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한 봉사
(sacred service)
하느님에 대한 숭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신성한 봉사의 직무 혹은 일.
히브리어 아바드의 기본 의미는 ‘섬기다’(창 14:4; 15:13; 29:15) 또는 ‘일을 하다’(출 34:21)이며 ‘경작하다’로 번역되기도 한다. (창 4:12; 신 28:39) 여호와 혹은 거짓 신들을 위하여 봉사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될 경우에 아바드는 숭배 혹은 신성한 봉사라는 의미를 함축한다. (출 10:26; 신 11:16) 그와 유사하게 그리스어 동사 라트류오도 봉사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 말은 하느님을 위해 봉사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었는데(마 4:10; 누 1:75; 2:37; 4:8; 행 7:7; 로 1:9; 빌 3:3; 디둘 1:3; 히 9:14; 12:28; 계 7:15; 22:3), 이를테면 신성한 곳 즉 성전에서 봉사하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히 8:5; 9:9; 10:2; 13:10) 또한 그 말은 피조물들을 위해 봉사하는 거짓 숭배와 관련해서도 사용된다. (행 7:42; 로 1:25)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라트레이아라는 명사는 오로지 하느님을 위해 봉사하는 일과 관련해서만 나온다. (요 16:2; 로 9:4; 12:1; 히 9:1, 6) 그 말은 그리스어 디아코니아와는 다른 말이다. 그 말도 “봉사의 직무, 봉사” 등을 의미하기는 하지만 일상적이고 평범한 세속적인 일 등의 신성하지 않은 일들과 관련해서 사용된다.
숭배 곧 신성한 봉사를 받기에 합당하신 유일한 분은 여호와 하느님이시다. (마 4:10; 누 4:8) 유대인들은 여호와 하느님과 특별한 계약 관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하느님의 영으로 출생한 아들들로서 그리고 “왕 겸 제사장” 반열의 성원들로서 신성한 봉사를 드리는 특권은 유대인들에게 돌아가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리스도 예수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특권을 상실하고 말았다. (로 9:3-5, 30-33; 베첫 2:4-10) 바리새인이었던 사울이 그리스도인이 되기 전에 그랬던 것처럼, 많은 사람은 자신들이 그리스도의 추종자들을 박해하는 것이야말로 하느님께 신성한 봉사를 드리는 것이라고 여겼다.—요 16:2; 행 26:9-11; 갈 1: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