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5 6/15 23면
  • 우리의 자동차—피신처인가, 덫인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우리의 자동차—피신처인가, 덫인가?
  • 깨어라!—1995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해답:
  • 중고차를 사는 요령
    깨어라!—1996
  • 자동차를 안전하게 정비하려면
    깨어라!—2004
  • 자연재해—자녀가 대처하도록 도움
    깨어라!—1996
  • 운전할 자격을 갖추었다는 것을 어떻게 부모에게 확신시킬 수 있는가?
    깨어라!—1989
더 보기
깨어라!—1995
깨95 6/15 23면

우리의 자동차—피신처인가, 덫인가?

“거의 모든 재난이 발생한 뒤, 구조 대원들이 발견하게 되는 희생자들은 그들이 차 안에 머무를 것인지 아니면 밖으로 나올 것인지를 알았더라면 생존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라고 FEMA(미 연방 비상 사태 관리국)는 경고한다. 그렇다. 그릇된 결정으로 생명을 잃을 수 있다. 독자는 재난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고 있는가? 다음 문제의 답을 알아맞혀 보고, 아래에 나오는 해답과 비교해 보라.

1. 지진

□ 차 안에 머문다

□ 차 밖으로 나간다

2. 폭풍

□ 차 안에 머문다

□ 차 밖으로 나간다

3. 폭설

□ 차 안에 머문다

□ 차 밖으로 나간다

4. 홍수

□ 차 안에 머문다

□ 차 밖으로 나간다

해답:

1. 지진: 차 안에 머문다.

비록 차의 현가 장치 때문에 차가 심하게 흔들릴지라도 보통 차 안에 있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주위에 건물이나 육교나 전선이 없다면 말이다.

2. 폭풍: 차 밖으로 나간다.

폭풍이 휘몰아칠 때는 차 안이 가장 위험한 곳인 것 같다. 그러나 가까운 곳에 안전한 피신처가 없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FEMA는 이렇게 말한다. “팔을 머리 위로 올리고 도랑과 같은 움푹 들어간 곳에 바짝 엎드리라.”

3. 폭설: 차 안에 머문다.

갈 만한 거리에 안전한 피난처가 보이지 않는다면,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최선책이다. 온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시 동안 차의 엔진을 켜 놓을 수 있다. 그러나 일산화탄소에 중독되지 않도록 창문을 약간 열어 놓으라. 구조원이 식별할 수 있는 표시로 실내등을 켜 놓으라.

4. 홍수: 차 밖으로 나간다.

“홍수로 차가 꼼짝할 수 없게 되면, 즉시 차 밖으로 나와서 높은 지대로 이동하라. 홍수가 계속 불어날지 모르며, 차를 어느 순간에라도 휩쓸어 갈 수 있다”라고 FEMA는 경고한다. 모험을 하려 들지 말라. 물이 보기보다 더 깊을 수 있으며, 수위가 급속히 오를 수 있다.

FEMA는 이 내용을 자동차 사물함에 넣고 다닐 것을 권한다. 그리고 모든 상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권고한다. “가장 중요한 법칙은 당황하지 말라는 것이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