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통-1 “깃딤”
  • 깃딤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깃딤
  • 성경 통찰, 제1권
  • 비슷한 자료
  • 바다를 누비던 “깃딤의 배들”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07
  • 키프로스
    성경 통찰, 제2권
  • 야완
    성경 통찰, 제2권
  • “프로콘술”이라는 칭호가 나오는 키프로스의 주화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더 보기
성경 통찰, 제1권
통-1 “깃딤”

깃딤

(Kittim)

깃딤은 야완의 네 “아들” 가운데 한 명으로 언급되지만, 그 이름은 성경에서 모두 복수형으로만 나온다. (창 10:4; 대첫 1:7) 후에 이 이름은 한 민족과 하나의 지역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요세푸스(「유대 고대사」 Jewish Antiquities, I, 128 [vi, 1])는 깃딤을 “케티모스”라고 부르며 또한 그곳이 키프로스나, “히브리 사람들이 모든 섬과 대부분의 해양 국가들에 붙인 케팀이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말하였다. 고대 페니키아 사람들은 키프로스 사람들을 키티라고 불렀다. 현대의 권위자들도 그처럼 깃딤을 키프로스로 여기는 견해에 대체로 동의한다.

키프로스 남동 해안에 있는 키티온(키티움)이라는 도시는 페니키아의 식민지로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깃딤을 야벳의 자손들 가운데 열거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해 왔다. (창 10:2, 4; 대첫 1:5, 7) 하지만 증거에 의하면, 페니키아 사람들은 키프로스에 비교적 늦게 왔고 키티온에 있는 그들의 식민지는 기껏해야 기원전 9세기경부터 존재하였다. 따라서 「신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영문, 1987년, 3권, 332면)은 키티온을 “키프로스에 있는 페니키아인의 주요 도시”라고 설명한 뒤에 이렇게 덧붙인다. “키티움에 있는 최초의 유적은 미케네 시대(주전 1400-1100년경)에 에게 해 지역에 세워진 식민지의 유적이다.”—또한 16권, 948면 참조.

키프로스 섬 외에 다른 지역들도 깃딤에 포함될 수 있다는 사실은 앞서 인용한 요세푸스의 말에 암시되어 있는데, 요세푸스는 깃딤이라는 히브리어의 용법에 지중해의 다른 섬들과 그 바다를 끼고 있는 국가들도 포함시켰다. 그리고 키프로스는 깃딤의 여러 지역 가운데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가까운 곳이었을 뿐이다. 이 점은 에스겔 27:6과 예레미야 2:10에서 깃딤의 ‘섬들’ 또는 “해안 지대”라는 표현을 사용한다는 사실로도 확증되는 듯하다. 일부 주석가들은 깃딤이 민수기 24:24에서도 그처럼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고 생각하는데, 그 구절에서 모세와 동시대에 살았던 예언자 발람은 “깃딤 해안에서 오는 배들”이 아시리아와 에벨을 괴롭히겠지만 그처럼 공격하던 쪽도 결국 망할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이 견해에 따른다면 그 공격은 마케도니아 해안 지역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 나라에서 나온 알렉산더 대왕은 “앗수르”(아시리아·바빌로니아) 땅과 메디아·페르시아 제국을 정복하였다. 그런가 하면 그 공격자들이 이탈리아의 지중해 연안 지대에서 나온 로마 사람들이라는 견해를 제시하는 사람들도 있다. 라틴어 「불가타」는 민수기 24:24에서 “깃딤” 대신에 “이탈리아”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온켈로스 타르굼에는 그 부분이 “로마 사람들”이라고 되어 있다. 그런데 경외서인 마카베오 1서(1:1, JB)에서는 마케도니아 땅을 가리키는 데 깃딤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티레에 대한 이사야의 선언 가운데서, 깃딤(키프로스일 것임)은 동쪽으로 가는 다시스 배들이 티레가 멸망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되는 곳이며, 또한 여호와께서는 “시돈의 처녀 딸”이 피난처를 찾으려고 “깃딤으로 건너가 보아”도 헛일일 것이라고 말씀하신다. (사 23:1, 11, 12) 이 내용은 이사야가 예언할 당시(기원전 778년경–732년 이후) 키프로스에 있던 페니키아 식민지들에 대한 역사적 증거와도 일치한다. 산헤립(센나케리브)의 한 비문은 아시리아의 공격으로 인해 시돈 왕 룰리가 이아드나나(키프로스) 섬으로 도망했다고 알려 준다. (「고대 근동 문헌」 Ancient Near Eastern Texts, J. 프리처드 편, 1974년, 287, 288면) 그와 비슷하게,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이 13년 동안 티레를 포위 공격했을 때 많은 티레 사람들이 키프로스에서 피난처를 찾으려고 했는데, 이것 역시 이사야의 선언의 성취였다.

마지막으로 깃딤이 (이 이름으로) 언급된 경우는 “북방 왕”과 “남방 왕” 사이의 경쟁에 관한 다니엘의 예언에서인데, 그 예언에서 “북방 왕”의 공격은 “깃딤의 배들”에 의해 좌절된다.—단 11:30. 키프로스 참조.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