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 부진증과 대식증—그에 관한 사실과 위험 요소들
“음식은 칼로리나 그램으로 측정할 수 있는 어떤 것보다도 훨씬 더 무거운 감정적 짐을 지운다.”—저술가 재닛 그리슨.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두 가지 식욕 이상은 식욕 부진증과 대식증입니다. 이 두 가지 식욕 이상은 각각 독특한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두 가지 모두 위험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식욕 부진증—스스로 굶주리기
식욕 부진증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 즉 식욕 부진증 환자들은 먹기를 거부하거나 영양 실조에 걸릴 정도로 적게 먹습니다. 열일곱 살인 앙투아네트의 경우를 고려해 보겠습니다. 앙투아네트는 한때 자신의 체중이 37킬로그램 정도로 줄어든 적이 있다고 말합니다. 키가 170센티미터인 십대 소녀로서는 체중이 매우 적게 나간 것입니다. 앙투아네트는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하루에 250칼로리밖에 먹지 않았으며 내가 먹은 것에 관해 기록해 두었습니다.”
식욕 부진증 환자는 음식에 대해 강박 관념을 가지고 있으며, 체중이 늘어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극단적인 조처를 취합니다. 헤더는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입을 닦는 척하면서 냅킨에 음식을 뱉어 내기 시작했습니다.” 수전은 체중이 늘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열심히 운동을 하였습니다. 수전은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거의 매일 12킬로미터를 뛰거나 한 시간 동안 수영을 하지 않으면 몹시 염려가 되고 죄책감이 들었습니다. 그리고는 매일 아침 체중계에 올라가 내 체중이 45킬로그램을 훨씬 밑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 최대의 기쁨을 맛보았지요. 대개는 그것이 내가 실제적으로 느끼는 유일한 기쁨이었습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일부 식욕 부진증 환자들은 요리를 아주 잘 하며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식사를 대접하지만 자기 자신은 음식을 입에도 대지 않습니다. 앙투아네트는 이렇게 말합니다. “상태가 가장 심각했을 때, 나는 집에서 매끼 식사를 전부 준비했으며 동생들 모두를 위해 도시락을 쌌습니다. 동생들이 냉장고 근처에는 얼씬도 못하게 했지요. 주방이 모두 내 것인 것처럼 생각한 거죠.”
「부모를 위한 식욕 부진증과 대식증 안내」(A Parent’s Guide to Anorexia and Bulimia)라는 책에 의하면, 일부 식욕 부진증 환자들은 “깔끔해지려는 강박 관념에 사로잡히며, 온 가족에게 비현실적으로 까다로운 표준에 달할 것을 요구할지도 모릅니다. 잡지나 슬리퍼나 커피잔이 잠시라도 제자리에 있지 않은 것을 못 봐 줄지 모릅니다. 그들은 개인 위생과 외모에 대해서도 동일한, 아니 더 심한 강박 관념에 사로잡혀, 문을 잠근 채 여러 시간 동안 화장실에 있으면서 다른 사람들이 학교나 직장에 갈 준비를 하기 위해 들어오는 것조차 허락하지 않으려고 할지 모릅니다.”
식욕 부진증이라고 불리는 이 특이한 장애는 어떻게 해서 걸리게 됩니까? 일반적으로, 십대 청소년이나 젊은 성인—대부분 여성—이 체중을 몇 킬로그램 줄이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목표를 달성하고도 만족하지 않습니다. 거울을 보면서 자신이 여전히 뚱뚱하다고 생각하고는 몇 킬로그램 더 빼는 것이 훨씬 더 낫겠다고 결론 내립니다. 그러한 순환은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의 체중이 그의 키를 기준으로 볼 때 정상치보다 15퍼센트나 그 이하로 적게 나갈 때까지 계속됩니다.
이쯤 되면 친구들과 가족들이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 바싹 말라 보인다고, 심지어 몹시 수척해 보인다고 염려를 나타내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식욕 부진증 환자는 문제를 다르게 봅니다. 키가 175센티미터에 한때 체중이 33킬로그램으로 줄어들었던 남성 식욕 부진증 환자인 앨런은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내가 말라 보인다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체중이 줄어들수록 생각이 비뚤어져서 자기 자신을 명확하게 보지 못하게 됩니다.”a
시간이 지나면서 식욕 부진증은 골다공증과 신장 손상을 비롯하여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식욕 부진증은 심지어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헤더는 이렇게 말합니다. “의사는 내가 몸에 필요한 영양분을 너무 섭취하지 않아서 그런 식사 습관을 두 달만 더 유지했더라면 영양 실조로 죽었을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하버드 정신 건강 회보」(The Harvard Mental Health Letter)의 보도에 따르면, 식욕 부진증이라는 진단을 받은 여성 가운데 약 5퍼센트는 10년 안에 사망합니다.
대식증—폭식과 강제 배출
신경성 대식증이라고 알려져 있는 식욕 이상의 특징은 폭식(많은 양, 아마도 많게는 5000칼로리나 그 이상 되는 음식을 빠른 속도로 먹는 일)과 그 다음에 하는 강제 배출(흔히 토하거나 완하제[緩下劑]를 사용하여 위장을 비우는 일)입니다.b
대식증은 식욕 부진증과는 대조적으로 쉽게 알아낼 수 없습니다. 대식증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은 그다지 마르지 않았을지 모르며, 식사 습관도 꽤 정상적인 것처럼 보일지 모릅니다. 적어도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보일지 모릅니다. 하지만 대식증 환자의 생활은 결코 정상이 아닙니다. 사실, 대식증 환자는 음식에 대해 강박 관념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것은 하나도 중요하지가 않습니다. 열여섯 살인 멜린다는 이렇게 말합니다. “폭식을 한 다음 먹은 것을 토해 내는 일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다른 일이나 사람들에 대해서는 그만큼 관심을 덜 갖게 됩니다. 사실상, 나는 친구들과 즐겁게 지내는 법을 잊어버렸지요.”
식욕 이상 분야에 관해 글을 쓰고 가르치는 게닌 로스는, 폭식을 “30분 동안 광란의 도가니로 빠져 든 다음, 지옥으로 들어가는 행위”로 묘사합니다. 로스는 폭식을 하는 동안에는 “친구도 가족도 아무 것도 중요하지 않다. ··· 오직 음식만이 중요할 뿐이다”라고 말합니다. 대식증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열일곱 살 된 리디아는, 실감 나는 예를 들어 자신의 상태를 묘사합니다. 리디아는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꼭 쓰레기 압축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밀어 넣고 잘게 부순 다음 뱉어 내니까요. 계속 그런 똑같은 일만 반복하지요.”
대식증 환자는 무절제하게 먹을 경우 당연히 초래되는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합니다. 따라서 폭식을 하고 나서 즉시 토해 내거나, 완하제를 복용하여 음식이 체지방으로 바뀌기 전에 배출되게 합니다.c 그런 일은 생각만 해도 거부감이 들 것 같지만, 경험 많은 대식증 환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회 사업가인 낸시 콜로드니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폭식을 한 다음 강제로 배출하는 일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그만큼 그렇게 하기가 더 쉬워진다. 초기에 가졌던 거부감이나 심지어 두려움도 이러한 대식 습관을 유지하고 싶은 강한 욕구로 금세 바뀐다.”
대식증은 극히 위험합니다. 예를 들어, 토해 내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반복해서 강제로 배출하면, 부식성이 있는 위산에 입 안이 노출되어 대식증 환자의 치아의 법랑질이 부식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러한 행동을 습관적으로 하게 되면 환자의 식도와 간과 폐와 심장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극단적인 경우, 음식물을 토해 내는 행위는 위장 파열과 심지어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과도한 완하제 사용 역시 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장의 기능이 손상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설사와 직장 출혈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토해 내는 일과 마찬가지로, 완하제 남용 역시 극단적인 경우에는 죽음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미국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에 의하면, 식욕 이상의 발병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젊은 여성들이 스스로 굶주림으로 죽음의 위험을 무릅쓰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또한, 젊은 여성들이 음식에 대한 심한 강박 관념에 사로잡혀 폭식을 하고는, 또 체중에 대한 심한 강박 관념에 사로잡혀 먹은 것을 강제로 배출하고 싶은 강한 욕구를 느끼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어지는 기사에서는 이러한 질문들에 관해 살펴볼 것입니다.
[각주]
a 일부 전문가들은 총체중이 20에서 25퍼센트 정도 줄어들면 뇌에서 화학 변화가 일어나 지각력에 변화가 생김으로, 전혀 살찌지 않은 부위도 살찐 것처럼 보이게 된다고 주장한다.
b 일부 사람들은 강제 배출을 하지 않는 강박 과식 역시 식욕 이상의 일종이라고 생각한다.
c 많은 대식증 환자들은 체중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매일 열심히 운동한다. 그들 중 일부는 체중 감량에 지나치게 성공하는 바람에 결국 식욕 부진증에 걸리게 되며, 그 후에는 식욕 부진증과 대식증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행동을 번갈아 가며 하게 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