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
(Soco[h]) [‘[나뭇]가지’라는 의미인 듯함]
1. 세펠라에 있었던 유다의 도시. 영어로는 두 가지(Soco, Socoh)로 표기된다. (수 15:20, 33, 35) 블레셋 사람들은 골리앗이 다윗과 대결하기 전, 소고에 자기들의 군대를 모은 다음 인근에 있는 에베스-담밈에 진을 쳤다. (삼첫 17:1) 여러 해 후에 이 소고는 르호보암이 방비를 강화한 도시들 가운데 하나였던 것 같다. (대둘 11:5-7. 하지만 이 성구는 2번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200여 년 후, 아하스 왕의 통치 때에 소고는 그 딸린 성읍들과 함께 블레셋 사람들에게 함락되었다. (대둘 28:16-18) 이곳은 아세가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4킬로미터 떨어진 엘라 저지 평야에 위치한 히르베트아바드(호르바트소코)의 유적지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성서에 나오는 이름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은 그곳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져 있는 히르베트슈웨이케인 것 같다.
2. 유다 산간 지방에 있던 도시인 소고(Socoh). (수 15:20, 48) 흔히 헤브론에서 남서쪽으로 약 17킬로미터 떨어진 히르베트슈웨이케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곳은 1번에 언급된 히르베트슈웨이케와는 다른 곳이다.
3. 솔로몬의 대리관 가운데 한 사람이 관할한 곳인 소고(Socoh). (왕첫 4:7, 10) 사마리아에서 서북서쪽으로 약 15킬로미터 떨어진 히르베트슈웨이케트에르라스는 이 소고가 있었던 장소로 제시되는 곳인데, 이 위치는 기록과도 부합되는 것으로 보인다. 아룹봇과 헤펠(열왕기의 기록에서 소고와 함께 언급된 곳들)이 있었던 곳으로 제시되고 있는 곳들이 그 인근에 있기 때문이다.
4. 유다의 족보에서 헤벨은 “소고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대첫 4:18) 소고는 헤벨의 자손 가운데 한 사람의 이름일 수 있으며, 혹은 이 성구가 헤벨이 소고라는 도시를 세운 사람이었거나 그곳 주민들의 시조였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옳다고 해도, 이 이름이 1번에 나오는 소고를 가리키는 것인지 아니면 2번에 나오는 소고를 가리키는 것인지를 확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