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7 9/8 20-21면
  • RSD—당혹스럽고 고통스러운 병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RSD—당혹스럽고 고통스러운 병
  • 깨어라!—1997
  • 비슷한 자료
  • RSD에 대처하려는 나의 노력
    깨어라!—1997
  • 독자로부터
    깨어라!—1998
  • 더는 고통이 없을 것이다
    깨어라!—1994
  • 우리가 즐기게 될 아픔없는 생활
    깨어라!—1978
더 보기
깨어라!—1997
깨97 9/8 20-21면

RSD—당혹스럽고 고통스러운 병

「깨어라!」 캐나다 통신원 기

반사성교감신경성이영양증(REFLEX SYMPATHETIC DYSTROPHY[RSD])은 “의학계를 가장 당혹스럽게 하는 증후군 가운데 하나이자, 가장 고통스럽고 몸을 쇠약하게 할 수 있는 증후군 가운데 하나”라고, 앨리슨 브레이는 「위니펙 프리 프레스」지에서 기술하였습니다. RSD를 “병원에서 종종 진단하지 못하는 이유는 단지 그 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환자인 애나 알렉산더는 「영국 의학지」(British Medical Journal)에서 말하였습니다. 동 지의 기술에 따르면,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RSD가 정확하게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랫동안 의사들은 그 통증이 환자 자신의 심리 상태로 인해 초래되는 것이라고까지 생각하였습니다.

이 불가사의한 병을 앓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계속되는 통증을 겪는데, 어떤 경우에는 그러한 통증의 원인이 될 만한 일을 한 기억이 전혀 나지 않습니다. 세라 아놀드는 「생활의 역점」(Accent on Living)이라는 잡지에 기고한 글에서 이렇게 썼습니다. “이 병은 손이나 발과 같이 신경 섬유의 말단부가 많이 모여 있는 신체 부위에 상처나 외상을 입어서 생긴다. 상처는 바늘에 찔린 것만큼 간단한 것일 수도 있고 수술로 인해 생긴 것만큼 복잡한 것일 수도 있다. 이 병의 첫 징후는 상처의 정도에 비해 심한 통증이 오래 지속되는 것이다. 증상으로는 국소 부위에서 느껴지는 욱신거리는 심한 통증, 온도와 빛에 대한 극히 민감한 반응, 체모와 손톱·발톱에 생기는 변화, 피부색의 변화 등이 있다.”

이 병은 몇 가지 단계를 거쳐 진행됩니다. 처음에는, 환부가 부어오르면서 붉게 변하고, 전에는 털이 나지 않던 곳에 털이 납니다. 이러한 증상이 한 달에서 석 달 가량 지속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그 부위가 차가워지면서 푸른색을 띠게 되며, 통증이 심해지고 인대와 관절이 뻣뻣해집니다. 골다공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환부의 근육이 약해지고 힘줄이 오그라들며 환부의 수족이 가늘어집니다.

위니펙에 있는 보건 과학 센터의 통증 클리닉 책임자인 하워드 인트래터 박사의 말에 따르면,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입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습니다. 교감 신경이 통증 신호를 보내지 못하도록 막을 필요가 있습니다.a 「위니펙 프리 프레스」지의 보도에 따르면, “치료법으로는 전기 자극에서부터 베타 차단제와 경막외 자극기(척수에 전극을 삽입하여 환부를 자극하는 장치) 및 주사약에 의한 교감 신경 차단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통증을 경감시키고 좀더 잘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해 물리 요법과 침술을 병행합니다. 「영국 의학지」에 의하면, “효과적인 치료법 가운데는 전기를 이용한 신경 자극, 화학 물질에 의한 제2면 교감 신경 차단, 심리 요법, 강도 높은 물리 요법 등을 병용하는 방법이 포함”됩니다.

조기 진단을 받는 것이 확실히 유리합니다. 하지만 몇몇 의사들은 「미국 스포츠 의학지」(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기고한 글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RSD 증상이 있다는 진단을 받은 것이 그 증상이 나타난 지 6개월도 채 안 되어서든, 6개월에서 12개월이 되어서든, 12개월도 더 되어서든 간에 환자들의 치료 결과는 “거의 동일했다. 이러한 발견은, 치료받기 전에 증상이 나타난 기간이 1년도 더 되었다는 것은 불길한 예후라는 최근의 견해와는 상반된다.”

의학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RSD의 신비가 벗겨지고 훨씬 더 효과적인 치료법이 발견되기를 기대합니다.

[각주]

a 통증 문제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깨어라!」 1994년 7월 1일 호에 나오는 “고통 없는 삶이 가능한가?”라는 제목하의 일련의 기사 참조.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