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가정을 위해 | 청소년
친구들의 압력을 물리치려면
무엇이 문제인가?
“중학교 때 친구들에게 따돌림을 당해 마음에 상처를 입었습니다. 고등학교에 들어가면서 외모와 태도를 바꾸어 보았지만 별 소용이 없었어요. 너무나 친구를 사귀고 싶은 마음에 애들이 하라는 대로 하고 말았어요. 그래야 그 애들이 날 좋아할 테니까요.”—제니퍼, 16세.a
당신도 친구들의 압력으로 힘들어하고 있습니까? 만일 그렇다면, 이 기사의 내용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친구들의 압력에 굴복한다면, 다른 사람의 조종을 받게 되기 때문에 이성 없는 로봇과 같아지는 것입니다. 친구들이 그런 식으로 나를 조종하게 할 이유가 어디 있습니까?—로마서 6:16.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착한 사람도 친구들의 압력 때문에 나쁜 일을 할 수 있다.
“나쁜 교제는 유익한 습관을 망칩니다.”—고린도 첫째 15:33.
“어떤 행동이 잘못인 걸 알면서도 막상 압력을 받게 되면 감정에 휩싸여 남들이 좋아할 일을 하게 되죠!”—데이나.
단지 친구들만 나에게 압력을 가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옳은 일을 하기 원할 때에, 악한 것이 내게 있습니다.”—로마서 7:21.
“내가 나 자신에게 압력을 가하는 경우가 많아요. 친구들이 이야기하는 것들이나 엄청 재밌다고 하는 것들을 원하는 건 사실 나 자신이거든요.”—다이아나.
친구들의 압력에 당당히 맞서는 것은 자부심을 가질 만한 일이다.
“선한 양심을 유지하십시오.”—베드로 첫째 3:16.
“한때는 친구들의 압력에 당당히 맞서기가 너무 힘들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애들과 달라 보이는 게 두렵지 않고, 내가 내린 결정에 따라 행동하지요. 떳떳한 양심으로 잠자리에 드는 것만큼 좋은 건 없어요.”—카를라.
어떻게 할 수 있는가?
친구들이 나쁜 일을 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해 보십시오.
결과를 생각해 본다. 이렇게 자문해 보십시오. ‘친구들이 하라는 대로 하다가 들키면 어떻게 될까? 부모님은 나를 어떻게 생각하실까? 나 자신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이 들까?’—성경 원칙: 갈라디아서 6:7.
“부모님은 ‘친구들이 하라는 대로 하면 너한테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겠니?’와 같은 질문들을 하세요. 두 분은 내가 친구들의 압력으로 나쁜 길에 들어설 수 있다는 점을 깨닫도록 도와주시지요.”—올리비아.
확신을 키운다. 다음과 같이 자문해 보십시오. ‘이 행동이 나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해롭다고 믿는 이유가 뭐지?’—성경 원칙: 히브리서 5:14.
“어렸을 땐 그냥 싫다고 하거나 짧게 대답해 주는 게 전부였지만, 이젠 내가 어떤 일을 하거나 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충분히 설명할 수 있어요.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해 확신이 서 있으니까요. 내가 하는 대답은 내 생각이지 다른 사람의 생각이 아니에요.”—어니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생각해 본다. 이렇게 자문해 보십시오. ‘나는 어떤 사람이기를 원하는가?’ 그런 다음, 자신이 받고 있는 압력을 염두에 두면서 ‘그런 사람이라면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할까?’ 하고 생각해 보십시오.—성경 원칙: 고린도 둘째 13:5.
“나는 스스로에 대해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아요. 게다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있는 그대로의 나를 좋아하죠.”—앨리샤.
나중을 생각한다. 지금 내가 학교에서 잘 보이려고 애쓰는 아이들도 앞으로 몇 년, 아니 몇 달 후에 헤어지고 나면 나와는 아무 상관없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학교 다닐 때 찍은 사진을 봤는데, 같은 반 애들 몇몇은 이름도 기억나지 않더라고요. 하지만 그때는 그 애들의 생각이 내 믿음을 지키는 것보다 더 중요했어요. 정말 바보 같았죠!”—돈, 현재 22세.
미리 준비한다. “각 사람에게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알” 필요가 있다고 성경은 말합니다.—골로새서 4:6.
“부모님은 나와 여동생에게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생각해 보도록 도와주셨어요. 그런 다음 그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 가족이 함께 연기해 보았죠. 실제로 그런 상황이 닥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미리 알 수 있게 해 주신 거예요.”—크리스틴.
a 이 기사에 나오는 일부 이름은 가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