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함
◼ 어떤 집주인이 여호와의 증인에게 더 이상 자기 집을 방문하지 말라고 단호하게 말할 때 어떻게 문제들을 다루어야 하는가?
종교적 성격의 방문이나 구체적으로 여호와의 증인을 언급하면서 방문을 절대 금한다는 표지가 문에 붙어 있는 것을 보게 될 때, 집주인의 의사를 존중하여 문을 두드리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때때로 외판원이나 기부금 모금자의 출입을 금하는 표지를 보게 된다. 우리는 종교적 자선 활동을 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표지는 우리에게 적용되지 않는다. 주저하지 말고 그 문을 두드리는 것이 적절하다. 집주인이 항의한다면, 재치있게 그러한 표지가 우리의 경우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그때 집주인이 출입 금지 대상에는 여호와의 증인도 포함된다고 분명히 말한다면, 그의 의사를 존중할 것이다.
몇 차례 어떤 집을 방문했는데, 그 때마다 집주인이 눈에 띄게 화가 나서 다시는 방문하지 말라고 단호하게 요구할지 모른다. 우리는 그러한 요구를 들어 주어야 한다. 날짜가 명시된 기록을 구역 봉투에 넣어 둠으로, 앞으로 그 구역을 봉사하는 전도인이 그 집을 방문하지 않게 할 것이다.
하지만 그런 집들을 무한정 제외해서는 안 됨을 명심해야 한다. 현재의 거주자가 이사갈지도 모른다. 호의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다른 가족 성원을 만날지 모른다. 우리와 이야기한 집주인의 마음이 변하여 우리가 방문하는 것을 기꺼이 받아들일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얼마 후에, 거주자들에게 심경의 변화가 있는지 재치있게 알아보아야 한다.
일년에 한 번씩 구역철을 검토하면서 방문하지 말라고 통고받은 집의 목록을 작성해야 한다. 봉사 감독자의 인도 아래, 그러한 집을 방문하도록 아주 재치있고 경험이 있는 전도인들을 임명할 수 있다. 같은 집주인이 여전히 그 곳에 살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방문하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 전도인은 「추리」 책 15-24면의 “대화를 중단하려는 사람들에게 응답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내용에 익숙해 있어야 한다. 이치적인 반응이 있으면, 앞으로는 평상시대로 방문할 것이다. 집주인이 계속 적의를 나타낸다면, 그 다음 해까지 더는 방문하지 않을 것이다. 특수한 경우의 상황들을 달리 다루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면 그 문제를 지방 장로의 회가 결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