 3:11; 누가 1:41; 요한 14:26; 사도 1:8; 4:31; 10:38.
17. 예수께서 침례받으실 때,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은 어디에 있었는가? 그들은 하나로 된 셋이었는가?—마태 3:16, 17.
18. 부활되신 예수께서는 하늘에서 어떤 지위를 가지시는가?—사도 7:55, 56; 로마 8:34; 골로새 3:1; 히브리 12:2.
19. 예수에게 그와 같이 높여진 지위를 주신 분은 누구인가?—빌립보 2:9-11.
20. 그렇다면 예수는 하느님인가, 아니면 우주에서 하느님 다음 가는 분인가?—고린도 첫째 11:3; 빌립보 2:9-11.
21. 우주의 최고 주권자는 누구인가?—신명 3:24; 사도 4:24-27; 고린도 첫째 15:28.
[각주]
a 이 제목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하고자 한다면, 사단 법인 워치 타워 성서 책자 협회에서 발행한 「성경을 사용하여 추리함」 책 160-82, 273면과 「삼위일체를 믿어야 하는가?」 팜플렛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