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9 12/8 30면
  • 독자로부터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독자로부터
  • 깨어라!—1999
  • 비슷한 자료
  • 화해하는 것이 가능한가?
    깨어라!—1999
  • 이혼하기로 결정할 경우
    깨어라!—1999
  • 불충실한 일이 있은 뒤 결혼 생활을 파탄에서 구할 수 있는가?
    깨어라!—1997
  • 독자로부터
    깨어라!—1998
더 보기
깨어라!—1999
깨99 12/8 30면

독자로부터

불충실함 「깨어라!」 1999년 4월 22일호에 실린 “배우자가 불충실할 때”라는 일련의 기사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저 역시 배우자의 불충실로 인해 고통을 겪은 사람입니다. 이혼한 지 삼 년이나 되었지만 여전히 심한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기사 덕분에, 가슴 아픈 과거는 이제 잊어버리고 나 자신을 가다듬어 정상적인 생활을 해 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V. B., 트리니다드

이전에도 그 주제에 대해 조사를 해 본 적이 있지만 그 기사만큼 잘 설명된 내용은 없었습니다. 성서의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부터 저는 그 소식이 진리임을 이해하였습니다. 이제 여호와께서는 제가 그 사실을 믿을 만한 또 다른 이유를 제시해 주셨습니다.

G. B., 이탈리아

이혼으로 인해 저는 심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자중심을 상실하였으며 수없이 많은 건강 문제를 겪게 되었습니다. 여전히 고통을 겪고 있지만, 여호와께서 하신 약속에 대한 믿음과 제가 속한 회중에서 베풀어 주는 사랑과 감정적인 지원을 통해 큰 위로를 얻고 있습니다!

A. B., 캐나다

남편과 별거한 지 9개월이 되었지만 저는 아직도 혼자 사는 데 따르는 고통을 극복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손잡고 함께 가 줄 사람 없이 어떻게 거리를 다녀야 할까요? 그리스도인 집회 때는 누가 내 옆에 앉아 줄까요? 의사에게 진찰받으러 갈 때는 누가 같이 가 줄까요? 여호와께서는 잘못이 없는 배우자를 버리시지 않는다는 점을 일깨워 주신 데 대해 감사드립니다.

E. S., 브라질

네모 안의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가?”의 내용은 제게 많은 위로가 되었습니다. 저는 남편이 불충실한 행동을 저지르자 이혼을 하기로 결정하였지요. 욥처럼, 아예 죽고 싶었던 때도 있었습니다. (욥 17:11-13) 하지만 가족과 그리스도인 형제 자매들이 베풀어 준 지원 덕분에 지금까지 견딜 힘을 얻었습니다.

M. O., 아르헨티나

저는 그 일련의 기사를 단순히 읽은 것이 아니라 집어삼키다시피 하였습니다! 저 역시 이혼을 한 사람인데, 그 기사에서는 이혼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온갖 질문과 염려거리에 대해 논하였습니다. 우리에게 관심을 나타내 주신 데 대해 감사드립니다.

E. L., 프랑스

제가 일곱 살 때 아버지는 우리 가족을 버렸습니다. 청천벽력과도 같은 일이었지요. 몇 년 후, 아버지는 우리에게 자신을 다시 받아들여 달라고 부탁하였습니다. 형들과 저는 강경하게 반대하였지만 어머니는 승낙하더군요. 여러분이 발행한 기사를 읽고서야 어머니가 왜 그처럼 힘겨운 결정을 내렸는지를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A. A., 브라질

그 일련의 기사에 대해 너무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사람은 누구나 동일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비슷한 느낌과 감정을 갖게 된다는 것을 아니 참 위로가 되는군요. 그런데 여러분이 발행한 기사에는 이런 내용이 있었습니다. “[당신은] 배우자가 필요로 하는 것만큼 사랑과 부드러운 애정, 칭찬과 존중심을 나타내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내용은 많은 문제가 있는 결혼 생활을 우리처럼 어떻게 해서든 지속시켜 보려고 노력한 사람들에게는 무척 가슴 아픈 얘기입니다. 간음을 저지르려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은 아주 추악하게 행동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런 사람에게 애정을 나타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L. W., 미국

그 내용이 어떤 독자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간음을 범한 사람이 자신의 그릇된 행동에 대한 책임을 배우자에게 돌릴 수도 있음을 암시하려는 의도로 그런 말을 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네모 안의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가?”에서 우리는 “잘못이 없는 배우자의 불완전성”과는 관계없이, 간음 행위에 대한 책임은 어디까지나 간음을 범한 당사자에게 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문제가 된 내용은 화해에 대해 논하는 부분에서 나온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단순히 원활한 의사 소통이 필요함을 강조하면서, 화해하려고 하는 부부가 그들의 결혼 생활에서 시급하게 주의를 요할 수 있는, 문제가 되는 부면을 스스로 알아내도록 권한 것입니다. 그리고 솔직하게 털어놓을 필요가 있는 원망스러운 느낌을 속으로만 품고 있었던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처럼 대화를 나누다 보면 대개 배우자 양측 모두가 자신에게 어느 정도 부족함이 있었음을 결국 시인하게 됩니다. 어쨌든, “우리는 모두 여러 번 걸려 넘어집니다.” (야고보 3:2) 그리고 그러한 대화를 나누는 것은 많은 경우 매우 괴로운 일이기는 하지만, 우리의 기사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것은 “신뢰심을 회복하는 과정의 중요한 부분”입니다.—편집자.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