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성서 연구를 통하여 마음을 감동시키라
1 예수께서는 아버지의 뜻을 행하는 일에서 즐거움을 발견하셨으며, 다른 사람들도 여호와를 섬기도록 돕는 일을 하기를 좋아하셨다. (시 40:8; 마태 9:37, 38; 11:28-30) 예수께서는 단순히 소식을 전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으셨다.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복음 전파 활동에 가담하도록 격려하는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반드시 성서 연구생들의 마음을 감동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하는 일에는 출판물에 대한 문답식 토의를 사회하는 것 이상이 요구된다. 마음을 감동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생을 염두에 두고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2 예수께서는 다른 사람들에게 개인적 관심을 가지셨다. 그분은 다른 사람들의 견해를 고려하셨다. 어려운 제목들을 쉽게 하기 위해 예들을 사용하셨다. (마태 5-7장) 예수께서는 사람들이 직면하는 문제들을 알아내시고 적절한 교훈을 하셨다. (마가 9:33-37) 그분의 말씀을 듣던 사람들이 처음에 가르침의 요점을 파악하지 못했을 때는, 말씀하고자 한 내용을 참을성 있게 설명하여 명확히 해주셨다. (마태 16:5-12) 다른 사람들에 대한 예수의 깊은 관심은 우리로 다음과 같이 자문하도록 감동을 준다. ‘내가 연구생이라면, 배우고 있는 바를 이해하고 감동받으려면 무엇을 알지 않으면 안 되는가?’—참조 1971년 「연감」(영문) 246-7면.
성서를 강조하라
3 한 부부는 무엇이 그들로 증거받은 소식에 그처럼 신속히 호응하게 하였는지를 질문받았을 때, “성서에 들어 있는 내용이었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렇다. 하나님의 말씀은 마음을 감동시킨다. (히브리 4:12) 항에 있는 성구들을 자주 참조하고, 자유롭게 많이 사용하라. 특정한 행로가 현명하거나 어리석은 이유를 연구생이 이해하도록 도우라. 하나님의 법에 순종하는 것이 어떻게 자신에게 유익이 되는지 그와 함께 추리하라.—참조 「파수대」 1984년 11월 1일 호 19-20면.
4 많은 전도인은 「추리」 책을 사용하는 것이 성서를 강조하는 데 대단히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영원히 살 수 있다」 책 124면 13항을 고려할 때, 집주인은 어린이들이 죽는 것은 하나님께서 하늘에서 그들과 함께 있기를 원하시기 때문이라고 교직자가 말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물을지 모른다. 「추리」 책 359면의 “아기들이 죽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하의 내용을 고려해 보면 그 내용은 가정 마련을 보존하시는 일에 대해 가지고 계신 여호와의 관심을 강조한다. 그러한 지식은 그 사람에게 인류에 대한 여호와의 사랑을 확신시켜 줄 것이다.
질문을 하라
5 예수께서는 질문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심으로 사람들로 생각하고 추리하게 도우셨다. (마태 17:24-27) 연구생의 대답은 그가 배우고 있는 점이 무엇이고 아직도 간직하고 있는 비성경적 견해가 무엇인지 분별하는 데 우리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아마 연구생이 흡연 습관과 싸우고 있을지 모른다. 당신은 「영원히 살 수 있다」 책 27장의 내용과 「깰 때이다」 1989년 7월 15일 호 13-16면의 내용을 검토하여 보았다. 그는 끊어야 할 필요성을 이해한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습관으로부터 벗어나야 함을 진실로 확신하는가?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금 당장 끊으려 하지만 몇몇 친구로부터 놀림당할 것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6 하지만,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일이 있다. 때때로 그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당신을 놀라게 하거나 실망하게 할지 모른다. 그럴 때, 어떻게 할 것인가? 문제가 민감한 것이라면, 문제를 무리하게 다룰 것이 아니라 이렇게 말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지금은 그냥 넘어갑시다. 나중에 이 문제를 다시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혹은 “글쎄요, 좀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지요?”라고 말할 수 있다. (요한 16:12) 연구생이 그 문제에 관해 실제로 어떻게 생각하는지 앎으로써, 우리는 그가 한층 더 발전하도록 도와 줄 자료를 준비할 수 있다. 우리는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키고자 노력해야 하며 연구생이 영적으로 자라도록 여호와께서 도와 주시기를 기도해야 한다.—고린도 전 3:5-9.
7 성서 연구를 사회할 때, 고려하고 있는 내용을 연구생과 추리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내야 함을 항상 기억할 것이다. 우리의 가르치는 방식을 연구생의 특정한 필요에 맞도록 조정하라. 연구생의 마음에 여호와, 성서 그리고 여호와의 조직에 대한 깊은 사랑과 존경심을 심어 주도록 노력할 것이다. 성서 연구를 효과적으로 사회하려고 힘써 노력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게 다른 사람들을 돕는 일에서 우리가 할 일을 다하기 바란다.—사도 2: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