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파78 5/1 23-24면
  • 산상수훈—그 배경과 장면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산상수훈—그 배경과 장면
  •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78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두 개의 조화되는 기록
  • 그 연설이 행해진 시기와 장소
  • 예수께서 가르치신 방식
  • 고금을 통해서 가장 유명한 가르침
    깨어라!—1986
  • 역사상 가장 유명한 교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
  • 누가복음 연구 노트—6장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고, 듣기만 하는 자가 되지 말라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90
더 보기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78
파78 5/1 23-24면

산상수훈—그 배경과 장면

산상수훈(山上垂訓)은 역사상 가장 유명한 연설이다.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거기에 들어 있는 내용을 마음에 새기고 있으며 언급하고 있다. 약 2,000년 전에 제공된 예수 그리스도의 이 연설이 현대인을 위한 교훈도 되는가?

현재도 사람들은 행복을 발견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지 않는가? 사람들은 서로간의 행실에 지침이 되는 올바른 원칙을 필요로 하지 않는가? 오늘날 하나님께 가납될 숭배를 드리기 위해서 그분이 요구하시는 바를 알기 원하는 사람들이 있지 않는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참된 지식을 원하는 사람들이 이전 어느 때보다 더 많다. 이러한 점들이 산상수훈에서 토론되고 있기 때문에 산상수훈은 그것이 제공된 당시와 마찬가지로 이 20세기에도 참신한 내용인 것이다. 그러므로 그 유명한 연설에서 예수께서 말씀하신 내용을 조사해 보는 것은 유익할 것이다.

그러나 이에 앞서 먼저 그 위대한 연설의 배경과 환경을 고려해 보자.

두 개의 조화되는 기록

산상 수훈은 두 복음서에 나온다. (마태 5-7장; 누가 6:20-49) 「마태복음」에 나오는 그 연설은 「누가복음」에 들어 있는 것보다 약 네배나 더 길다. 「마태복음」에 나오지 않으면서 「누가복음」에 나오는 귀절은 단지 다섯 귀절 반 밖에 안된다. 두 개의 기록이 평행적인 곳에서 종종 문체가 상당히 다름을 보게 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우리의 성서에 나오는 그 연설의 확실성을 의심해야 하는가?

「누가복음」이 「마태복음」에 나오는 연설의 상당 부분을 생략한 사실 때문에 제기되는 이의에 관하여 ‘A. T. 로버트슨’은 「그리스도의 생애 연구생들을 위한 복음서의 조화」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그러한 이의는 동일한 내용의 몇가지 큰 부분을 ‘누가’가 다른 곳에서 사용하거나 예수께서 다른 경우에 반복하셨던 사실을 도외시하는 것이다. ([비교] 마태 6:9-13과 누가 11:2-4; 마태 6:25-34과 누가 12:22-31) 예수께서는 모든 선생들이 그러하며 또 그러해야 하는 것처럼 다른 경우에 자기 말을 종종 반복하셨다 ··· 전반적으로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위하여 기록한 ‘누가’가 특히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한 그 연설 처음 부분을 많이 생략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마태 5:17-27; 6:1-18 참조)” 그 다음에 ‘로버트슨’은 다음과 같이 부언하였다.

“더우기 설명의 여지가 있는 이러한 변경을 보충하는 것으로서 두 가지 연설이 비슷하게 시작하여 비슷하게 끝나고, 각 부분이 전반적으로 비슷한 순서로 되어 있고 그 두 연설이 전반적으로 동일하며 종종 표현이 완전히 일치된다는 점을 기억하여야 한다.”

그 연설이 행해진 시기와 장소

하나님의 아들은 그분의 지상 봉사 중 어느 때에 이 연설을 하셨는가? 성경은 “‘유대’인의 명절”(아마 기원 31년의 유월절일 것이다)을 지키시기 위하여 그분의 첫 번째 ‘갈릴리’ 여행을 중단하셨음을 보고한다. (요한 4:46-5:1) ‘누가’에 의하면 예수께서 ‘갈릴리’로 다시 돌아오신 후 안식일에 손마른 자를 고치셨다고 ‘바리새’인들로부터 비난을 받으셨다. (누가 6:6-11) 그 직후 예수께서는 “기도하시러 산으로 가사 밤이 맞도록 하나님께 기도하시고 밝으매 그 제자들을 부르사 그 중에서 열 둘을 택하여 사도라 칭하셨[다].”—누가 6:12, 13.

그 후에 예수께서 “저희와 함께 내려오사 평지에 서시니 그 제자의 허다한 무리와 또 예수의 말씀도 듣고 병 고침을 얻으려고 ‘유대’ 사방과 ‘예루살렘’과 및 ‘두로’와 ‘시돈’의 해안으로부터 온 많은 백성도 있더라. 더러운 귀신에게 고난받는 자들도 고침을 얻은지라. 온 무리가 예수를 만지려고 힘쓰니 이는 능력이 예수께로 나서 모든 사람을 낫게 함이러라. 예수께서 눈을 들어 제자들을 보시”고 산상수훈을 말씀하셨다.—누가 6:17-20.

그러므로 산상수훈은 예수께서 12 사도들을 택하신 직후에 하신 것이다. 그 때는 그의 3년 반 지상 봉사의 중간쯤인 기원 31년이었을 것이다.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온 “많은 백성”이 그 연설을 들었지만 성경 기록은 예수께서 주로 자기 제자들의 유익을 위하여 말씀하셨다고 지적하고 있다.—마태 5:1, 2; 누가 6:17, 20.

예수께서 연설하신 장소는 어디였는가? 그에 대해서는 설이 구구하다. 어떤 사람들은 ‘다볼’ 산과 같은 ‘갈릴리’의 높은 산일 것이라고 말한다. 어떤 사람들은 ‘다볼’ 산과 ‘가버나움’ 사이의 “‘해틴’의 뿔”이라는 곳을 지적한다. 그러나 성서는 산상수훈을 하신 정확한 장소를 구체적으로 지적하지 않는다. 이 점에 관하여 ‘제임스 해스팅’이 편집한 「성서 사전」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그 연설은 예수 그리스도의 주된 전도 무대인 ‘갈릴리’에서 있었다. (마태 423-25, 누가 617 참조) 마태 85, 누가 71에 그 장소가 ‘가버나움’ 근처였다는 암시가 있다 할지라도 정확한 장소는 명백히 지적되어 있지 않다 ··· 마태 51, 81, 누가 612에 나오는 산은 이름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알아낼 수도 없다. 그러나 그 산상수훈을 하신 장소는 인구가 밀집되어 사는 해안에서 그리 멀지 않은 호수의 서쪽 지방에 있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수께서 가르치신 방식

당신은 산상수훈에서 가르치신 방식은 세상적인 지성인들의 교수 방법과 다르다는 점을 유의하였는가? ‘해스팅’이 지은 그 동일한 참고 서적은 예수의 가르치는 방식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분이 많은 사람들을 회당에서, 도로에서, 해변에서 ‘갈릴리’ 산허리에서 가르치실 때 그분은 자기의 종교적인 진리와 윤리적인 원칙을 구체적이고 사람들이 잘 아는 말로 설명하셨으며, 자기의 생활의 이상을 전통적인 개념 및 습관과 여러 가지 간단한 방법으로 대조하셨으며, 자기의 말을 듣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직업, 경험, 그리고 환경에서 예를 끌어내어 가르치셨다. 까다로운 학문적인 냄새를 풍기거나 지성 편중적인 점이 전혀 없었다. ··· 그분은 이러한 내용들을 고대나 현대의 학교들에서 가르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르치시지 않았다. 그분은 자기의 지식을 보편적인 것이 되게 하는 방식으로 자기의 사상을 말씀하셨다. 그분은 진지하게 듣는 사람들 모두에게 호소력이 있도록 통찰력을 가지고 소박하고 열정적으로 말씀하셨다.”

산상수훈에 들어 있는 진리를 당신은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 아마 주기도문 혹은 “천주경”과 같은 내용이나 “황금률”로 알려진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는 금언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마태 6:9-13; 7:12) 그러나 예수께서 말씀하신 나머지 내용은 어떠한가? 당신은 더 자세히 고려하는 것을 즐길 것인가?

앞으로 「파수대」에는 산상수훈 전체를 다루는 일련의 기사가 실릴 것이다. 바로 지금 혹은 편리한 시간에 산상수훈 전체를 주의 깊이 읽어 봄으로써 이 기사에서 온전한 유익을 얻도록 준비하라. 주의깊이 읽으라. 예수께서 말씀하신 내용을 묵상하라. 그렇게 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 될 것이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