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소식을 전함—쉽게 만날 수 없는 사람들에게
1 여러 번 방문했어도 집에 없는 사람들을 직접 만나기 위하여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주간 중간이나 저녁 혹은 주말 등의 다른 때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그래도 집에 없다면 그 사람들과 직접 만나기 위하여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2 어떤 전도인들은 문패를 보고 집주인의 이름을 기록해 둔다. 그래서 그 이름을 전화 번호부에서 찾아보고 이치적인 시간에 전화하므로써 직접 대화하고자 애쓴다. 전화로써 지혜롭게, 여러 번 집에 찾아갔지만 만날 수 없었음을 설명하고 현 위험한 시기에 관하여 성서가 우리에게 알려 주고 있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써라도 그들을 만나보기 원한다고 설명하라. 좋은 판단력과 간결함이 대단히 중요하다.
3 만일 잡지를 남겨 놓고 왔었다면, 그에 관해 토론할 수 있다. 전화로써 간단하면서도 사려깊은 제공을 한다면, 훌륭한 결과를 낳게 할 것이며 그들이 집에 있을 때 만날 명확한 약속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단지 부재자 방문에서 뿐 아니라 출입이 어려운 아파트에서도 이 제안은 훌륭한 결과를 가져왔다.
4 우리가 여러 번 재방문해도 집 주인을 만나지 못한 때에도 재방문 약속을 하는 데 전화를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 자매는 이렇게 편지했다. “하루 오후에 저는 저의 재방문 기록을 다 꺼내서 한번 연구해 본 적이 있는 사람들이나 예약맡은 사람들 모두의 이름과 전화 번호의 명단을 만들었읍니다. 저는 전화를 해서 그들을 방문할 약속을 했읍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속을 지켰다. 이렇게 하여 그 자매는 야외 봉사에서 여러 건의 예약을 맡았다.
5 만일 집주인이 전화를 갖고 있지 않거나 혹은 전도인이 원한다면, 직접 만날 수 없었던 사람에게 단정히 쓴 편지를 보낼 수 있다. 병약하여 호별 방문 전도 봉사에 참여할 수 없는 어떤 전도인들은 다른 전도인들이 작성한 부재자에게 편지를 쓰는 훌륭한 일을 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전도인들은 환경상 일시적으로 집안에 갇혀 있게 될 때, 그러한 편지를 쓴다.
6 이러한 제안을 최대한으로 이용함으로써 우리가 쉽게 만날 수 없는 많은 사람들에게 증거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