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3 1/1 26-27면
  • “일용할 빵”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일용할 빵”
  • 깨어라!—1993
  • 비슷한 자료
  • 생명의 빵을 맛보았습니까?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14
  • 빵
    성경 통찰, 제1권
  • 우리에게 일용할 ‘빵’을 주옵소서
    깨어라!—1973
  • 우리가 먹는 빵
    깨어라!—1976
더 보기
깨어라!—1993
깨93 1/1 26-27면

“일용할 빵”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빵”, 「제임스 왕역」]을 주옵[소서].” 지금까지 가장 잘 알려진 기도—이른바 주기도문—의 일부인 이 말씀을 틀림없이 알고 있을 것이다. (마태 6:9, 11) 예수 당시에, 빵은 이스라엘 사람들의 주식이었으므로, 육적 양식의 상징으로 사용하기에 아주 적합하였다.

오늘날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빵은 더 이상 과거처럼 식단을 좌우하지는 않는다. 오늘날 문자적인 일용할 빵은 흔히 식사에 곁들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빵은 전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생활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멕시코의 주부들은 토르티야라고 하는 얇은 빵을 만든다. 에티오피아의 여자들은 걸쭉한 액체를 뜨거운 번철에 둥그렇게 부어 단순한 빵을 만든다. 서구 나라들에서는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빵을 대량 생산한다. 그리고 그 지역의 많은 주부들은 여전히 집에서 구운 갖가지 빵으로 가족들을 즐겁게 한다.

오븐에서 갓 구어 낸 빵 냄새를 맡고 식욕이 동하지 않을 사람이 누구이겠는가? 행인들은 빵 냄새를 맡고 빵 가게로 발길을 돌리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에게 빵 냄새는 고향의 훈훈한 추억과 어린 시절의 포근함을 떠올리게 한다.

빵 만드는 기술을 누가 발명하였는지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창세기 3:19을 보면, 범죄한 첫 인간 부부는 “네가 얼굴에 땀이 흘러야 식물[“빵”, 「신세」]을 먹고 필경은 흙으로 돌아 가리”라는 말을 들었다. 분명히, 이 구절에서 “빵”이란 말은 단지 일반적인 양식의 상징으로 사용된 것 같다. 그러나 창세기 14:18, 19에는, 제사장 멜기세덱이 족장 아브라함을 축복하기 위해 나올 때, “떡[“빵”, 「신세」]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의심할 바 없이 고대인들의 주식으로 사용된 일종의 빵을 언급한 것이었다. 일부 중동 지역에서는 여전히 빵이 주식이다.

고대 이집트에는 상업적으로 빵 굽는 사람이 있었으며, 나중에 그리스나 로마와 같은 나라들에도 그러하였다. 19세기 말엽, 산업 혁명이 한창 진행중이었다. 빵 만드는 일이 가정에서 공장으로 이전되어 대량으로 생산하게 되었다. 여러 가지 새로운 발명품들—교반기, 체인 컨베이어, 자동 제빵기 그리고 빵을 썰고 포장하는 기계—은 대량 생산에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되었다. 빵 굽는 기술은 가정의 차원에서 상업적인 과학의 차원으로 발전되었다.

오늘날 산업화된 나라들에서 소비되는 빵 중, 대부분은 아니라 해도, 상당량이 상업적으로 생산된다. 그리고 빵은 여전히 여러 문화권의 요리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겉이 딱딱한 이탈리아식 빵이 없다면 스파게티 식사가 어떠할 것인가? 또는 영양가 높은 독일식 자우어크라우트 요리에 거무스름하고 잘 씹히지 않는 호밀빵이 없다고 생각하여 보라! 추운 겨울 아침에 팬케이크를 싫다 할 사람이 누구이겠는가? 팬케이크는 프라이팬에 속히 구어 낸 빵인데, 옥수수가루나 통밀가루 또는 메밀가루로 만든다.

서구에서 아주 인기 있는 한 가지 빵은 이탈리아식 피자에 쓰이는 빵이다. 만드는 광경을 보는 것도 재미있다. 심지어는 어른들도 피자 요리사가 서커스 단원 같은 재간을 부리면서 음반 모양의 밀가루 반죽을 머리 위로 빙글빙글 돌리는 광경을 아이들처럼 신기한 눈으로 바라본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빵도 다른가? 물론 그렇다! 그래서 아마도 맛있게 빵을 먹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손수 구워 보는 것이다. 이렇게 직접 만들어 보는 데서 맛볼 수 있는 만족감에 놀랄지 모른다. 그리고 주부라면 그 일을 통해서 세탁일에선 얻을 수 없는 창조적 성취감을 맛볼 수 있다.

이 지면에 실린 빵 만드는 법은 서구에서 인기 있는, 이스트로 부풀린 빵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재료들의 양을 가늠하고 섞는 것도 재미있다. 반죽을 이기는 일은 온갖 실망의 건전한 배출구가 될 수 있다! 빵이 부풀어오르는 것을 보는 것은 빵 만드는 일의 또 다른 매력 있는 면이다. 빵은 발효되기 때문에 부풀어오른다. 이스트를 반죽에 넣으면, 이산화탄소 기포가 발생하여, 반죽에 구멍들이 많이 생기게 된다. 이제 반죽을 치대어, 빵덩어리로 만든 다음, 굽기 전에 빵 틀에서 다시 부풀린다. 오븐 속에 그 덩어리를 넣는다. 집안이 얼마나 맛있는 냄새로 진동하는가! 무엇보다도 좋은 것은 맛을 보는 일이다. 이전처럼 가게에서 빵을 사먹기가 내키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일단 빵 만드는 요령을 터득하고 나면 밀, 보리, 호밀, 옥수수, 쌀, 감자 또는 콩과 같은 여러 가지 가루로 시험해 보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있다.

팔려고 만든 가지각색의 빵 중에서 그냥 사먹는 것이 더 편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빵을 굽는 데서 즐거움을 얻든, 먹는 데서 즐거움을 얻든 간에, 빵이 주식이든, 부식에 불과하든 간에, 빵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을 나타내지 않도록 하라. “일용할 빵” 즉 양식을 주시는 분은 바로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27면 네모와 삽화]

빵 만드는 법

따뜻한 물 네 컵에 이스트 한 조각(또는 분말 이스트 세 봉지)을 녹인다

밀가루(통밀가루 또는 정백밀가루) 다섯 컵을 넣고 휘젓는다

따뜻한 곳에서 부피가 배가 될 때까지 부풀린다

찻숟가락으로 소금 두 술, 설탕 2분의 1컵, 식물성 쇼트닝 2분의 1컵을 넣는다

잘 섞는다

반죽이 굳어지도록 밀가루를 네 컵 정도 더 넣는다

반죽 겉에 밀가루를 뿌리면서 15분 간 반죽을 이긴다

기름칠을 한 오목한 그릇에 놓고 부피가 배가 될 때까지 부풀린다

가볍게 반죽을 이긴 다음 네 덩어리로 만든다

기름칠을 한 빵 틀에 놓고 몇 분 간 부풀린다

섭씨 163도에서 한 시간 동안 굽는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