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뼈가 쉽게 부러지는’ 병
“골다공증이란 골조직의 양이 너무 적어서 뼈가 조금만 힘을 받아도 쉽게 골절되는 상태를 가리킨다. 골다공증에 걸린 사람은 빙판에서 넘어질 경우 손목이나 고관절부가 골절될 수 있으며, 애정 어린 포옹을 하기만 해도 늑골이 골절될 수 있다. ··· 사실상, 골조직의 양이 너무 적기 때문에 척추가 체중을 못 이겨 골절될 수도 있다.”—「골다공증—예방과 치료 안내」, 의학 박사 존 F. 앨로이아 저(著).
골다공증으로 고생하고 있습니까? 뼈가 가늘어지는 이 질병은 폐경기 이후의 여성들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젊은 여성들은 물론 남성들도 이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미국 국립 보건 연구소에 따르면, “미국 내에는” 골다공증에 걸린 사람이 “1500만에서 2000만 명이나” 있습니다. 미국에서 해마다 45세 이상의 성인이 입는 골절상 가운데 약 130만 건의 원인은 골다공증입니다. 그로 인해 해마다 38억 달러가 지출됩니다.
캘리포니아 의학 교육 연구 재단에서 펴낸 「건강 비결」(Health Tips)이라는 간행물에 보면 이러한 설명이 나옵니다. “골다공증의 증상이 가장 분명하게 나타나는 시기는 노년기이지만, 뼈를 약화시키는 과정은 사실상, 처음으로 골절상을 입기 30년에서 40년 전에 시작된다. 35세가 지나면 남녀 모두 골조직이 줄어들기 시작한다. 뼈가 가벼워지고 가늘어지면서 더 쉽게 부러져서는 잘 붙지 않을 수 있다. 몸에서 이전처럼 뼈를 쉽게 새로 만들어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골다공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칼슘과 비타민 D가 부족한 음식물,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수치의 감소, 운동 부족 등이 모두 골다공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의 몸을 이해하자—모든 여성을 위한 평생 건강 안내서」(Understanding Your Body—Every Woman’s Guide to a Lifetime of Health)라는 책에서는, 폐경기와 연관되어 흔히 나타나는 증상들 가운데 하나로 뼈의 강도가 약화되는 일이 있다고 알려 줍니다. 그 책에서는 이렇게 기술합니다. “골다공증, 문자적으로 말해서 뼈에 구멍이 많이 생기는 증상은 폐경기가 지난 여성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심각한 건강 문제이다.”
여러 연구 결과는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함을 시사합니다. 예방 조처 가운데 하나는 몸에 칼슘은 물론 칼슘을 흡수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비타민 D가 충분히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예방 조처는 걷기나 조깅처럼 뼈에 하중이 실리는 운동을 정기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캐럴 E. 굿맨 박사는 「노인병학」(Geriatrics)이라는 책에서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자세 교정과 힘을 기르는 운동을 처방하되, 약물을 처방할 때만큼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처방해야 한다. 나이가 많은 골다공증 환자에게는 이해하기 쉽고, 간단해서 따라 하기 좋고, 안전한 운동 프로그램이 이상적일 수 있다.”
현재로서는 골다공증이 완치될 수는 없지만 새로운 약품들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게다가 골다공증은 적절한 영양 섭취와 충분한 운동으로 그리고 어떤 사람의 경우에는 호르몬 보충 요법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뼈의 손실이 시작되기 전에 그러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해서 평생 계속해야 합니다.
[17면 네모]
골다공증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것
1. 칼슘
2. 비타민 D
3. 햇볕
4. 좋은 자세
5. 척추 손상 예방 조치
6. 운동
7. 금연
[17면 네모]
일반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
식품에 들어 있는 칼슘의 양 (밀리그램)
탈지 우유, 1컵당 300
체더 치즈, 1인치 조각 1개당 130
요구르트, 1컵당 300
쇠고기·닭고기·생선, 170그램당 30-80
연어 통조림, 85그램당 170
빵·곡물·쌀, 1컵당 20-50
두부, 100그램당 150
아몬드, 1/2컵당 160
호두, 1/2컵당 50
브로콜리, 1줄기당 150
시금치, 1컵당 200
순무의 어린잎, 1컵당 250
기타 대부분의 채소, 1컵당 40-80
말린 살구, 1컵당 100
씨를 제거한 대추야자 열매, 1컵당 100
대황(大黃), 1컵당 200
기타 대부분의 열매, 1컵당 20-70
「우리의 몸을 이해하자」(Understanding Your Body) 596면, 펄리샤 스튜어트, 개리 스튜어트, 펄리샤 게스트, 로버트 해처 공저.
[17면 네모]
골다공증 촉진 요인
유전적 요인
여성임
흑인이 아님
북유럽계 후손임
하얀 얼굴색
날씬함
키가 작음 (157센티미터 이하)
생활 방식으로 인한 요인
실외에서 햇볕을 쬐는 시간이 일 주일에 세 시간 미만
칼슘 섭취 부족
카페인 및 인산염 섭취 과다
약물 투여
알루미늄이 함유된 제산제
갑상선 제제 또는 레보타이록신
스테로이드 (코르티손)
딜란틴 (장기 투여)
푸로세마이드 (이뇨제)
건강상의 문제
조기 폐경
무월경 (월경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
신경성 식욕 부진
갑상선 기능 항진 (갑상선 활동 과다)
신장병 또는 신장 결석
당뇨병
락타아제 결핍증 (우유를 소화하지 못하는 상태)
장 질환 (대장염, 회장염)
알코올 의존증
3주 이상 자리에 누워 있거나 움직이지 못함
류머티즘성관절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