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과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
당신은 열심히 연설을 준비했을지 모릅니다. 준비한 내용이 교육적일지 모릅니다. 논리가 타당할지 모릅니다. 그 내용을 유창하게 발표할 수 있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청중의 주의가 나뉜다면—청중이 자주 다른 것들에 정신이 팔려 당신의 말을 단편적으로만 듣는다면—연설의 효과가 얼마나 있겠습니까? 청중이 연설에 정신을 집중하기가 어렵다면, 청중의 마음을 감동시킬 수 있겠습니까?
무엇이 그러한 문제의 원인일 수 있습니까? 여러 가지 요인들이 그 원인일 수 있습니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요인은 연설할 때 즉석에서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달리 말해서, 연사가 메모를 너무 자주 보거나, 그의 연설 방식이 너무 딱딱한 경우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연설을 준비하는 방식과 직접 관련이 있습니다.
먼저 연설 내용을 일일이 기록하고 나서 그것을 골자로 바꾸려 한다면, 아마 즉석에서 표현하는 방식으로 연설을 하기가 어렵게 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바로 그 단어들을 선택해 두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골자를 사용하여 연설한다 해도, 원래 기록할 때 사용한 단어들을 기억해 내려고 할 것입니다. 내용을 일일이 기록할 때는, 일상 대화 때보다 더 딱딱한 표현과 더 복잡한 문장 구조를 사용하게 됩니다. 당신의 연설은 그런 표현과 문장 구조를 반영하게 될 것입니다.
연설 내용을 자세히 다 기록하지 말고, 다음과 같이 해 보십시오. (1) 하나의 주제와 그 주제를 전개하는 데 사용할, 그 문제의 주요 부면들을 선정하십시오. 짧은 연설을 하는 데는 두 가지 주요점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더 긴 연설에는 네댓 가지 주요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각 주요점 밑에, 그 주요점을 전개하는 데 사용하고자 하는 주된 성구들을 적고, 예들이나 주요 논증들도 적어 두십시오. (3) 어떤 말로 연설을 시작할 것인지 생각해 보십시오. 한두 문장을 기록해 둘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결론을 계획하십시오.
발표를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연설을 암기할 목적으로 한 단어 한 단어 되풀이하여 익히지는 마십시오. 즉석에서 표현하려면, 단어가 아니라 표현할 사상에 역점을 두고 발표를 준비해야 합니다. 머릿속에서 사상들이 하나하나 쉽게 이어질 수 있을 때까지 사상들을 복습해야 합니다. 연설의 구조가 논리적으로 전개되어 있고 잘 계획되어 있다면 연설하기가 어렵지 않을 것이며, 연설할 때 사상들이 자연스럽고 쉽게 나올 것입니다.
이점들을 고려하라.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의 한 가지 중요한 장점은, 사람들의 반응을 아주 쉽게 불러일으키는 실제적인 방법으로 연설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더 생기 있고 따라서 청중에게 더 흥미 있는 연설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 연설 방법을 사용하면, 듣는 사람들과 최대한으로 눈의 접촉을 할 수 있어서 그들과의 의사소통이 좋아집니다. 메모에 의존하여 각 문장을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듣는 사람들은 당신이 자신이 논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말하는 내용을 진심으로 믿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연설은 대화식의 따뜻한 연설, 그야말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달되는 연설이 되기 쉽습니다.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은 또한 융통성이 있습니다. 내용이 조절할 수 없게 딱 짜여 있지 않습니다. 연설하게 되어 있는 그날 일찍이, 자신이 논할 문제와 직접 관련이 있는 인상적인 뉴스 보도를 접하게 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 내용을 언급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겠습니까? 혹은 연설하면서, 청중석에 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들이 많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합시다. 내용이 그들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예들과 적용 방식을 조절하는 것은 참으로 훌륭한 일일 것입니다!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의 또 다른 장점은, 당신 자신의 생각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입니다. 청중이 인식 깊은 태도와 좋은 반응을 나타내면, 당신 자신이 고무되어 사상을 확대하기도 하고 어떤 점을 반복하여 강조할 시간을 내기도 합니다. 청중의 흥미가 식어 간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면, 생각이 다른 데 가 있는 사람들에게 그냥 말하는 대신 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조처를 취할 수 있습니다.
함정을 피하라.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에는 함정도 있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한 가지 함정은 시간을 초과하기 쉽다는 것입니다. 연설 중에 가외의 사상을 너무 많이 삽입하다 보면, 시간 조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연설의 각 부분에 허용된 시간을 골자에 적어 둔다면, 그런 문제를 막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시간 계획을 철저히 따라야 합니다.
특히 경험 많은 연사들에게는 또 다른 위험이 있는데, 그것은 과신입니다. 어떤 연사들은 공개 연설에 익숙해지다 보니, 얼마의 사상들을 갑자기 서둘러 모아서 배정된 시간을 채우는 것이 어렵지 않게 느껴질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가 ‘위대한 스승’이신 여호와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겸손하다면, 과제를 받을 때마다 진지하게 기도하면서 잘 준비하게 될 것입니다.—이사야 30:20; 로마 12:6-8.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을 해 본 경험이 없는 많은 연사들에게는 아마, 말하고자 했던 것을 잊으면 어쩌나 하는 염려가 더 클 것입니다. 그러한 생각 때문에, 효과적으로 연설하는 면에서 이처럼 진보하기를 주저해서는 안 됩니다. 잘 준비하고, 여호와를 의지하여 그분의 영의 도움을 받도록 하십시오.—요한 14:26.
또 어떤 연사들은 표현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기 때문에 주저합니다.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을 하면, 원고 낭독 연설만큼 정선된 표현과 정확한 문법을 구사하지 못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마음을 끄는 대화 방식으로 그러한 약점을 보충하고도 남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쉽게 이해되는 단어들과 복잡하지 않은 문장들로 제시되는 사상들에 아주 쉽게 반응을 보입니다. 잘 준비하면, 적절한 표현이 자연스럽게 나올 것입니다. 그것은 당신이 그 표현을 암기했기 때문이 아니라, 사상들을 충분히 복습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상 대화에서 좋은 말을 사용한다면, 연단에서도 좋은 말이 자연스럽게 나올 것입니다.
어떤 종류의 메모를 사용할 것인가? 시간이 지나면서 습관이 되면, 연설의 각 요점에 대해 몇 마디만 사용할 정도로 골자를 줄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 요점들과 사용하고자 하는 성구들을 한 장의 카드나 종이에 모두 열거하여 쉽게 참조해 볼 수 있습니다. 야외 봉사를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간단한 골자를 기억해 둘 것입니다. 재방문을 위해 어떤 화제에 대해 조사를 했다면, 간단히 몇 마디 적은 종이를 성서 갈피에 끼워 둘 수 있습니다. 혹은 대화를 위한 근거로 단순히 “대답을 위한 성서 제목”에 나오는 골자나 「성경을 사용하여 추리함」에 나오는 자료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몇 주 내에 여러 가지 집회 프로들을 다루도록 지정받았거나 혹시 공개 강연도 하도록 지정받았다면, 더 자세한 메모를 작성할 필요성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러한 과제들을 하나하나 다루기 전에 내용을 머릿속에 다시 떠올리려는 것입니다. 그렇다 해도, 연설 중에 표현을 찾기 위해 메모에 너무 많이 의존한다면—거의 모든 문장 중에 어느 지점에서인가 메모를 본다면—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의 특징을 이루는 이점들이 없어질 것입니다. 자세한 메모를 사용한다면, 골자를 구성하는 몇몇 단어들과 참조 성구만을 눈에 띄게 표시하여 편리하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대개의 경우 경험 많은 연사의 연설은 주로 즉석에서 표현하는 것이어야 하지만, 다른 방식을 섞어 사용하는 것도 유리할 수 있습니다. 청중과의 접촉도 좋아야 하고 용의주도한 표현으로 힘 있게 말하기도 해야 하는 서론과 결론에서는, 몇 문장을 암기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사실들이나 숫자나 인용문이나 성구를 사용하는 부분에서는, 낭독이 적절하며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설명을 요구할 때. 때때로 우리는 미리 준비할 기회도 없이, 우리의 신앙을 설명해 보라는 요구를 받습니다. 그러한 경우로서, 야외 봉사에서 만나는 사람이 이의를 제기할 때가 있습니다. 친족과 함께 있을 때, 혹은 직장이나 학교에서도 그와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 관리들이 우리의 신앙과 생활 방식을 설명해 보라고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성경은 이렇게 강력히 권합니다. “여러분 속에 있는 희망에 대한 이유를 묻는 모든 사람 앞에서 항상 변호할 준비를 하십시오. 그러나 온화한 성품과 깊은 존경심으로 그렇게 하십시오.”—베드로 첫째 3:15.
베드로와 요한이 유대인의 산헤드린에서 어떻게 대답했는지를 사도행전 4:19, 20의 기록에서 유의해 보십시오. 그들은 단지 두 문장으로 자신들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그들은 청중에게 알맞은 방식으로 그렇게 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 사도들이 당면한 쟁점이 또한 그 법정이 당면한 쟁점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지적했습니다. 후에 스데반은 거짓 고발을 당하여 그 동일한 법정 앞으로 끌려갔습니다. 사도행전 7:2-53에서 그의 즉흥적인 강력한 대답을 읽어 보십시오. 스데반은 내용을 어떤 식으로 정리했습니까? 역사적으로 발생한 순서에 따라 사건들을 제시했습니다. 적절한 시점에서, 그는 이스라엘 민족이 나타낸 반역적인 영을 강조하기 시작했습니다. 결론에서는 산헤드린이 하느님의 아들을 죽게 하여 동일한 영을 나타냈음을 설명했습니다.
자신의 신앙을 즉흥적으로 설명하도록 요구받을 경우,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느헤미야를 본받으십시오. 그는 아닥사스다 왕이 제기한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조용히 기도했습니다. (느헤미야 2:4) 기도한 다음, 머릿속으로 재빨리 골자를 만드십시오. 기본적인 단계들을 열거하자면 이러합니다. (1) 설명에 포함시켜야 할 한두 가지 요점을 선정하십시오. (이를테면, 「성경을 사용하여 추리함」에 나오는 요점들을 사용하기로 정할 수 있습니다.) (2) 그 요점들을 뒷받침하기 위해 무슨 성구들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십시오. (3) 요구한 사람이 기꺼이 들을 수 있도록, 어떻게 재치 있게 설명하기 시작할 것인지 계획하십시오. 그런 다음 말하기 시작하십시오.
압력을 받는 상황에서, 해야 할 바를 기억해 낼 수 있을 것입니까? 예수께서는 추종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어떻게 또는 무엇을 말할까 염려하지 마십시오. 여러분이 해야 할 말이 그 시간에 여러분에게 주어질 것입니다. 말하는 것은 여러분이 아니라, 여러분을 통하여 말하는 여러분의 아버지의 영입니다.” (마태 10:19, 20) 그렇다고 해서 1세기 그리스도인들에게 기적으로 주어진 “지혜의 말씀”을 당신도 받게 될 것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고린도 첫째 12:8) 그러나 여호와께서 그리스도인 회중에서 그분의 종들을 위해 베푸시는 교육을 정기적으로 이용한다면, 성령은 필요할 때 필요한 내용을 생각나게 해 줄 것입니다.—이사야 50:4.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은 틀림없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회중에서 과제들을 다룰 때 으레 그렇게 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필요할 때 즉흥적으로 대답하기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골자를 만드는 과정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주저하지 마십시오. 즉석에서 표현하는 법을 배운다면, 더 효과적으로 야외 봉사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회중 앞에서 연설할 특권을 갖게 될 경우, 청중의 관심을 붙들어 두고 청중의 마음을 감동시키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