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에게 도움을 베품
1 우리 대부분은 우리가 친구들이나 식구들로부터 도움을 받은 때를 생생하게 기억한다. 우리는 그들이 우리가 필요할 때 도움을 베푼 것에 대해 감사한다. 동료 그리스도인들에게 도움을 베푸는 일은 우리에게 요구된 의무이다.—요한 3서 5-8.
2 우리는 이제 무활동이 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일치된 노력을 베풀 것을 2월에 알게 되었을 때, 즐거워하였다. 이 점과 관련해서, 만일 당신이 무활동자들을 방문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면, 그들을 방문하여 최근호 「파수대」로부터 적절한 한 기사를 함께 읽도록 마련하라. 그런 다음, 당신은 봉사 감독자의 인도에 협조하여 그런 사람들과 정기적인 연구를 사회해 달라는 부탁을 받을지 모른다. 그러나 어떻게 이들 연구를 사회하는 일에 착수해야 하는가?
연구의 목적
3 무활동자와 성서 연구를 사회하는 우리의 주된 목적은 그를 도와 그가 영적 힘을 되찾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그가 여호와께서 그에 대한 사랑에 찬 관심에서 자신의 조직을 통해 이런 특별한 도움을 마련하셨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돕기 원한다. 지속적인 성과는 오직 여호와와 그 사람과의 관계를 강화시킬 때만 달성될 것이다. 이렇게 할 때 여호와의 조직에 대한 그의 인식이 새로와짐으로써 그 점이 분명해질 것이다.
4 우리가 이 특별한 계획에서 함께 연구하게 될 사람들은 여호와의 증인으로 이미 침례를 받은 사람들이다. 대부분의 경우 연구는 「진리」 책으로 사회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아마 기본적인 성서 교리들을 알고 있을 것이다.
5 장로들은 당신이 돕도록 부탁받은 사람을 돕기 위해 어떤 출판물이 가장 좋은지를 당신과 함께 논의할 것이다. 아마 여호와의 조직에 대한 그의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을지 모른다. 장로들은 「당신의 왕국이 임하게 하옵소서」나, 필요한 도움과 격려를 줄 어떤 다른 서적을 사용할 것을 제안할지 모른다.
연구를 사회함
6 틀림없이 당신은 당신이 맨 처음 성서 연구를 사회했던 때를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성서 연구를 잘 준비할 필요를 느꼈을 것이다. 그 후 당신이 아무리 많은 연구를 사회하였든지 간에, 당신은 사전에 철저히 준비할 때 더 나은 사회를 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잠언 25:11) 이것은 무활동인 형제나 자매들과의 연구를 사회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바울은 그의 동료 봉사자인 디도에게 그리스도인들이 “모든 선한 일 행하기를 예비”할 것을 계속 생각나게 하라고 권고하였다. (디도 3:1) 이 말씀은 정신적인 준비를 하고 그러한 임명을 다룰 자세를 갖출 것을 제안한다.
7 예수 그리스도께서 종종 보여 주셨던 것처럼, 질문은 특히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된다. (누가 10:36) 인쇄된 질문을 사용할 때, 우리는 가르치기를 원해야 하며 단순히 출판물들로부터 답을 읽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아야 한다. 생각을 자극하기 위한 부가적인 질문을 하고 그 사람이 대답을 자신의 말로 하게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유도 질문이나 견해 질문들이 이렇게 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8 무활동이 된 일부 우리의 형제들이 실제로 이들 성서 연구로 도움을 받아 또 다시 왕국 소식을 멀리 그리고 널리 전하는 일에 우리와 함께 하는 것을 보게 되는 것은 참으로 축복이 될 것이다! 특히 우리가 개인적으로 그들을 도울 수 있었을 때, 그들의 영적 진보를 보고 우리는 참으로 기쁨에 넘칠 것이다. 아마 우리는 잃어버린 한 마리 양을 찾은 사람처럼 느낄 것이다. 예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만일 찾으면 길을 잃지 아니한 아흔 아홉 마리보다 이것을 더 기뻐하리라.”—마태 18: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