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성서 연구를 사회함
1 가정 성서 연구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회할 수 있는가? 어떠한 기본적인 본보기가 있는가? 연구 내용에 있는 성구들을 어떻게 고려할 수 있는가? 누가 항을 읽어야 하는가? 연구를 사회하는 기본 절차에 더하여, 연구생이 진리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게 도우려면 무엇이 더 필요한가? 무슨 함정들을 피해야 하는가?
2 연구를 사회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말해서, 가정 성서 연구는 「파수대」 연구 방식을 따른다. 우선, 고려할 항을 읽는다. 그리고 나서 연구를 사회하는 사람은 그 항의 인쇄된 질문을 하여 연구생이 대답하게 한다. 만일 연구생이 머뭇거린다면, 사회자는 연구생이 주제에 대해 추리하고 적절한 결론에 도달하게 해주는 유도 질문을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3 성구가 항의 내용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고려하라. 연구생에게 인용된 성구가 어떤 것인지 알아내는 방법을 보여 주고, 그 성구가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관해 함께 추리해 보라. 만일 성구가 참조되었지만 인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성구가 너무 길지 않다면 성서에서 찾아보는 것이 좋다. 그 다음 연구생이 성구를 낭독하게 하고, 항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성구가 어떻게 지지하는지, 즉 명백히 밝히는지에 관해 해설하게 하라.
4 연구생이 진리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도록 도우라: 연구생이 연구를 위해 잘 준비하도록 격려하라. 배우기 위해서는 읽는 것이 필수적임을 강조하라. 연구생이 연구 내용을 더 많이 읽고 묵상할수록 더 좋다. 일부 사회자들은 성서 연구를 하는 동안 연구생에게 모든 항을 다 읽도록 한다. 연구생과 교대로 항을 읽는 사회자들도 있다. 연구생의 영적인 진보를 염두에 두고 훌륭한 판단력을 사용해야 한다.
5 연구 내용을 학구적인 방법으로 다루는 것은 연구생이 지식을 얻는 데 도움이 될 수는 있다. 하지만, 연구생은 자기가 배우고 있는 내용을 믿는가? 연구생이 진리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면, 내용이 자기에게 개인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그는 자기가 배우는 것에 관하여 어떻게 느끼는가? 그는 배운 것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가? 연구생의 마음을 감동시키기 위해 탐색적인 질문을 사용하라.
6 함정을 피하라: 성서 연구를 사회하면서 피해야 할 함정이 있다. 고려중인 내용과 관련이 없는 제목이 거론된다면, 보통 연구를 마칠 때나 다른 기회에 그 점에 관해 토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아울러 중요한 점은, 연구생이 책에서 답을 읽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말로 대답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사회자인 당신이, 연구생이 배우는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7 적어도 한 건의 성서 연구를 사회하겠다는 목표를 세워 보는 것은 어떠한가? 여호와께 의지하고 「파수대」 연구의 기본 절차를 따른다면, 성서 연구를 사회하는 일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다른 사람에게 진리를 가르치고 제자를 삼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가정 성서 연구를 사회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 당신도 마태 복음 28:19, 20에 있는 예수의 명령을 수행하는 데 온전히 참여함으로써 오는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