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7 8/8 16-17면
  • 산호초의 다채로운 세계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산호초의 다채로운 세계
  • 깨어라!—1997
  • 비슷한 자료
  • 사멸 위기에 처한 산호
    깨어라!—1996
  • 바다의 건축 재료
    깨어라!—1973
  • 해면동물—단순하지만 대단하다
    깨어라!—2006
  • 연산호—바다의 꽃동물
    깨어라!—1989
더 보기
깨어라!—1997
깨97 8/8 16-17면

산호초의 다채로운 세계

「깨어라!」 파푸아뉴기니 통신원 기

파푸아뉴기니에는 거의 모든 해안선을 따라 산호초들이 늘어서 있습니다. 과거에 뱃사람들은 산호초를 한낱 위험한 암초로만 여겼습니다. 하지만 그 주위의 바다를 탐사해 본 사람들에게는, 산호초란 그야말로 빼어나게 아름답고 다채롭고 고요한 세계, 곧 변화 무쌍한 수중 세계로 들어가는 관문입니다!

이 수중 세계를 필름에 담아 보려고 하는 것은 정말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우선, 물 속에 있는 물체는 실제 거리의 약 4분의 3밖에 안 되는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초점을 맞추기가 어렵습니다. 물은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고 굴절시킵니다. 또한 물체의 빛깔도 날씨, 태양의 각도, 조류(藻類)와 플랑크톤의 유무, 물의 깊이, 바다 밑바닥의 형태와 빛깔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게다가, 물과 피사체는 물론 사진사 자신도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일부 사진사들은 이 일에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여기 나와 있는 사진들은 수중 여행을 하면서 찍은 것입니다. 바닷속에서 촬영한 네 가지 매혹적인 생물을 소개하겠습니다.

사진 1은 호랑이개오지(Cypraea tigris)라고 하는 아름다운 해양 생물입니다. 그 조가비의 아름다운 무늬가 줄무늬가 아니라 얼룩무늬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이 이름은 좀 특이합니다. 호랑이개오지가 이 곳에 서식하고 있는 것은, 산호와 해면을 먹고 살기 때문입니다. 이 생물이 어찌나 인상적이었던지, 고대 중국인들은 그 조가비를 화폐의 한 단위로 사용하였습니다. 이 곳 파푸아뉴기니에서는, 아직도 일부 원주민 시장에서 개오지 조가비가 잔돈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 곳 주민들은 단지 그 우아한 아름다움 때문에 이 조가비를 모읍니다.

사진 2는 아름다운 색깔을 띤 서관충(Spirobranchus giganteus)입니다. 서관충은 죽은 산호에 붙어살거나 살아 있는 산호에 파고 들어가서 삽니다. 가만히 있을 때는 마치 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배가 고플 때는 촉수들을 빙빙 돌려서 일종의 “그물” 형태를 이루어, 지나가는 먹이를 잽싸게 낚아챕니다. 그 깃털 모양의 촉수들이 움직이고 있는 모습은, 마치 아주 조그마한 무희들이 줄지어 부채춤을 추고 있는 것과 흡사합니다. 이 서관충의 몸집은 그 너비가 10밀리미터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진사는 갑자기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위험의 조짐이 보이기만 하면, 이 섬세하고 조그마한 생물은 눈 깜빡할 사이에 산호 속의 자기 집으로 쏙 들어가 버립니다.

사진 3은 해면입니다. 이 생물은 우리의 욕조에 떠 있는 인조 해면 즉 스펀지와는 비슷한 데가 별로 없습니다. 해면은 사실상 살아 있는 동물이지, 식물이 아닙니다. 해면은 구멍이 많은 덩어리로서, 매우 독특한 방법으로 함께 기능을 발휘하는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바닷속」(The Undersea)이라는 책에서는 이렇게 알려 줍니다. 해면의 세포들은 “서로 긴밀히 조직되어 있지도, 서로 의존해 있지도 않다. 따라서 살아 있는 해면이 여러 부분으로 찢어질 경우, 각 부분은 결국 새로운 해면을 형성한다. 각각의 세포가 분리되더라도, 그 세포들은 아메바처럼 꿈틀거리다가 마침내 함께 모여 다시 온전한 해면들을 이룬다.”

자기에게 필요한 양분을 스스로 만드는 식물과는 달리, 해면은 먹이를 “사냥”합니다. 해면은 주위의 물을 빨아들여서 유기물을 걸러 냅니다. 다른 모든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먹이를 소화시키고 배설물을 내보냅니다. 바다 밑바닥에서 바위나 조개 껍데기에 달라붙어 있는 해면을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진 4에는 일반적인 이매패(二枚貝)류의 조개가 있습니다. 이 조개는 고착하는 성질이 있어서, 산호로 된 바위에 들러붙어 있거나 혹은 그냥 바다 밑바닥에 있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것들은 대부분 바닷물에서 플랑크톤을 걸러서 먹고 삽니다. 이 조개류는 껍데기 즉 조가비가 두 개이기 때문에 이매패류라고 부릅니다. 그 두 개의 조가비는 인대로 연결되어 있으며, 두 개의 강한 힘줄의 작용으로 열렸다 닫혔다 합니다. 이 조개는 움직일 필요가 있을 때 조가비를 열고 발 부분의 살을 약간 밖으로 내밉니다. 그러나 적이 다가오기만 하면, 조가비 속으로 다시 들어가 입을 꽉 다물어 버립니다.

이 사진들은 산호초의 바다에서 볼 수 있는 그 멋진 광경을 흘끗 살펴본 것에 불과합니다. 과연, 그 곳은 여호와의 창조의 지혜가 나타나 있는 또 하나의 세계입니다.—로마 1:20.

[16, 17면 삽화]

1. 호랑이개오지는 아직도 돈으로 사용되고 있다

2. 이 “꽃들”은 사실은 서관충이다

3. 해면은 동물이지 식물이 아니다

4. 이 조개류는 플랑크톤을 먹고 산다 (입 부분을 찍은 모습)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