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림이 주는 유익
그리스어 학자인 콘스탄틴 폰 티셴도르프는 1844년에 어느 수도원의 쓰레기통에서 129장의 고대 사본을 발견하였습니다. 티셴도르프는 값을 매길 수 없을 정도로 귀중한 그 사본을 가지고 나왔으며, 이 사본은 이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성서 사본 가운데 하나인 시나이 책자본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 보물은 제때에 구해 낼 수 있었습니다. 강우림 역시 진정한 가치가 종종 무시되는데, 그 보물처럼 운이 좋은 경우는 드뭅니다. 해마다 건기에는 목장주들과 떠돌이 농부들이 놓은 수많은 불이 열대 지방의 하늘을 훤히 밝힙니다. 현직 미국 부통령인 앨 고어는 아마존 지역에서 그런 큰불을 목격하고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그로 인한 황폐는 도저히 믿어지지 않을 정도이다. 그것은 전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일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가 귀중하다고 알고 있는 어떤 것을 불태우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강우림의 비극이란, 우리가 강우림의 가치를 깨닫기도 전에, 강우림이 어떻게 기능을 발휘하는지 이해하기도 전에, 심지어 강우림에 무엇이 있는지 알기도 전에 강우림이 파괴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강우림에 불을 붙이는 것은, 책의 내용을 확인해 보지도 않고 난방을 위해 서재에 있는 책들을 태우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근년에 과학자들은 이 “책들”, 즉 강우림에 저장되어 있는 막대한 양의 정보를 연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한 정보는 흥미 있는 “읽을 거리”가 됩니다.
독특한 삼림
“서인도 제도의 나무들은 그 엄청난 수를 생각할 때 도저히 뭐라고 설명할 수가 없다”고, 1526년에 스페인의 연대기 편찬자인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오비에도는 탄성을 질렀습니다. 5세기가 지난 후에도 그의 평가는 그리 틀린 말이 아닙니다. 저술가인 신시아 러스 램지는 이렇게 기술합니다. “강우림은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하고, 가장 복잡하며, 가장 이해가 되지 않은 생태계이다.”
열대 생물학자인 시모어 소머는 이렇게 기술합니다. “습기가 많은 대부분의 열대림을 구성하는 동식물은 말할 것도 없고, 그 삼림 자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어떻게 기능을 발휘하는지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은 거의 또는 전혀 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동식물의 종류가 너무 많고 그들간의 상호 관계가 너무 복잡해서 연구가들은 자기들이 할 일을 생각하고는 기가 꺾입니다.
온대림에는 헥타르당 나무의 종류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반면에 강우림은 0.5헥타르당 나무의 총 수가 평균 300그루 정도 되는데 0.5헥타르당 나무의 종류는 80여 종이나 되기도 합니다. 그토록 다양한 종을 분류하는 일은 기진맥진하게 하고 힘든 일이기 때문에, 강우림 가운데 1헥타르가 넘게 분석된 곳은 얼마 없습니다. 하지만 분석된 강우림에서는 놀라운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매우 많은 종류의 나무들은 엄청나게 많은, 그 누가 상상했던 것보다도 훨씬 많은 수의 삼림 동식물에게 셀 수 없이 많은 서식처를 제공합니다. 미국 국립 과학원의 말에 의하면, 10제곱 킬로미터의 전형적인 원시 강우림 지역에는 포유류가 125종, 파충류가 100종, 조류가 400종, 나비가 150종이나 서식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비교를 해 보면, 북아메리카 전체에 서식하거나 그 곳을 찾아오는 조류는 1000종이 채 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유의하게 됩니다.
수없이 많은 종의 동식물 가운데는 넓은 강우림 지역에서 두루 찾아볼 수 있는 것들도 있지만, 단지 한 산맥에서만 서식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동식물은 타격을 받기가 쉽습니다. 여러 해 전에 에콰도르에서 벌목꾼들이 산등성이의 나무를 모두 베어 버리는 일을 끝냈을 때는, 이미 90종의 토착 식물이 멸종된 상태였습니다.
그러한 비극적인 일에 직면하자 미국 열대림 합동 조사단에서는 이렇게 경고합니다. “가치가 매우 낮게 평가되고 있고 아마 무엇으로도 대신할 수 없을 이 자원이 다음 세기 초반에 사실상 완전히 파괴되는 일이 없도록 보호하려면, 국가 공동체가 그 문제에 대해 좀더 빠르고도 일사불란한 조처를 신속하게 취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이 생길지 모릅니다. 이 천연 자원이 그토록 가치가 있는가? 강우림이 없어지면 우리의 생활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가?
식품, 맑은 공기, 약품
콘플레이크 한 그릇과 어쩌면 삶은 달걀 하나에 뜨거운 커피 한 잔으로 하루를 시작합니까? 그렇다면, 당신은 간접적이나마 열대림으로부터 유익을 얻고 있는 것입니다. 옥수수, 커피 원두, 달걀을 낳는 암탉, 심지어 우유를 생산하는 젖소—이 모든 것은 열대림의 동식물에서 기원하였습니다. 옥수수는 남아메리카에서 유래했고, 커피의 원산지는 에티오피아이며, 집에서 기르는 암탉은 아시아의 멧닭을 교배해서 얻은 것이고, 젖소는 동남 아시아에 있는 멸종 위기에 처한 반텡의 후손입니다. 「열대 우림」(Tropical Rainforest)이라는 책에서는 “우리가 먹는 것의 적어도 80퍼센트는 열대 지방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인간은 식품 공급원을 무시하고서는 살아갈 수 없습니다. 작물과 가축 모두 혈통이 같은 것끼리 너무 많이 교배시키면 약해질 수 있습니다. 매우 다양한 종이 모여 있는 강우림은, 이러한 동식물을 강화시키는 데 필요한 다양한 유전자를 공급해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멕시코의 식물학자인 라파엘 구스만은 현대의 옥수수와 관련이 있는 새로운 종의 풀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풀(제아 디플로페레니스)은 옥수수 작물을 황폐시키는 7가지 주요 질병 가운데 5가지에 저항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농부들은 구스만이 발견한 사실에 흥분하였습니다. 과학자들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옥수수 품종을 개발하는 데 이 새로운 종을 사용하고 싶어합니다.
1987년에 멕시코 정부는 이 야생 옥수수가 발견된 산등성이를 보호하기 위한 조처를 취하였습니다. 그러나 매우 많은 삼림이 파괴되는 와중에서, 이 야생 옥수수와 같은 매우 귀중한 종이 발견되기도 전에 사라지고 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동남 아시아의 삼림에는 가축인 소의 품종을 개량시켜 줄 수 있는 여러 종의 야생 소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종은 서식지 파괴 때문에 멸종의 벼랑 끝에서 서성이고 있습니다.
신선한 공기는 우리가 먹는 식품만큼이나 중요합니다. 기운을 북돋워 주는 숲 속에서의 산책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나무들은 대기에 산소를 다시 채워 주는 매우 귀중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나무가 탈 때에는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의 형태로 탄소가 배출됩니다. 이 두 가지 기체는 모두 문제를 일으킵니다.
일부 사람이 추산하는 바에 의하면, 지구의 대기에 있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이미 배로 늘어났습니다. 주된 원인은 산업으로 인한 오염이라고 생각되지만, 삼림이 불타면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전체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35퍼센트 이상이나 된다고 합니다. 이산화탄소는 일단 대기 중에 있게 되면 소위 온실 효과를 일으키게 되는데, 많은 과학자들은 그 효과로 인해 심각한 지구 온난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일산화탄소는 훨씬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킵니다. 일산화탄소는 도시 교외 지역의 골칫거리인 스모그에서 발견되는 치사적인 성분 가운데 주된 성분입니다. 그런데 연구가인 제임스 그린버그는 “아마존 밀림 상공에서 미국 교외 지역 상공에 있는 것만큼이나 많은 일산화탄소”를 발견하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아마존 삼림을 무분별하게 태움으로, 대기를 깨끗이 하도록 설계된 나무가 도리어 그 대기를 더럽힌 것입니다!
강우림은 식품과 깨끗한 공기의 근원인 것 외에도 사실상 약품 창고가 될 수 있습니다. 의사들이 처방하는 모든 약 가운데 4분의 1은 열대림에서 자라는 식물에서 나온 것입니다. 안데스 산맥의 운무림에서는 말라리아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키니네가 나오고, 아마존 지역에서는 수술을 할 때 근육 이완제로 사용하는 쿠라레가 나오며, 마다가스카르에서는 붉은매일초가 나오는데 붉은매일초의 식물 염기는 많은 백혈병 환자들의 생존율을 극적으로 높여 줍니다. 그러한 인상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검사해 본 열대 식물은 전체 열대 식물 가운데 약 7퍼센트밖에 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시간이 다 되어 가고 있습니다. 미국 암 연구소에서는 “다습한 열대림을 파괴하는 일이 널리 퍼져 있다는 사실은 암 퇴치 운동의 심각한 퇴보를 의미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강우림이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은 그 외에도 더 있지만, 강우림이 사라지기 전에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 일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강우림의 역할 가운데는 강우량과 온도의 조절뿐 아니라 토양의 침식 방지도 있습니다. 「에메랄드빛 세계: 지구의 귀중한 강우림」(The Emerald Realm: Earth’s Precious Rain Forests)이라는 책에서는 이렇게 알려 줍니다. “세계의 열대림에서 생산되고 있는 것은 현재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다. 그러나 심지어 지금도 우리는 열대림이 헤아릴 수 없이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우리는 사랑하는 것만 보존할 것이다’
우리에게 그토록 풍부하게 공급해 줄 수 있는 자원을 파괴하는 것은, 분명히 매우 어리석은 일입니다. 3000여 년 전에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적의 성읍을 상대로 전쟁을 벌일 때 과실나무는 보존하라고 지시하셨습니다. 그분이 그들에게 제시하신 이유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였습니다. “그 나무들은 너희에게 식품을 마련해 준다.” 더욱이, “들의 나무들은 사람이 아니므로 너희는 나무들을 포위 공격해서는 안 된다.” (신명 20:19, 20, 「신 영어 성서」) 포위 공격을 당하고 있는 강우림에 대해서도 그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분명히 강우림은 과실나무와 마찬가지로 벌목했을 때보다는 그대로 내버려 두었을 때 훨씬 더 가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현대 세계에서는 단기적인 유익이 종종 장기적인 가치보다 더 중요시됩니다. 하지만 교육으로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세네갈의 생태학자인 바바 디윰은 이렇게 지적합니다. “결국 우리는 사랑하는 것만 보존할 것이며, 이해하는 것만 사랑할 것이며, 가르침받는 것만 이해하게 될 것이다.”
티셴도르프는 고대 사본들을 사랑했고 그 사본들을 보존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시나이 사막에 있던 그 고대 사본을 훔쳤습니다. 너무 늦어서 강우림을 보존할 수 없게 되기 전에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강우림을 사랑하게 될 것입니까?
[11면 삽입]
강우림에 불을 붙이는 것은, 책의 내용을 확인해 보지도 않고 난방을 위해 서재에 있는 책들을 태우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8, 9면 네모와 삽화]
삼림의 생물을 보존하는 일
헤수스 엘라는 약 15년 동안 고릴라를 비롯하여 아프리카의 강우림에 사는 동물을 사냥하였다. 그러나 더는 사냥을 하지 않는다. 적도 기니에 있는 750마리의 로랜드고릴라를 보호하기 위해 지정한 자연 보호 구역의 공원 안내인이 된 것이다.
헤수스는 이렇게 설명한다. “사냥을 하지 않으면서 강우림에 있는 편이 더 즐겁습니다. 나는 이 삼림에 있는 것이 편안하고 이 삼림은 내게 필요한 것을 모두 공급해 주기 때문에, 이 삼림은 내 마을이나 다름없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지 해서라도 우리의 자녀들을 위해 이 삼림을 보존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삼림을 매우 사랑하는 헤수스는 그래도 잘된 편이다. 그는 현재 고릴라를 보호하면서, 고릴라를 사냥할 때보다 더 많은 돈을 벌고 있다. 관광객들은 야생 상태에 있는 그러한 동물을 구경하는 특권에 대해 기꺼이 돈을 지불하려고 하기 때문에, 공원 측에서는 그 지방 사람들에게 소득을 얻게 해줄 수 있고, 방문객들에게는 많은 생물들을 잠시나마 볼 수 있는 잊지 못할 추억을 안겨 줄 수 있다. 그러나 「열대 우림」이라는 책에서는, 이 매혹적인 “생태계”를 보존하려면 “광대한 보호 구역”이 있어야 하는데, “유역a 전체가 보호 구역에 포함되면 이상적”이라고 설명한다.
충분한 보호를 베풀기 위해 공원이 그렇게 클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존 터보그가 자신의 저서 「다양성과 열대 우림」(Diversity and the Tropical Rain Forest)에서 추산하는 바에 의하면, 스스로 생존해 나갈 수 있는 재규어 집단(번식이 가능한 다 자란 재규어 약 300마리)에게는 약 7500제곱 킬로미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준으로 보면, 지구상에서 재규어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갖춘 공원은 몇 군데밖에 되지 않는다”고 그는 결론 내린다. 호랑이에게는 그보다 훨씬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자체적으로 번식해 나갈 수 있는 호랑이 집단(400마리)에게는 무려 4만 제곱 킬로미터나 되는 지역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들과 같은 포식 동물을 위해 커다란 보호 구역을 따로 떼어놓음으로, 강우림 전체 역시 보호할 수 있다. 부가적인 유익으로서, 이러한 동물들은 동물 공동체의 전체적인 건강을 유지시키는 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주]
a 유역이란 하나나 그 이상의 강 또는 그 밖의 수역으로 물이 빠지는 지역을 말한다.
[8, 9면 네모와 삽화]
크고 작은 생물들
1. 강우림에 있는 많은 메뚜기류는 화려한 색으로 치장하고 있다. 다른 곤충들은 매우 효과적으로 위장하고 있어서 발견하기가 힘들다
2. 나비는 강우림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섬세한 생물이다
3. 원숭이 무리가 이 가지에서 저 가지로 장난치며 다니는 모습은 강우림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재미있는 장면 가운데 하나이다
4. 재규어가 아메리카 대륙에 있는 강우림의 왕이라는 데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만, 이제까지 야생 상태에 있는 재규어를 본 생물학자는 거의 없다
5. 섬세한 난초 꽃은 열대 지방의 산을 뒤덮고 있는 촉촉한 운무림을 장식한다
6. 야생 상태로 남아 있는 호랑이는 5000마리도 되지 않는다
7.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남방장수풍뎅이는 두려움을 자아내는 뿔이 달려 있지만 그다지 해를 주지는 않는다
8. 고릴라는 보호받고 있는 종이지만, 아프리카의 시장에서는 아직도 고릴라 고기를 볼 수 있다. 이 점잖은 거인은 채식주의자이며 가족 단위로 숲 속을 돌아다닌다
9. 오셀롯은 멋진 모피 때문에 거의 멸종되다시피 할 정도로 사냥당하였다
10. 앵무새는 강우림에서 가장 시끄럽고 사교적인 새 가운데 속한다
11. 갈라고는 그 큰 눈이 암시하듯이 밤에 먹이를 찾아 다닌다
[자료 제공]
사진: Zoo de Baños
사진: Zoo de la Casa de Campo, Madrid
[자료 제공]
사진: Zoo de Baños
[7면 삽화]
강우림에서 생산되는 것 (1) 카카오, (2) 백혈병 치료에 유용한 붉은매일초, (3) 야자유, (4) 삼림 훼손은 파괴적인 흙 사태를 유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