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5 3/15 15-16면
  • 오스트레일리아의 활발하고 부산한 앵무새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활발하고 부산한 앵무새
  • 깨어라!—1995
  • 비슷한 자료
  • 멸종 위기에 처한 앵무새
    깨어라!—2002
  • 야생 조류 관찰—누구나 즐길 수 있는 매혹적인 취미인가?
    깨어라!—1998
  • 새
    성경 통찰, 제1권
  • 날짐승
    성경 통찰, 제1권
더 보기
깨어라!—1995
깨95 3/15 15-16면

오스트레일리아의 활발하고 부산한 앵무새

사전 지식 없이 오스트레일리아를 방문한 사람이라면, 이색적인 열대의 새들을 보고, 그 지방 동물원이나 조류장에서 빠져 나온 새떼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다른 나라에서라면 새장에서나 볼 수 있는 새들이 정원을 이리저리 날아다닌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의 앵무새가 바로 그러한데, 여기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앵무새란 다채롭고 시끄럽게 울어 대는 갖가지 새로 이루어진 하나의 과(科)를 말한다.

약 330종이나 되는 앵무새는 남극 대륙을 제외한, 북위 20도 이남에 있는 모든 주요 대륙에서 발견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모든 종의 앵무새가 발견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나라에서는 앵무새를 쉽게 찾아볼 수가 있다! 앵무새과에는 사랑앵무새(잉꼬로도 알려져 있음), 유황앵무새 그리고 과즙 전문가인 장수앵무새 등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이러한 다채로운 새들이 어디에나 있는 것처럼 느껴질 때가 종종 있다.

뉴사우스웨일스를 방문하였을 때, 정말 그런 인상을 받았다. 때때로, 수십 마리의 사랑앵무새가 잔디밭에서 모이를 주워 먹었는데, 특히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그러하였다. 우리는 분주한 거리에서 분홍색과 회색을 띤 분홍유황앵무새를 보았다. 그 앵무새가 시끄럽게 울어 대는 소리에는, 음악적인 데라고는 전혀 없다. 그 새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흔하게 눈에 띄는 앵무새 중 하나로서, 읍이나 도시에서 큰 무리를 지어 산다. 그 앵무새는, 전화선이나 전깃줄에 앉아 외딴 곳과의 통신이 두절되게 만드는 새로도 알려져 있다. 수컷과 암컷은 평생을 함께 살며, 침입자에 맞서서 나무 구멍에 있는 자기들의 둥지를 필사적으로 방어한다. 불행하게도 “그 새가 너무 많아져서, 농작물에 해를 주는 동물로 분류될 정도가 되었다.”—「케임브리지 조류 백과」(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Ornithology).

한 공원에서는 붉은장미앵무새가 우리의 손에서 먹이를 받아 먹었다. 관광객이 몰려와도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보면, 그 새는 어디에서 모이를 구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음이 분명하였다. 이렇게 길들여진 새가 사방에 있는 것을 보니 마치 낙원의 한 장면 같았다.

큰유황앵무새들이 머리 위로 갑자기 휙 지나가는 것을 보았을 때, 가장 깜짝 놀랐던 것 같다. 그 이름에 걸맞게도 그 앵무새는 노란 볏이 돋보인다. 「조류 도감」(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Birds)에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그 새떼가 지면에서 모이를 먹고 있을 때는, 몇 마리가 근처의 나무에서 망을 보다가 큰 소리로 거칠게 울어 위험을 경고한다.” 인근에 유황앵무새가 있다면, 금방 알게 된다!

앵무새를 그토록 돋보이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여러 세기 동안, 사람들은 그 새에게 인간의 목소리를 흉내 내는 능력이 있음을 인식해 왔다. 하지만 그 새가 다른 새의 소리도 흉내 내는가? 위에 인용된 「케임브리지 조류 백과」는 이렇게 밝힌다. “야생 앵무새 떼가 시끄럽게 울기는 하지만, 다른 종들의 소리를 흉내 내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앵무새에게 왜 ‘말하는’ 능력이 있는지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흉내 내는 새로 말하자면, 북아메리카산 지빠귀를 따라갈 만한 새는 아직 없다.

새는 세계 전역에 걸쳐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당신은 그 새에 유의하는가? 그 새를 관찰하는가? 어떤 새가 인근에 자주 나타나는지 아는가? 그 새의 다채로운 무늬, 울음소리, 지저귀는 소리를 구별할 수 있는가? 그 새의 다양한 비행술에 유의해 보았는가? 분명히 이 모든 것은 매혹적인 연구거리가 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새가 9300여 종이나 되는데다가 그 외에도 우리 주위에는 놀라운 것이 수없이 많은데, 누가 감히 영원히 사는 것이 지루할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겠는가? 배울 것이 많은 만큼, 창조주를 찬양할 이유도 많다! 하느님께서 창조물 가운데 ‘날개 있는 새’를 포함시키신 것은 참으로 감사할 만한 일이다.—창세 1:20-23; 욥 39:26, 27; 계시 4:11.

[15면 삽화]

분홍유황앵무새와 (위쪽) 붉은장미앵무새

[자료 제공]

By courtesy of Australian International Public Affairs

[16면 삽화]

큰유황앵무새

[자료 제공]

By courtesy of Australian International Public Affairs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