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 연구를 사회하려고 해야 할 이유
1 그리스도인으로서 가장 보람있는 경험 중 하나는 여호와께 사용되어,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도록 다른 사람을 돕는 것이다. (마태 28:19, 20; 고린도 전 3:6, 9) 그렇게 도움을 베푼 사람들에게, 그것은 영원한 생명을 의미할 수 있다.
2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 사이에는 대단히 친밀한 관계가 생긴다. 연구생의 영적 성장은 진실로 커다란 즐거움의 원천이 된다. (데살로니가 전 2:11, 19, 20) 그러므로, 각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가족 외의 다른 사람과의 가정 성서 연구를 적어도 한 건 사회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물론, 각 가장의 책임은 가족과의 의미있는 성서 연구를 정기적으로 사회하는 것이다. 아버지가 믿지 않는 가정에서는, 그리스도인 어머니가 자녀와 성서 연구를 할 적절한 마련을 해야 할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기도하라
3 우리는 지금 이 마지막 때에 깊숙이 들어와 있기 때문에, 모두는 성서 연구를 효과적으로 사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점에 관해서 여호와께 정기적으로 기도하는 것은 성서 연구를 사회하기를 진실로 열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그것은 생사의 문제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함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에스겔 33:7-9, 14-16) 우리는 성실한 노력을 여호와께서 축복하여 주실 것임을 확신할 수 있다.—요한 1서 5:14, 15.
4 제자를 삼는 일에 효과적이 되기 위해서는, 잘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성서 연구를 능숙하게 사회하는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는 것도 대단히 도움이 된다. 앞으로 여러 달 동안, 우리는 여행하는 감독자와 제자를 성공적으로 삼아 온 그외 전도인들의 제안을 전달하고자 한다. 일련의 기사에서 성서 연구를 시작하고 생산적으로 사회하는 방법에 관한 실용적인 의견 얼마를 특별히 다룰 것이다.
앞으로 나올 기사들
5 앞으로 발행될 「우리의 왕국 봉사」에서 고려하게 될 의견들 중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여러 전도인과 파이오니아들이 성서 연구를 시작해 온 방법과 연구생의 마음에 감동을 주기 위해 사용해 온 가르치는 방법에 관하여 토의할 것이다. 또한 여호와의 조직에 대한 인식을 세워나가며 야외 봉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망을 배양하는 일에 관한 제안들도 알려 줄 것이다. 자녀들이 여호와와 친밀한 개인적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도록 가족 성서 연구를 보다 의미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제안도 하게 될 것이다.
6 지난 4년간의 봉사년도 중에, 전세계적으로 95만 9834명이 침례를 받았으며, 그중 2만 480명은 한국의 여러 회중에 소속된 사람이다. 이 사람들의 절대 다수는 성서 연구를 사회한 누군가의 도움을 받음으로써 침례를 받게 되었다. 기념식 및 지역 대회 참석자 수를 보면 침례를 받도록 발전하게 도와야 할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는 사실을 지적해 준다. 그러한 사람들과 성서 연구를 시작하고 사회하기 위하여 계속 노력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이 제자가 되어서 결국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도울 수 있을 것이다.—디모데 전 6: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