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도움 (제4부): 성서 연구를 시작하기 위하여
1 여호와와 그분의 목적에 관하여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는 일은 그분에 대한, 그리고 우리가 가르치는 자들에 대한 사랑의 표현이다. 노소를 막론하고, 경험 유무를 막론하고 우리는 배운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기꺼이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때때로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으면 좋으련만”, ‘왜 그런지 나는 관심자를 찾을 수는 있어도 연구를 시작할 수 없을 것 같아요’ 하고 말하는 것을 듣는다. 당신은 봉사에서나 비공식적으로 여호와를 알고자 성서를 더 깊히 토론하는 일에 호응하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이야기해 본 적이 있는가? 만일 당신이 관심자를 계속 자라게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면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가? 반면에 당신은 연구가 될 만한 재방문이 없을 수 있다. 당신이 연구를 한건 갖고자 한다면 당신은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가?
2 우선, 회중내의 서적 연구 집단에는 당신이 연구를 시작하도록 도울 수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당신이 맨 먼저 해야할 단계는 다른 사회자들과 더불어 현재 성서 연구 사업을 감독하고 있는 연구 사회자에게 말하는 것이다. 그는 당신을 개인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마 그는 얼마 동안 도움을 베풀기 위하여 누군가 경험있는 사람이 당신을 돕도록 부탁할 것이다. 두 사람은 함께 한건의 성서 연구를 마련할 목표를 가지고 재방문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자 할 것이다. 두 사람은 접근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가정 성서 연구 마련을 설명하고 서적으로 바로 들어갈 것인가? 아니면 좀더 성서로 요점들을 토론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3 당신이 간행물을 직접 사용하든지 성서만을 사용하든지간에 당신과 당신의 짝은 관심자가 자신의 성서에서 성귀들을 찾도록 돕는 방법을 연습할 수 있다. 당신의 봉사 짝이 그 방문을 다루고, 당신은 돕는 일을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함께 준비한 후 당신이 그 방문을 다루고, 당신의 짝은 어떻게 다루었는지에 대한 그의 의견을 말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4 당신의 목표가 연구를 시작하는 것이지만 얼마나 오래 머무를 것인지 또는 얼마나 내용을 다룰 것인지에 대하여 분별력을 사용하라. 그 사람의 관심에 유의하라. 대개 관심자가 토론된 바를 흡수하게 하고 그 후 방문하여 다른 성귀들이나 항들을 토론하는 것이 최선책이다.
5 다음 방문을 위하여 그 사람과 토론할 성귀들이나 항들을 함께 준비하라. 만일 당신의 짝이 그 연구를 몇번 사회해 주기로 하였다면, 당신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함께 계획하라. 당신은 선택된 주요 성귀들을 낭독하고 집주인이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 당신이 집주인과 연구를 사회한다면 당신의 짝은 부가적인 질문을 하는 적절한 때, 그 연구를 생기있게 다루는 방법, 다음 연구에 맛을 당기게 하는 방법 그리고 조직으로 관심자를 인도하는 것 등에 대한 도움이 되는 제안들을 해 줄 수 있다.
6 회중 서적 연구 마련을 통하여 서로 도움으로써 당신도 정규적인 성서 연구를 사회하는 기쁨을 갖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