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질적 수혈 대용 요법
    피—어떻게 생명을 구할 수 있는가?
    • 수술을 원함—그러나 수혈 없이

      오늘날 많은 사람이 수혈을 받지 않으려고 한다. 그런 사람들은 건강상의 이유 때문에 거절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여호와의 증인이 주로 종교적인 근거로 찾는 것 곧 비혈액 대용 처방을 사용하는 질적 치료를 요구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수술도 가능하다. 만일 의심이 가시지 않는다면, 의학 문헌에 나오는 얼마의 다른 증거들이 의심을 사라지게 할 것이다.

      “여호와의 증인 신자에 대한 사중 대관절 대치 수술”이란 기사(「정형외과학 평론」[Orthopaedic Review], 1986년 8월)는 “양쪽 무릎과 고관절부가 심하게 손상된” 한 빈혈 환자에 관해 알려 주었다. 단계적으로 행해진 그 수술을 전후하여 철덱스트란이 사용되었는데, 수술은 성공적이었다. 「영국 마취 저널」(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982년)은 헤모글로빈치가 10미만인 어느 52세 된 여호와의 증인 여자에 관해 보도하였다. 실혈을 극소화하기 위해 저혈압 마취법을 사용하면서, 환자의 고관절부 전대치 및 견갑골 대치 수술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칸소 대학교(미국)의 한 수술팀은 이 방법을 사용하여 여호와의 증인에 대해 백 건의 고관절부 대치 수술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환자가 회복되었다. 그 팀의 책임 교수는 이렇게 논평한다. “우리는 그(여호와의 증인) 환자들을 통해 배운 것을, 지금은 고관절부 전대치 수술을 받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한다.”

      일부 여호와의 증인의 양심은 피를 사용하지 않는 한 기관 이식을 받는 것을 허락한다. 13건의 신장 이식에 관한 한 보도는 이렇게 결론 내렸다. “전반적인 결과는 신장 이식술이 대부분의 여호와의 증인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식술」[Transplantation], 1988년 6월) 그와 마찬가지로, 수혈을 거절하는 것은 성공적인 심장 이식에도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른 형태의 무혈 수술은 어떠한가?’하고 묻는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메디컬 핫라인」(1983년 4/5월)은 “[미국, 웨인 주립 대학교에서] 수혈 없이 산부인과 대수술을 받은 여호와의 증인”의 수술에 관해 알려 주었다. 그 회보는 “수혈을 받으면서 비슷한 수술을 받은 여자들에 비해 사망 및 합병증이 결코 더 많지 않았다”고 보도하였다. 그리고 나서 그 회보는 이렇게 논평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산부인과 수술을 받는 모든 여자에 대한 피의 사용과 관련하여 새로운 견해를 가질 만한 타당한 이유가 될 것이다.”

      괴팅겐 대학 병원(독일)에서는 수혈을 거절한 30명의 환자가 일반 외과 수술을 받았다. “수혈을 받은 환자들에게 생기지 않는 합병증은 그들에게도 전혀 생기지 않았다. ·⁠·⁠· 수혈을 할 수 없다는 점을 너무 문제시해서는 안 되며, 따라서 수술이 꼭 필요하고 외과적으로 타당한 것일 때는 수술을 거절해서는 안 된다.”—「리시코 인 데어 히루르기」, 1987년.

      심지어 뇌 수술도 많은 어른과 어린이에 대해 수혈 없이 실시되었다. 일례로, 뉴욕 대학교 메디컬 센터를 들 수 있다. 1989년에 신경외과 과장인 조지프 랜소호프 박사는 이렇게 기술하였다. “매우 분명한 사실은 대부분의 경우에 종교적 신조 때문에 혈액 제제의 사용을 반대하는 환자들에게 그러한 제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며 별로 위험하지도 않다는 점이다. 신속하게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수술을 마칠 수 있는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상당히 흥미 있는 사실은 그 환자들이 퇴원하면서 자신들의 종교적 신념을 존중해 주어서 고맙다는 말을 할 때까지 그들이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것을 까맣게 잊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는 점이다.”

      끝으로, 복잡한 심장 혈관 수술도 수혈 없이 어른과 어린이에게 실시할 수 있는가? 덴턴 A. 쿨리 박사는 바로 그 분야의 개척자였다. 부록 27-9면에 전재한 의학 기사에서 볼 수 있듯이, 이전의 분석에 근거하여 쿨리 박사가 내린 결론은 “여호와의 증인 환자들의 수술 위험성은 다른 사람들의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지 않았다”는 것이다. 쿨리 박사는 이제 그 수술을 1106회나 실시한 후에, “어떤 경우에도 내가 환자와 합의한 것이나 계약한 것은 그대로 지켜진다”고, 다시 말해서 수혈을 하지 않는다고 기술한다.

      외과 의사들은 좋은 태도가 여호와의 증인의 또 다른 특징이라고 말한다. 쿨리 박사는 1989년 10월에 이렇게 기술하였다. “이 환자들의 태도는 본이 된다. 그들에게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이나 심지어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없다. 그들에게는 자신의 신앙과 자신의 하나님에 대한 깊고 변함없는 믿음이 있다.”

      이 말은 그들이 죽을 권리를 주장한다는 뜻이 아니다. 그들은 회복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질적 치료를 찾는다. 그들은 피에 관한 하나님의 법에 순종하는 것이 지혜로운 일임을 확신하며, 그 견해는 무혈 수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독일) 외과 병원 교수인 V. 슐로서 박사는 이렇게 지적하였다. “이 그룹의 환자들 가운데 수술 전후 기간의 출혈 빈도는 높지 않았으며, 합병증은 설령 있다 하더라도 얼마 되지 않았다. 여호와의 증인의 특징을 잘 나타내 주는, 병에 대한 독특한 견해는 수술 전후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헤르츠 크라이슬라우프」, 1987년 8월.

  • 본인에게 선택의 권리가 있다
    피—어떻게 생명을 구할 수 있는가?
    • 본인에게 선택의 권리가 있다

      요즈음의 의학 접근법(위험성/유익성 분석법으로 불림)은 수혈 요법을 피하는 일에서 의사와 환자가 협조하는 것을 더 쉽게 해준다. 의사는 특정한 약이나 수술의 위험성 및 예상되는 유익 같은 요인들을 평가한다. 환자 역시 그와 같은 분석에 참여할 수 있다.

      많은 지역의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한 가지 예 곧 만성 편도염에 대해 생각해 보자. 만일 이런 문제가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 의사를 찾아갈 것이다. 실제로, 그는 두 명의 의사에게 진찰을 받게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보건 전문가들이 흔히 다른 의사의 의견도 들어볼 것을 권하기 때문이다. 한 의사는 수술을 권할지 모른다. 그 의사는 관련된 점들, 즉 입원 기간·고통의 정도·비용 등에 관해 개괄적인 설명을 할 것이다. 그 의사는 위험성에 관해, 심한 출혈은 흔히 있는 일이 아니며 그런 수술로 사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의사는 항생제 요법을 사용해 볼 것을 적극적으로 권할지 모른다. 그 의사는 약의 종류, 성공 가능성, 비용 등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그 의사는 위험성에 관해, 약으로 인해 생명이 위태로울 정도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말할 것이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