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아시리아 제국
아시리아는 정복 활동으로 점철된 역사 기록을 가진 제국으로서, 그 정복 활동은 흔히 포로들을 잔혹하게 대우한 일들로 얼룩져 있었다. 아시리아 사람들의 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요소 가운데 하나는 종교였으며, 전쟁은 그들의 종교를 이상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여겨졌다. 역사가 W. B. 라이트는 이렇게 알려 준다. “전쟁은 이 나라의 국가적 사업이었으며 사제들은 끊임없이 전쟁을 선동하였다. 사제들은 정복을 통해 얻은 전리품에 의존하여 주로 생활하였으며, 전리품은 항상 일정 비율을 먼저 사제들에게 할당한 다음 다른 사람들에게 분배되었다. 약탈을 일삼았던 이 민족은 매우 종교심이 강하였기 때문이다.”—「고대 도시들」(Ancient Cities), 1886년, 25면.
성서와 세속 역사 모두 이스라엘과 아시리아 사이에 잦은 접촉이 있었음을 알려 준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스라엘은 아시리아 왕에게 조공을 바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러다가 기원전 740년에 북쪽 왕국의 수도 사마리아가 함락되었고 그 후 많은 사람이 유배되었다. 여호와께서 이러한 일이 일어나도록 허락하셨다는 사실은 배교한 이스라엘이 어느 정도나 타락한 상태에 빠져 있었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다. 하지만 산헤립이 예루살렘까지도 함락시키려고 하자 여호와의 천사 하나가 하룻밤에 아시리아 군대 18만 5000명을 몰살시켰다. (사 36:1–37:38) 여호와의 예언자들이 예언한 대로 아시리아는 나중에 황량한 폐허가 되었으며 바빌론이 그 뒤를 이어 세계무대에 등장하였다.—사 23:13; 습 2:13.
지도: 아시리아 제국
고고학자 A. H. 레이어드가 님루드(갈라)에 있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웅장한 궁전을 묘사한 그림
사람의 머리가 있고 날개가 달린 이 거대한 수소 상은 한때 사르곤 2세의 궁전을 장식하고 있었다
님루드에 있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궁전 벽에 있는 돋을새김. 사자 사냥은 아시리아 왕들이 즐기는 스포츠 가운데 하나였다. 니네베는 그 도시 자체가 “사자들의 거처”로 일컬어졌다 (나 2:11)
아슈르나시르팔 2세가 시종과 수호 정령과 함께 궁전에 있는 모습. 님루드(갈라)에 있는 궁전에서 발견되었으며 대영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종교는 아시리아의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전장으로 돌진하고 있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모습. 왕의 앞에는 그의 신인 앗수르(아슈르)가 날아가고 있고 화살도 쏘고 있다. 대영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자기 신들의 상징물들에 둘러싸여 있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 뿔이 달린 투구는 앗수르를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날개 달린 원반은 태양신 샤마시를 나타낸다. 초승달은 달의 신 신(Sin)의 표상물이다. 끝이 갈라진 줄은 아다드의 천둥이다. 별은 이슈타르를 의미한다
산헤립의 대리자가 여호와를 조롱하고 예루살렘의 항복을 요구하고 있다
산헤립 각주 비문(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테일러 각주 비문). 산헤립의 후기 연대기 중 하나이다. 여기서 그는 자기가 유다를 침공한 것에 대해 자랑하지만 자기의 군대에 닥친 재난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는다
아시리아 사람들의 궁전 벽에 묘사되어 있는 그들의 잔학 행위. 왼쪽: 칼데아 사람들이 산 채로 가죽이 벗겨지고 혀가 뽑히는 모습. 오른쪽과 아래: 라기스의 포로들이 산 채로 가죽이 벗겨지고 기둥에 못 박히는 모습
성서 예언과 일치하게 니네베(앞쪽에 보이는 쿠윤지크 둔덕)는 “황무한 도시”가 되었다. (나 2:10)
바빌로니아 연대기의 한 점토판에서는 바빌론 사람들이 한때 큰 도시였던 그곳을 약탈한 일에 대해 자세히 알려 준다. (바빌로니아 연대기 B.M. [대영 박물관] 21901, 가드 연대기 또는 니네베 함락 연대기로도 알려져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