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통-2 “아이, I”
  • 아이, I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아이, I
  • 성경 통찰, 제2권
  • 비슷한 자료
  • 아얏
    성경 통찰, 제2권
  • 아이야
    성경 통찰, 제2권
  • 인공 지능—유익한가 해로운가?—성경에서는 어떤 점을 알려 줍니까?
    그 밖의 주제
  • 스바림
    성경 통찰, 제1권
더 보기
성경 통찰, 제2권
통-2 “아이, I”

아이, I

(Ai) [폐허 더미]

「킹 제임스 성경」(영문)에서는 히브리어에 표기된 대로 어두의 정관사를 함께 읽어서 “하이”라고도 한다. 또한 이 이름은 여성형인 아얏과 아이야로도 나온다.—사 10:28; 느 11:31.

1. 가나안 사람들의 왕도로, 이스라엘이 침략하여 두 번째로 빼앗은 도시. 아이는 “베델 동쪽 벳-아웬 근처”에 위치해 있었으며 북쪽에는 골짜기 평야가 있었다. (수 7:2; 8:11, 12) 아이의 남쪽에는 믹마스가 있었던 것 같다.—사 10:28.

아브라함은 가나안에 도착한 지 얼마 있지 않아 “베델을 서쪽에, 아이를 동쪽에 두고” 그의 천막을 쳤다. 그는 거기에다 제단을 쌓았으며, 이집트에서 잠시 체류한 후 다시 그곳을 찾아왔다.—창 12:8; 13:3.

기원전 1473년에 예리코에 대해 승리를 거둔 후, 이스라엘 병사 약 3000명으로 이루어진 소규모 병력이 아이를 공격하였는데, 그렇게 한 이유는 정탐꾼들이 아이 주민들과 관련하여 “그들은 수가 적”다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수 7:2, 3) 하지만 아간의 죄 때문에 이스라엘은 패하였다. (수 7:4-15) 그 문제를 시정한 후 여호수아는 아이를 치기 위한 책략을 꾸며 도시 뒤 서쪽에 복병을 배치하였다. 주력 부대는 도시 앞 북쪽에 포진하였다. 그곳에는 골짜기 혹은 저지 사막 평원이 펼쳐져 있었는데, 여호수아는 그곳으로부터 아이에 정면 공격을 가할 준비를 하였다. 여호수아의 군대는 후퇴하는 척하며 아이 왕과 그의 부하들로 이루어진 무리를 아이에서 유인해 내어 그들의 추격자들이 자신들의 성채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였다. 그런 다음 복병이 신호에 따라 행동을 취하였으며 도시는 함락되어 불태워졌다. (수 8:1-27) 아이 왕은 처형되었으며, 이 도시는 “한정 없이 존속하는 둔덕[히브리어, 텔]으로 [만들어졌는데], 그것이 이 날까지 폐허로 있다.”—수 8:28.

이 도시에는—혹은 아마도 이 도시의 인접 지역에는—기원전 8세기의 이사야 시대까지 사람이 살았으며, 이 도시는 아시리아 왕이 예루살렘으로 진군할 때 맨 먼저 점령될 곳으로 예언되었다. (사 10:28) 바빌론 유배 후 아이 출신의 베냐민 사람들은 스룹바벨 일행과 함께 돌아왔다.—라 2:28; 느 7:32; 11:31.

일반적으로 아이는 히르베트에트텔(호르바트에트텔) 유적지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어 왔는데, 그곳의 이름에는 아이라는 고대 명칭의 의미가 보존되어 있다. (에트텔은 “둔덕, 폐허 더미”를 의미한다.) 그곳은 베델(현대의 베이틴)에서 동남동쪽으로 2.3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하지만 1933-1935년과 1964-1972년에 그곳에서 행해진 발굴 조사의 결과는, 그곳이 큰 도시였으며 (고고학적 연대 측정 방법에 의하면) 기원전 2000년경에 황폐되어 그 후로 기원전 1050년경까지 사람이 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고고학자들은 성경에서 아이가 나오는 부분들의 의미를 변경하려고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고고학자 J. 시몬스는 이 도시의 규모와(수 7:3) 히르베트에트텔의 북쪽에는 넓은 골짜기가 없다는 사실을 비롯하여(수 8:11) 여러 가지 이유를 근거로, 히르베트에트텔은 아이가 있었던 장소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미국 고고학 저널」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1947년 7-9월, 311면) 만일 고고학적 연대 측정 방법이 정확하다면, 아이의 유적지는 분명 다른 곳에 있을 것이다. 이름이 장소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닌데, 프레더릭 케년 경이 이렇게 말하는 바와 같다. “팔레스타인에서는 폐허가 되거나 버려진 어떤 장소의 이름을 근처에 있는 다른 장소가 이어받는 일이 흔히 있는 현상이다.”—「성서와 고고학」(The Bible and Archæology), 1940년, 190면.

2. 암몬 사람들에 대한 예레미야의 예언에서 헤스본과 함께 나오는 도시. (렘 49:3) 이곳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