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03 6/22 31면
  • “여호와는 나의 위안이시다”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여호와는 나의 위안이시다”
  • 깨어라!—2003
  • 비슷한 자료
  • 하느님의 이름을 알린 주화들
    깨어라!—2007
  • 옆으로 밀려난 이름
    깨어라!—1981
  • 하느님은 이름을 가지고 계시다!
    깨어라!—2004
  •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려는 시도
    깨어라!—2004
더 보기
깨어라!—2003
깨03 6/22 31면

“여호와는 나의 위안이시다”

이 말은 스웨덴의 왕 카를 9세가 정한 왕실의 공식적인 좌우명을 번역한 것입니다. 이 좌우명은 라틴어로는 “이에호바 솔라티움 메움”입니다. 이 왕은 1560년부터 1697년까지 몇 세대에 걸쳐 스웨덴을 통치한 왕들 중 한 사람인데, 그 왕들은 동전이나 메달이나 개인의 좌우명에 히브리어나 라틴어 문자로 하느님의 이름을 강조하였습니다. 카를 9세는 또한 왕립 여호와 공제 조합을 설립하였습니다. 1607년에 있었던 대관식 날 그는 여호와 목걸이라고 하는 목걸이를 하고 있었습니다.

이 군주들이 이러한 관습을 갖게 된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학자들은 성서에 대한 존경심과 더불어 당시 유럽을 휩쓸던 칼뱅주의 운동이 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고 믿습니다. 교육을 잘 받은 르네상스 시대의 왕들이었던 그들은, 하느님의 고유한 이름인 여호와의 라틴어 이름에 익숙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틀림없이 그들 중 일부는 히브리어 성서 본문에 그 이름이 수천 번이나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것입니다.

16세기와 17세기에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여호와라는 이름이 공공건물들과 교회들뿐 아니라 동전과 메달에도 자주 등장하였다는 사실은 문헌 자료로 잘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그 당시에는 탈출기 3:15에 있는 “여호와 ··· [는] 한정 없는 때까지 나의 이름이[다]”라는 하느님 자신의 언명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존중받았던 것 같습니다.

[31면 삽화]

왕립 여호와 공제 조합의 목걸이와 배지, 금, 에나멜, 수정, 석류석을 원료로 1606년에 제작됨

왕 에리크 14세 1560-68년 재위

왕 카를 9세 1599-1611년 재위 (에리크 14세의 형제)

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 1611-32년 재위 (카를 9세의 아들)

크리스티나 여왕 1644-54년 재위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딸)

[자료 제공]

목걸이: Livrustkammaren, Stockholm Sverige; 동전: Kungl. Myntkabinettet, Sveriges Ekonomiska Museum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