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요한복음 5:2
    신세계역 성경
    • 2 예루살렘의 ‘양 문’+ 곁에는 히브리어로 벳사다라고 하는 못이 있는데 그곳에는 주랑* 다섯이 있었다.

  • 요한복음 5:2
    신세계역 성경
    • 2⁠ 예루살렘의 양문+ 곁에는 히브리어로 벳사다라고 하는 못이 있고 거기에는 주랑 다섯이 있다.

  • 요한복음 5:2
    성경전서 개역한글판
    • 2 예루살렘에 있는 양문 곁에 히브리 말로 베데스다라 하는 못이 있는데 거기 행각 다섯이 있고

  • 요한복음
    워치 타워 출판물 색인 1986-2025
    • 5:2 통-1 709, 878-879; 통-2 542; 좋 30-31; 파88 9/1 31

  • 요한복음
    여호와의 증인을 위한 연구 자료 찾아보기—2019
    • 5:2

      「통찰」 제1권 709, 878-879면

      「통찰」 제2권 542면

      「‘좋은 땅’」 30-31면

      「파수대」

      1988/9/1, 31면

  • 요한복음 연구 노트—5장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5:2

      히브리어: 영감받은 성경 필자들은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유대인들이 사용한 언어를 가리켜 “히브리어”라고 불렀다. (요 19:13, 17, 20; 행 21:40; 22:2; 계 9:11; 16:16) 또한 부활되어 영광스럽게 되신 예수께서 타르수스의 사울에게 말씀하실 때 사용하신 언어도 “히브리어”라고 언급한다. (행 26:14, 15) 행 6:1에서는 “히브리어를 하는 유대인들”과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을 구별하여 언급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 구절들에서 “히브리어”라고 번역된 표현이 “아람어”라고 번역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 표현이 실제로 히브리어를 가리킨다고 생각할 만한 타당한 근거가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누가는 바울이 예루살렘 사람들에게 “히브리어로” 연설했다고 기록했다. 당시 바울의 연설을 듣던 사람들은 히브리어로 된 모세 율법을 연구하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던 사람들이었다. 또한 사해 문서를 구성하는 많은 단편과 사본들 가운데 대다수는 히브리어로 기록되어 있다. 그처럼 많은 성경 기록물과 성경 이외의 기록물이 히브리어로 되어 있다는 사실은 당시 히브리어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었다는 점을 보여 준다. 아람어로 된 단편들도 일부 발견된 점으로 보아 두 가지 언어가 모두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경 필자들이 “히브리어”라는 표현을 아람어나 시리아어라는 의미로 사용했을 가능성은 매우 적은 것 같다. (행 21:40; 22:2. 행 26:14 비교) 일찍이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아람어”와 “유대인의 언어”를 구분하여 언급했다. (왕하 18:26) 또한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왕하 18:26의 내용을 이야기할 때 “아람어”와 “히브리어”를 별개의 언어로 언급했다. (「유대 고대사」[Jewish Antiquities], X, 8 [i, 2]) 히브리어에 아람어와 상당히 비슷한 단어들이 있으며 아람어에서 들어온 것으로 보이는 단어들도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의 필자들이 아람어를 가리켜 히브리어라고 할 이유는 없는 것 같다.

      벳사다: “올리브의 집”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이름. 일부 사본에는 이 못의 이름이 “베데스다”로 되어 있는데, 아마도 “자비의 집”이라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가 하면 “사냥꾼[또는 어부]의 집”을 의미하는 “벳새다”로 되어 있는 사본들도 있다.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벳사다라는 이름을 선호한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