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17 제1호 16면
  • 사하라 은색 개미의 열기 차단막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사하라 은색 개미의 열기 차단막
  • 깨어라!—2017
  • 비슷한 자료
  • 목차
    깨어라!—2017
  • 개미의 목
    깨어라!—2016
  • 개미
    성경 통찰, 제1권
  • 원예 전문가
    깨어라!—1997
더 보기
깨어라!—2017
깨17 제1호 16면
사하라 은색 개미

우연의 산물인가?

사하라 은색 개미의 열기 차단막

사하라 은색 개미(Cataglyphis bombycina)는 더위를 매우 잘 견디는 것으로 손꼽히는 육상 동물입니다. 한낮에 강렬한 태양이 사하라 사막을 내리쬐면 천적들은 서늘한 곳으로 몸을 피하지만 이 개미는 먹잇감을 찾아 잠시 땅굴에서 나옵니다. 뜨거운 열기 때문에 죽은 곤충들을 찾아 나서는 것입니다.

사하라 은색 개미의 열기 차단막을 이루는 특수한 털

[50] μm

생각해 보십시오: 사하라 은색 개미가 고온의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한 가지 비결은 열기 차단막에 있습니다. 이 차단막은 몸 윗면과 옆면에 나 있는 특수한 털과 몸 밑면의 털 없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몸을 덮고 있는 털은 개미의 몸이 은색으로 보이게 만드는데, 이 털들은 가느다란 관처럼 생겼고 단면이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삼각형을 이루는 세 면 중 바깥을 향한 두 면은 미세한 긴 주름이 가득 들어 있고, 안쪽을 향한 면은 매끈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털의 구조는 두 가지 유용한 기능을 합니다. 첫째로, 가시광선 영역과 근적외선 영역의 태양 복사열을 반사합니다. 둘째로, 개미가 주변에서 흡수한 열을 몸 밖으로 방출하도록 도와줍니다. 한편 털이 없는 몸 밑면은 사막 지표면에서 나오는 중적외선 영역의 복사열을 반사합니다.a

사라하 은색 개미의 특수한 털을 확대한 사진: 가느다란 관처럼 생겼고 단면이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10] μm

사하라 은색 개미는 열기 차단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견딜 수 있는 한계 온도인 섭씨 53.6도 이하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연구가들은 이 작은 개미에게서 얻은 아이디어를 응용하여, 팬이나 다른 장치의 도움 없이도 온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특수 코팅을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사하라 은색 개미의 열기 차단막은 진화된 것입니까? 아니면 설계된 것입니까?

a 이 개미에게는 고온의 환경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특징들도 있다. 먼저, 이 개미는 강한 열기에도 쉽게 분해되지 않는 특수한 체내 단백질을 갖고 있다. 또한 긴 다리 덕에 뜨거운 모래에 몸이 닿지 않을 뿐 아니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방향 감각도 탁월해서 땅굴로 돌아가는 가장 빠른 경로를 찾을 수 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